•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Addiction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3초

모바일 메신저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ecedents of User Addiction in Mobile Messenger Services)

  • 김병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95-103
    • /
    • 2014
  • 최근 게임, 모바일 메신저 등 정보 시스템을 과잉적으로 사용하는 중독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술 중독은 개인의 건강, 사회적 단절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술 중독을 일으키는 매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밝히고자 한다. 모바일 메신저 중독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습관과 사용자 만족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 형성과 플로우가 모바일 메신저 중독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6개월 이상 카카오톡을 사용한 278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SPSS를 통해 제안한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에서 모바일 메신저 습관은 중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사용자 만족은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사회적 관계 형성과 플로우는 모바일 메신저 습관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및 제공업체들은 사용자들의 올바른 사용 습관을 형성하여 중독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시간과 수면부족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leeping Time and Sleep Deprivation among College Students)

  • 박정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311-32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시간과 수면부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U광역시 소재 C대학에 재학 중인 보건계열 대학생 280명의 설문을 수집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시간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수면부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충분한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률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인식시키기고 불필요한 스마트폰 사용을 근절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 주는 것이 절실히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터넷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 of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on Adolescents' Self-regu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정명실;서문경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347-355
    • /
    • 2019
  • 본 연구는 체계적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인터넷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를 산출하는 것이다. 검색한 국내문헌의 자료를 살펴보면,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학술정보원 및 각종 국내학회지를 사용하였으며, 그중 2018년까지의 검색결과 11개의 문헌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로써, 인터넷중독 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의 전체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이질성이 높아 하위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유형에 따른 인터넷중독 예방프로그램의 자기통제력에 대한 효과크기는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인터넷중독 여부에 따른 자기통제력의 대한 효과크기는 정상그룹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의 특성에 따른 인터넷중독 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대학생들의 성인 불안정애착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Insecure Attachment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이지은;조인효;김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29-23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인 불안정애착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포함한 4개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4월까지 애착유형, 스마트 폰 중독, 자아존중감 척도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남녀 대학생 23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인 불안정애착 중 애착불안은 스마트폰중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그리고 자아존중감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애착회피는 자아존중감과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이 애착불안과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했을 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년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Tiktok 서비스 이용자의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Flow & Addiction of Tiktok Service Users)

  • 주이모;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5-132
    • /
    • 2021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OTT의 중간영역에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SFV 플랫폼인 Tiktok 서비스의 이용자가 인식하는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Tiktok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중독에 이르는 경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미디어 소비 시간이 부족한 이용자는 긴영상보다 짧은 영상을 제작하고 공유하며 외생변인에 의해 애착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애착은 대인관계 및 서비스에 대한 애착으로 구분되는데, 애착의 경로는 몰입과 중독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동영상 미디어서비스의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자기노출과 애착, 몰입과 중독 등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동영상 중심의 미디어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며, 향후 출현하는 새로운 미디어에 활용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후학의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대학생의 성인 애착 불안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dult Anxious Attachment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Stress)

  • 김은영;한승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381-38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 불안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교 재학생 272명(남학생 132명, 여학생 139명)의 수집된 자료를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애착 불안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애착 불안이 스트레스의 지각과정을 통해 스마트폰중독을 야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의 위험요인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정신건강의 이해를 돕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제공하여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SNS Addiction Index (KSAI))

  • 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55-265
    • /
    • 2013
  • 본 연구는 급증하는 소셜미디어서비스의 중독과 진단을 통한 정책 제안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SNS의 중독을 정의하고, 척도를 개발하여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의 이용은 더욱 편리해졌고, 인터넷 중독 대응 정책을 마련한 것과 같이 SNS의 중독성이 심각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연구자는 연구주제를 세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SNS중독 변인을 도출하여 검증하고, 둘째 SNS중독 변인들간의 경로 모형을 검증하고 논의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셋째, 연구자가 제안한 중독척도와 진단결과를 집단별로 확인 후 논의하는 것을 주제로 하였다. 연구결과 중독 척도는 시간적 내성, 생활 장애, 중단 시도 실패, 금단 불안 등 각 네개의 요소로 측정할 수 있는데, SNS중독의 순차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제시한 중독지수를 측정하여 현실적인 중독자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당국자에게 SNS의 건전한 이용과 사용자의 자기 관리를 교육, 홍보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장차 일반인과 청소년의 과업에 방해되지 않고, 올바른 SNS사용이 사회적 문제, 청소년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한 감정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군 검출 (Smartphone Addiction Detection Based Emotion Detection Result Using Random Forest)

  • 이진규;강현우;강행봉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37-243
    • /
    • 2015
  • 최근 기술의 발달로 국내에 10명 중 8명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 중독현상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은 스스로가 조절하기 어렵고, 자각하기 힘들다. 주로 설문지를 중심으로한 연구들에서, 스마트폰 중독을 진단하기 위해 예를 들면 S-척도와 같은 연구를 수행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ECG(심전도)와 Eye Gaze 신호를 이용한 검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피험자가 감정 영상을 시청했을 때, 피험자의 ECG 신호와 Eye Gaze 신호를 각각 Shimmer와 스마트아이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더불어, ECG 신호의 S-transform 결과를 특징으로 추출한다. 또한 동공의 직경, 시선과의 거리, 눈 깜빡임으로 구성된 Eye Gaze 신호로부터 12개의 특징을 추출한다. 분류기는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학습시키고 피험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중독군을 검출한다. 검출한 결과와 실험 전 진행한 S-척도 결과와 비교한 결과 ECG는 87.89%의 정확도, Eye Gaze는 60.25%의 정확도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로우 경험과 인터넷 중독이 이러닝 참여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E-learning Participation Affected by Flow Experience and Internet Addiction)

  • 이주양;장필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341-3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참여도에 플로우 경험과 인터넷 중독이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학습참여도는 이러닝 웹 로그 분석을 통해 학습컨텐츠 접속횟수, 접속시간 및 지연시간(컨텐츠 업로드 시간과 접속시간의 시차)을 산정하여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학습참여 변인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또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플로우 경험은 모든 이러닝 참여 관련변인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은 지연시간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더 자주, 더 오래 학습컨텐츠에 접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닝 참여 변인 중에서는 접속횟수와 지연시간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