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lectric Strip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TM 파가 입사할 경우 얇은 유전체 Strip의 산란에 대한 Uniform 해 (A Uniform Formulation for Scattering by Very Thin Dielectric Strips for TM Wave Incidence)

  • Koh, Il-Suek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794-800
    • /
    • 2004
  • 본 논문에서 TM 파가 입사할 때 얇은 유전체 strip의 산란특성에 대한 새로운 근사식을 구했다. 구한 식은 uniform하다. 즉 이 식은 어떠한 입사각 또는 관측점, 유전률, strip의 두께 등 모든 경우에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수치해석 방법, MoM을 이용하여 구한 식의 정확도를 여러 경우에 관해 검사해 보았다.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저항띠 격자구조에 의한 TM 산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M Scattering by a Resistive Strip Grating Between a Double Dielectric Layer)

  • 윤의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9-5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저항띠 격자구조에 의한 E-분극 전자파 산란 문제는 전자파 수치해석방법으로 알려진 PMM(Point Matching method)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경계조건들은 미지의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이용하였고, 저항띠의 해석을 위해 저항띠 경계조건을 적용하였다. 2중 유전층 사이의 비유전율과 두께 및 저항띠의 저항율에 대해 정규화된 반사전력과 투과전력을 계산하였다. 전반적으로 저항띠의 저항율이 작아지거나 유전체 층의 비유전율이 증가할수록 반사전력은 증가하였으며, 반사전력이 증가하면 투과전력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2중 유전체 층의 비유전율이 증가할수록 반사전력의 변곡점의 최소 값은 격자주기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본 논문의 제안된 구조에 대한 수치결과들은 기존논문의 수치해석 결과들과 비교하여 매우 잘 일치하였다.

FGMM을 이용한 접지된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완전도체띠 격자구조에 의한 H-분극 전자파 산란 해석 (Analysis of H-polarized Electromagnetic Scattering by a Conductive Strip Grating Between a Grounded Double Dielectric Layer Using FGMM)

  • 윤의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83-8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접지된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완전도체띠 격자구조에 의한 H-분극 전자파 산란 문제는 전자파 수치해석 방법으로 알려진 FGMM(Fourier-Galerkin Moment Method)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경계조건들은 미지의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이용하였고, 도체띠의 해석을 위해 완전도체 경계조건을 적용하였다. 도체띠의 폭과 주기, 접지된 2중 유전층 사이의 비유전율과 두께 및 입사각에 대해 정규화된 반사전력을 계산하였다. 전반적으로 접지된 2중 유전체층의 비유전율 및 두께가 증가할수록 반사전력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접지된 2중 유전체 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도체띠에 유도되는 전류밀도는 스트립 중앙에서 증가하였다. 본 논문의 제안된 구조에 대한 수치결과들은 PMM을 이용한 기존 논문의 수치해석 결과 들과 비교하여 매우 잘 일치하였다.

접지된 유전체층 위에 변하는 저항율을 갖는 저항띠 격자구조에서의 전자파산란 해석 -한쪽 모서리에서 0이고 다른쪽 모서리로 가면서 무한대로 변하는 경우- (Analysis of the Electromagnetic Scattering by a Resistive Strip Grating Tapered Resistivity On a Grounded Dielectric Plane -from Zeores at One Edge to Infinite at the Other Edge-)

  • 윤의중
    • 정보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77-84
    • /
    • 2005
  • In this paper, electromagnetic scattering problems by a resistive strip grating with tapered resistivity on a grounded dielectric plane according to strip width and spacing, relative permittivity and thickness of dielectric layers, and incident angles of a electric wave are analyzed by applying the Fourier-Galerkin Moment Method known as a numerical procedure. The boundary conditions are applied to obtain the unknown field coefficients and the resistive boundary condition is us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ngential electric field and the electric current density on the strip. The resistivity of resistive strips in this paper varies from zeroes at one edge to infinite at the other edge, then the induced surface current density on the resistive strip is expanded in a series of Jacobi polynomials of the order ${\alpha}=0.2,\;{\beta}=-0.2$ as a orthogonal polynomials. The numerical results of the geometrically normalized reflected power in this paper are compared with those for the existing perfectly conducting strip. The numerical results of the normalized reflected power for conductive strips case with zero resistivity in this paper show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existing papers.

  • PDF

FGMM을 이용한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완전도체띠 격자구조에 의한 E-분극 전자파 산란 해석 (Analysis of E-polarized Electromagnetic Scattering by a Conductive Strip Grating Between a Double Dielectric Layer Using FGMM)

  • 윤의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77-8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완전도체띠 격자구조에 의한 E-분극 전자파 산란 문제는 전자파 수치해석 방법으로 알려진 FGMM(Fourier-Galerkin moment method)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경계조건들은 미지의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이용하였고, 도체띠의 해석을 위해 완전도체 경계조건을 적용하였다. 도체띠의 폭과 주기, 2중 유전층 사이의 비유전율과 두께 및 입사각에 대해 정규화된 반사전력과 투과전력을 계산하였다. 전반적으로 2중 유전체 층의 비유전율이 증가할수록 반사전력은 증가하였으며, 상대적으로 투과전력은 감소하였다. 2중 유전체 층의 비유전율이 증가할수록 도체띠에 유도되는 전류밀도는 스트립 중앙에서 증가하였다. 본 논문의 제안된 구조에 대한 수치결과들은 기존 논문의 수치해석 결과들과 비교하여 매우 잘 일치하였다.

