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Addiction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들의 SNS 이용동기, 대인관계지향성이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Usage Motivation of S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on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Proneness Addition tendencies)

  • 박종순;이종만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45-16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usage motivation of S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o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MSNS) addition pronenes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including MSNS addition Proneness scale, usage motivation of SNS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scale were administered to 250 college students in Seou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usage motivation of SNS showed influ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The Usage motivation of SNS showed influences of MSNS addiction prone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showed partial influence MSNS addiction prone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ed that level of MSNS addiction tendencies needs to be considered for counseling with used of SNS motives. This study findings would contribute in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SNS addiction and improvement program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llege students. Futhermore, exploration of various ways to satisfy motiv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 would be helpful to reduce SNS addiction tendenc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of finding,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대학생들의 테크노스트레스, 플로우, 스마트폰 중독이 스마트폰 사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on the influence of techno-stress, flow and smartphone addiction on the Satisfaction of Smart-phones use)

  • 박종순;이종만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89-202
    • /
    • 2015
  •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negative factors from smart-phone as internal affecting the use of smartphone and found their relationship. For the validation of this study model, 300 university students randomly selected in Seoul and Gyeongnam province. The measurement model was evaluated by using SPSS 18.0, and the evaluated result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chno-stress of smartphone user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un and pleasure felt from using smatphone. It was assumed that a higher techno-stress negatively affects fun and pleasure from using smartphone. Second, the techno-stress of smartphone users was found to affect smartphone addiction. This means that more techno-stress users feel as they use smartphone, the more tendency to smartphone addiction. Third, flow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martphone addiction. Forth, Flow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of the smartphones use. Fifth, it was indicated that when users had more flow and addiction from using smartphone,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also higher.

이용 동기와 자기 통제력 및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se Motives, Self-Control and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Addiction)

  • 이영주;박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59-465
    • /
    • 2014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어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자기통제력,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이용 동기 중 정보획득, 사회적 관계, 오락성, 여가시간활용 동기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통제 특성은 조절성이 떨어질수록, 또한 충동성이 강할수록 스마트폰 중독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용자들의 사회적 위축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 및 개선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되며,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의 강압적인 제지보다는 청소년들의 놀이 활동을 우선 점검하고, 스스로 조절하고 충동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기통제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가 요구된다.

여대생의 미용성형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lastic Surgery Addiction Tendency Among Undergraduate Women)

  • 김영아;정향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21-6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미용성형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여대생 223명을 단순무작위 표집하여 성형수술 수용성,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척도, 신체-자아에 대한 다차원 설문지, 자아존중감을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4년 5월에 이루어졌고 서술적 통계, chi-square test, 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성형중독 성향과 관련된 각각의 변수를 안정군, 긍정적기대군, 중독위험군, 중독군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정군 21.1%, 긍정적기대군 35.0%, 중독위험군 32.7%, 중독군 11.2%가 확인되었고, 전체의 45.7%는 성형수술의 개인적인 경험이 있었다. 미용성형의 경험, 높은 성형수술 수용성, 높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높은 신체상(외모평가)은 미용성형 중독성향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인들을 위한 성형중독 예방, 조기 발견 및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용성형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 가이드라인의 도입이 필요하고, 조기성형수술, 사회문화적 영향, 신체상 변형의 예방이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학습태도에 관한 탐색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Undergraduates'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Learning Attitudes)

  • 백유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31-24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line through scatter diagram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learning attitudes, figure out the knee point influencing learning attitudes negatively in detail, and examine influence among subareas. To address the goal, study questions ar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this author did screening on the data of variables measured and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Second, this researcher produced the trend line by drawing a scatter diagram in order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ies, withdrawal symptoms, excessive communication, and excessive time wasting, and learning attitudes exploratorily. Third, to explore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al attitudes, the subfactors of learning attitudes related to SNS addiction tendencies, this author drew a scatter diagram and analyzed the threshold of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 To verify the study questions, the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and learning attitude scale were applied to 301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 area.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their learning attitudes are influenced by SNS addiction tendencies, excessive communication and excessive time wasting, and they are not influenced by withdrawal symptoms that much. Second, excessive communication, a factor of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self-evaluation and developmental attitudes, factors of learning attitudes, show positive correlation to some extent and indicate negative correlation after the threshold. However, excessive communication and learning participation are found to show no correl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correlation with learning attitudes by dividing them into excessive communication and excessive time wasting groups with the knee point of 1.40, as the symptom of excessive communication is found more, it influences self-evaluation, learning participation, developmental attitudes, and learning attitudes more negatively in genera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prevent undergraduates' excessive SNS use and SNS addiction which can be used in the scenes of counseling or education.

