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9초

여성이 운영하는 목공방 창업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oundation of a Carpentry Studio Run by a Female Owner)

  • 김영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3-210
    • /
    • 2016
  •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gender ratio of furniture design courses at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account for 70 to 80 percent of the total enrollments. Likewise, other design courses reveal the similar trend. Even though female students want to build up their career in the furniture design or related fields, the figure is not so high. There is a trend that many female designers tend to take time off or quite their jobs after their marriage for that reasons such as pregnancy, childbirth, the upbringing of children and so on. The study also shows that women with higher education feel more difficult to resume their careers after being left from economic activity for a long period; this results in the lower figure of women involved in the specialized jobs than men. In particular, the furniture companies avoid hiring old female designers because they believe that younger candidates are more capable of learning the latest style; therefore, it has become harder for the job seeks to win the competition in the job market. The data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in 2015 shows that there was the higher increase in female employees than the figure of the male worker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s it can be seen, female workforce was emerged as the new growth power; Nevertheless, the work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haven't meet the demands from women despite the gradual rise of female job seekers inspired by their wish to achieve self-realization, gender equality. To conclude, this is to suggest the plans for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small-scale carpentry studios so that women, who have a degree in furniture design studies and wish to resume their careers after their long breaks, start their own carpentry studios so as to reach self-realization and feel satisfied with their work while earning their livelihoods.

가정학 전공자의 취업과 전망 (A Study of Current Employment and Future Trends for Young Home Economists)

  • 문수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5-102
    • /
    • 1982
  •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among young home economists and perspectives in occupations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graduate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which utilized information from 17 to 21 colleges in Korea and college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five years of 1977∼1981. The Home Economics content areas covered in this study were Clothing and Textiles, Foods and Nutrition, Housing and Interior Design, and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Life. The highest percentage of Korean graduates in Clothing and Textiles was employed either as teachers at the junior high school level or as designers in the clothing and textile industries. Quite a number of the graduates were engaged in further studies at the graduate level. Korean graduates with a master's degree were teaching at the college level and some had furthered their studies at the doctorate level either here or abroad. Koreans with a bachelor's degree in Foods and Nutrition held jobs as teachers in junior high school, dieticians at mass feeding institutions and hospitals, food scientists in food industries, and researchers in institutions. Those with a master's degree were teaching at the college level. Americans with a bachelor's degree worked as dieticians, supervisors in restaurants and institutions, extension workers, researchers at various facilities, teachers and clerks. Americans with a master's or doctorate degree were engaged in teaching at colleges or supervising at research or working as extension specialists. In general, Korean graduates were found to hold positions in less varied areas than their American counter-parts. Among forty-nine graduates those working in their professional field reported less sex discrimination that those working in other fields. The major area of employment in Housing and Interior Design or Home Management graduates in Korea was teaching while in the United States it was extension work, business, governmental work and teaching. It was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career development in Korea be further explored to include extension service, research, social welfare, financial planning, business, free-lancing, funeral home, home-call, and correctional education. Interviews with executives from 6 business enterprises indicated that most of them were aware of the potential contribution home economists could make for their companies but they expressed a negative attitude towards women in general due to their short stay on the job. Jobs held by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Life majors with a bachelor's degree in Korea were mostly teaching positions in public,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However, jobs such as nursery school teaching, working in clinical setting, business, and teaching at public,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predominated in the United states. Most Korean graduates with a master's degree were teaching in professional colleges while in the United Stated the job variation among the graduates was rather evenly distributed among teaching at college level, public and high school, nursery school and administration areas. Reports from 7 child development majors on the job indicated that they were paid less that secretarial workers. Only half of them were working in their major area and these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Two thirds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no sex discrimination. It was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Life majors pursue employment in counseling, guidance, recreation, mass media, administration and outreach work as well as education, research and parent education in services for children, teen-agers, adults and families.

  • PDF

공공 API를 이용한 농장 분양 및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rm Sale and Learning System using the public API)