접지된 유전체판 위에 위치한 스트립 격자에 TM편파된 평면파가 입사되는 경우에서의 Bragg 및 Off-Bragg blazing 현상-실험 (Experiments of bragg and off-bragg blazing phenomena by strip grating over a grounded dielectric slab for TM polarization Case)

  • 백운석;조웅희;이종익;이철훈;홍재표;조영기;손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605-610
    • /
    • 1997
  • An analysis method for the electromagnetic scattering of a Tm polarized plane wave from a periodic strip grating over a grounded dielectric slab is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reflection grating problem. The parameters of strip gratings showing Bargg and Off-Bragg blazing phenomena at the frequency of 10GHz are derived teoretically. The strip grating structure is implemented using Aluminum plate(groung conductor), paraffin(dielectric material.epsilon.$_{r}$=2.24), and copper(strip conductor0.08m thickness). The experimental results(reflection power) of Bragg as well as Off-Bragg blazing phenomenon for TM polarized plane wave have been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results and fairly good agreements between theory and experiment have been observed.d.

  • PDF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완전도체띠 격자구조에 의한 TE 산란 해석 (Analysis of TE Scattering by a Conductive Strip Grating Between a Double Dielectric Layer)

  • 윤의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7-5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완전도체띠 격자구조에 의한 TE(transverse electric) 산란 문제는 전자파 수치해석 방법으로 알려진 FGMM(Fourier-Galerkin moment method)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경계조건들은 미지의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이용하였고, 도체띠의 해석을 위해 완전도체 경계조건을 적용하였다. 도체띠의 폭과 주기, 2중 유전층 사이의 비유전율과 두께 및 입사각에 대해 정규화된 반사전력과 투과전력을 계산하였다. 전반적으로 유전율의 값이 증가하면 반사전력은 증가하며, 상대적으로 투과전력은 감소하였다. 유전율이 증가할수록 도체띠에 유도되는 전류밀도는 양쪽 끝으로 진행하면서 증가하였다. 본 논문의 제안된 구조에 대한 수치결과들은 기존 논문의 수치해석 결과들과 비교하여 매우 잘 일치하였다.

접지된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저항띠 격자에 대해 FGMM과 PMM을 적용한 TM 산란 해 (Solution of TM Scattering Applying FGMM and PMM for Resistive Strip Grating Between a Grounded Double Dielectric Layer)

  • 윤의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77-8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접지된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저항띠 격자구조에 의한 TM(tranverse magnetic) 전자파 산란문제를 전자파 수치해석방법으로 알려진 FGMM(fourier galerkin moment method)과 PMM(point matching method)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경계조건들은 미지의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이용하였으며, 저항띠의 해석을 위해 저항경계조건을 적용하였다. 전반적으로 저항율이 작으면 저항띠에 유도되는 전류밀도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반사전력도 증가하였다. 또한, 유전체층의 두께와 비유전율의 값이 증가하면 전반적으로 반사전력은 증가하였다. 본 논문의 제안된 구조에 대해 FGMM과 PMM의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한 수치결과들은 매우 잘 일치하였다.

PMM을 이용한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저항띠 격자구조에 의한 TE 산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 Scattering by a Resistive Strip Grating Between a Double Dielectric Layer Using PMM)

  • 윤의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1-2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저항띠 격자구조에 의한 TE(transverse electric) 산란 문제는 전자파 수치해석 방법으로 알려진 PMM(point matching method)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경계조건들은 미지의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이용하였고, 산란 전자계는 Floquet 모드 함수의 급수로 전개하였고, 저항띠의 해석을 위해 저항 경계조건을 적용하였다. 저항띠의 폭과 주기, 2중 유전층 사이의 비유전율, 두께, 입사각 및 균일저항율에 대해 정규화된 반사과 투과전력을 계산하였다. 전반적으로, 도체 스트립에 대한 반사 전력은 비유전율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균일저항율을 갖는 저항띠에 대한 반사 전력은 저항율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본 논문의 제안된 구조에 대한 수치결과들은 기존 논문의 수치해석 결과들과 비교하여 매우 잘 일치하였다.

접지된 유전체층위에 주기적인 스트립구조로서 구성되어 있는 유한한 격자구조에 의한 가우시안 빔의 회절특성 (Diffraction of gaussian beam wave by finite periodic conducting strip grating on a grounded dielectric slab)

  • 이종익;조영기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4D권10호
    • /
    • pp.45-52
    • /
    • 1997
  • An analysis method for the electromagnetic scattering of a gaussian beam wave by finite periodic conducting strip grating on a groudned dielectric slab is considered. The intergral equation for the unknown current induced on the conducting strip surface is derived and solbed numerically by use of the method of moment. From knowledge of the strip current, the quantities of interest such as radiation pattern, the space wave power radiated into the free space, and the coupled surface wave power propagating along the dielectric slab are computed for the appropriately chosen parametes Some similarity between scattering behaviours of the present geometry and the infinite geometry is examined by observing the Off-bragg as well as bragg blaxing penomena in both geometries.The validity of the numerical results are assured by a check of the power conservation rel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