대학 기숙사생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 living in a dormitory)

  • 이미영;강희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13-42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 기숙사생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K시 소재 대학생 중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 1,01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 대인관계 문제, 스마트폰 중독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우울의 수준이 높을수록 기숙사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높였다. 대인관계 문제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기숙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낮출 수 있는 전략으로 대인관계 문제를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과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

  • 주현정;전호선;박미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395-407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시와 P시에 재학중인 대학생 440명으로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통제력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스트레스 순이었으며, 두 변인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설명력은 34% 였다. 둘째, 자기통제력에 자기효능감은 정적 영향을 미쳤고 스트레스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인 모두 자기통제력을 통한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4시간미만 사용집단과 4시간이상 사용집단 간의 조절효과에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경로계수와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경로계수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모색이 중요하며, 특히 개인별 상황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맞춤식 교육중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제도론의 관점에서 본 인터넷 중독 융합정책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 New Direction of Internet Addiction Convergence Policy through the New Institutionalism's Point of View)

  • 고영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39-4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중독 정책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서 고찰하고, 융합적 담론 구조에 의한 합리적 국가 정책의 전달체계를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신제도론적 입장에서 현황을 분석하고 또 새로운 대안을 모색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각 부처간 서로 다른 이해관계 때문에 정부 부처간, 그리고 정부, 기업, 시민사회간 다양한 갈등양상이 전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도론 입장에서는 현재의 중앙정부가 주체가 된 정책 시스템을 향후 지방정부로 이전시키는 한편, 정부가 독점한 주도권을 정부, 기업, 시민사회가 함께 공유하여 거버넌스 형태로 운영하는 것이 최선인 것으로 도출되었다. 10개 중앙정부 협의체 형식의 국가시스템이 아니라 주민생활권 단위의 광역지방정부가 지역공동체 내의 기업, 학교, 시민사회 등과 협력하여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이 융합 모델은 현재의 부처간 고착화된 경쟁 구조 때문에 발생하는 갈등을 넘어 중독으로 인해 고통받는 주민에게 더 유익한 대안이 될 것이다. 또한 향후 지역공동체 내에서 정신건강 서비스의 전달체계 연구의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Intermittent Addiction and Double Sidedness of Thought Suppression: Effects of Student Smart Phone Behavior

  • Yang, Hoe-Chang;Kim, Young-Ei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9호
    • /
    • pp.13-18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on depression and uneasiness among college students likely to be influenced by smart phone addi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total of 151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following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19.0 and AMOS 19.0: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Smart phone addiction increased uneasiness,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on. Moreover, uneasiness,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on from smart phone addic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resulting in potential delinquent behavior. In addition, the addiction treatment relied heavily on drugs; therefore, such psychological treatment should be strengthened to control intermittent addiction.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 that various kinds of research are needed to investigate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smart phone addiction. Additionally, studies on lessening smart phone addiction and living healthy lifestyles are needed. Moreover,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should be developed to lessen the rebound effect after thought suppression, to verify the effects of clinical application, and to prevent intermittent addiction.

인터넷 중독이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on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 변영순;이혜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60-468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mental health. Methods: The Internet addiction level was measured with K-Scale developed for Korean adolescents by Korea Agency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 (2006) and the mental health level was measured with SCL-90-R developed by Derogatis (1977) and adapted for Korean adolescents by Kim, Kim. & Won (1984).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mean${\pm}$SD, t-test, ANOVA, Scheffe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PSS 12.0) Results: 1. The Internet addiction level appeared to be 'Addiction' in 19%, 'Latency addiction' in 27% and 'Normal' in 54%. 2. The Internet addiction level was different according to sex, use, frequency and using time per day. The mental health level was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sex, the father's education, the mother's education, frequency and using time per day. 3.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mental health was found significant. Conclusion: The Internet addiction level was confirmed to have an influence on mental health. We offered basis data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