  • 박수빈;최용길;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3-535
    • /
    • 2015
  • 최근 들어 도시의 변두리 휴경지를 이용하여 가족과 함께 취미로 원예나 정원 가꾸기를 즐기는 여가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자연에서 직접 체험하고 가족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주말농장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분양 절차가 까다로우며 많은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공공 API를 이용한 농장 분양 및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주말농장을 쉽게 분양받고 관리할 수 있도록 분양 중인 농장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농장을 가꾸면서 기록할 수 있는 게시판, 앨범, 일정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더불어 농장체험에 대한 아이들의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놀이 기능을 제공하여 아이들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가족들의 주말 농장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초등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인식과 손 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 (Perception of COVID-19, and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 wash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영희;유미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0-32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handwashing practi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ssessing the perception of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Methods: The cross-sectional study design and an online self-reported survey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211 elementary students at a school located in G province,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4 to 8, 202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5.0. Results: Mean scores for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were 17.09 (out of 20), 21.15 (out of 24), and 27.51 (out of 33),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ption of COVID-19 and knowledge of handwashing (r=.23, p=.001),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handwashing (r=.45, p<.001),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r=.18, p=.010), and between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r=.28,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handwashing practice were handwashing frequency at home (β=.39, p<.001), handwashing frequency at school (β=.18, p=.006), and attitude toward handwashing (β=.15, p=.026), which explained 34.2%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andwashing and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화재 콘텐츠 설계 및 구현 연구 (A Study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ultural Property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 서동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5-20
    • /
    • 2019
  • 증강현실은 카메라에 보인 현재 모습에, 중첩된 대상의 정보를 인지하는 방식으로 문화, 교육, 군사,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콘텐츠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시나 어린이 교육 콘텐츠는 이미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문화재를 가상으로 구현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갈기비AR'과 '장영실의 발명품AR'을 통해 접근하기 어려운 문화재를 눈앞 가까이에서 경험 하도록 해준다. '갈기비AR'은 3D 블록 형태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서 문화재 구조에 대해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장영실의 발명품AR'은 물체를 확대, 축소, 회전하며 함께 사진을 찍어 문화재를 보다 밀접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바닥면을 인식하는 ARCore로 '갈기비 AR'는 증강된 화면 속에 비석을 위치하여 블록을 할 수 있게 한다. 측우기, 해시계, 물시계, 앙부일구를 손앞에 바로 보는 것과 같이 구현하여 체험자에게 사실감을 더 주고자 하였다. 문화재를 널리 알리기 위한 콘텐츠이며 문화재의 체험 콘텐츠를 통해 문화유산의 향유를 증대하고자 한다. 문화재 정보가 대중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제작되는 콘텐츠 기획에 도움이 되는 연구 자료이길 기대한다.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Emotions and Stress Index of Trainees Entrusted to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 Ryu, Ja Yeong;Yun, Suk Young;Choi, Byung 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53
    • /
    • 2020
  • This study conduct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trainees entrusted to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in order to fill the educational gap while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during the one-month period of commissioned education.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were examined by the pretest and posttest changes of the emotional items such as anxiety,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tress index.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d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on 16 female trainees of commissioned education staying at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in the juvenile reformatory located in A city.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in four sessions: two on flower arrangement and two on planting. Th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ere measured using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reduction of anxiety for the adolescents staying in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ean of anxiety from 62.5 (SD = 6.8) to 57.6 (SD = 8.1) points after the program (p = .002).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esteem, which was 76.9 (SD = 11.2)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and 78.3 (SD = 8.7) after the therapy (p = .420). In self-efficac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from 72.9 (SD = 10.9) before and 75.1 (SD = 11.0) after horticultural therapy (p = .178). In order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changes in such emotional functions, this study measured the stress index using the uBioMacpa as the tool.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mean from 33.8 (SD = 2.3) before to 31.1 (SD = 2.2)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 < .001).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종합적 과학재능 검사 도구의 개발 -수행형 검사 수행을 위한 시사점 도출-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for Scientifically Gifted and Talented with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 서윤경;전영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47-35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과학재능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판별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였다. 재능 판별도구는 다양한 경로의 정보를 복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교사 의견서, 지필형 검사, 수행형 검사로 구성하였고, 시범 적용의 결과는 검사의 저학년 적합성 측면과 적극적 참여 유발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우선 저학년 적합도를 확인하고자 참여 학생들이 수행형 검사에서 보인 말과 행동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고, 과학 지식 및 과학탐구수행요소와 관련하여 범주화한 30개의 탐구행동유형은, NGSS 과학탐구수행요소의 k-2학년 수준에 해당되거나 일부 상회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검사는 저학년을 대상으로 과학 재능을 판별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수행형 검사가 참여 학생의 과학재능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탐구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수행형 검사에서 나타난 참조문장 수를 참여도의 지표로 삼고 비교한 결과, 과학적 흥미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수동적인 태도로 참여한 2건의 사례가 나타났다. 담임교사 의견서에 포함된 1년간의 관찰기록, 지필형 검사 및 수행형 검사의 종합적 비교와 담임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원인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경험이 검사에서 상정한 수준을 훨씬 상회하고 있거나 참여자의 관심 영역이 매우 협소하고 기호의 차이도 커서 제시된 소재에 대해 흥미를 쉽게 잃었던 경우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행형 검사를 활용한 저학년 과학재능 검사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사례의 측적을 통해 교육현장에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nity3D를 이용한 전래동화 게임 제작 툴 개발 (Educational Game Making-Tool Development using Unity3D Engine: Birth of Game)

  • 임창주;원대한;정윤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9-3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게임을 제작할 수 있는 툴을 제안하여 제작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에게 자신들이 원하는 형태로 직접 교육용 게임을 제작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게임을 직접 만든다는 취지에서 시작한 이 게임은 잊혀져가는 우리나라의 전래동화라는 콘텐츠를 만나게 되면서 전래동화 기반의 게임을 직접 디자인, 플레이,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게임 제작 툴로 진화하였다. 또한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도 직접 전래동화를 게임 제작 툴로 디자인하여 아이들에게 제공, 공유하면서 자신의 교육에 보다 쉽고 재미있게 아이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이 게임 제작 툴을 통해, 어린 학생들은 잊혀져가는 우리의 좋은 문화를 접할 수 있고, 그 안에 있는 지혜와 해학,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성인들은 어린 시절 할머니의 무릎에서 들었던 이야기들을 떠올리며 과거에 대한 향수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 기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 노희연;조재순;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61-19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여, 예비부모인 고등학생 학습자들이 훗날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보살필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하며 동시에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의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은 일반적체제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을 따랐으며, ADDIE모형 중 실행단계(Implement)를 제외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가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요소 추출과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2015 개정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 문서를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가정교과 이 외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예비부모교육의 9 가지 주제(1.자기이해, 2.예비부모의 성, 3.결혼, 4.임신과 출산, 5.부모됨, 6.부모역할, 7.부모 자녀관계, 8.부모와 가족, 9.부모와 사회)와 해당 내용요소들은 이미 가정교과 교육과정에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9가지 주제 이외에 가정교과만의 독자적인 주제(1.생애설계, 2.가정생활 내 의 식 주 실천역량, 3.가정생활과 자녀안전, 4.가족문화)와 해당 내용요소들을 별도로 확인함으로써 예비부모교육 시행에 있어 가정교과가 지닌 강점(청소년과 가정과 사회를 바라보며 부모교육 내용 뿐만 아니라 식 의 주 소비 생활 전반을 포함하는 총체적 관점의 교육과 실제로 부모 준비를 실천하게 하는 교육)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설계는 가정교과와 예비부모교육 간의 접점을 찾고 이를 프로그램 구성요소(목적, 개발방향, 주제, 내용요소, 학습목표, 학습활동)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길러낼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지녀야 할 관련 지식, 태도, 가치관,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고등학생 학습자가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을 일차 목적으로 두며, 부모됨의 준비 관점에서 학습자가 현재 생활 점검 및 개선을 통해 생활자립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이차목적으로 둔다. 궁극적으로 이 두 가지 목적 달성을 통해 학습자가 장차 부모로서 살아갈 가정생활 영역과 개인적 성취와 관련된 직업생활 영역 그리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삶의 영역간의 균형을 이뤄 이를 조화롭게 영위할 수 있는 성숙한 부모로의 성장을 돕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방향은 '전체 전개', '내용구성', '교수 학습법 구성'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정되었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총 11개로 '1. 부모 됨: 부모가 된다는 건', '2. 배우자선택: 행복한 부부관계, 자녀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 '3. 임신과 출산: 새로운 생명과의 감동적인 만남', '4. 신생아 돌봄: 24시간 신생아 돌봄', '5. 영유아자녀돌봅: 사랑스러운 나의 아기와의 관계, 애착', '6. 유아기 자녀 돌봄: 별에서 온 내 아이, 유아기 자녀 돌보기', '7. 부모와 건강가정: 건강가정 속 부모와 자녀', '8.부모 자녀 관계: 현명한 부모, 자녀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기', '9. 가정생활 내 자녀안전: 가정생활 속 안전관리자, 부모', '10. 영유아 돌봄 실습', '11. 지역사회 양육지원서비스 개발 실습'이다. 프로그램의 들어갈 최종 내용요소들은 분석단계에서 추출된 내용요소들을 11개 주제와의 관련성을 토대로 분배된 후 선정되었다.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은 해당 주제와 내용요소를 반영하여 구상되었으며, 특히 프로그램의 학습활동은 1) 부모 됨 관련 실천적 문제를 포함한 사례 활용, 2) 학습한 지식과 기술을 활용한 지역사회 교류활동, 3) 부모 됨 관련 학습내용을 활용한 실생활 프로젝트 활동, 4) 고등학생 학습자의 현재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활동, 그리고 5) 자녀 발달을 지원하는 가정교과 내 의 식 주 실습활동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발은 앞서 설정된 설계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이에 총 11개 주제에 따른 17차시 분량에 해당하는 교수 학습과 정안 및 학습자료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교수 학습과정안은 수업흐름 및 교사 참고자료를 포함하며, 수업 도입부에 가상의 자녀로부터 수업관련 메시지를 받는 것을 시작으로, 정리단계에서는 받은 메시지에 대한 답장의 형태로 해당 차시의 내용 정리 및 예비부모로서의 다짐을 하는 것을 기본 틀로 하였다. 학습자료는 학습활동을 위해 필요한 각종 계획서나 보고서 양식을 포함하며, 정규교육과정에서의 교과서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구체적으로 작성되었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평가는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결과물 두 가지 측면에 대해 가정교과 전문가 13인으로부터 5점 리커트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개발과정에 대한 기초분석 평가결과 평균 4.61점, 내용타당도 지수 97.4%였으며, 프로그램 결과물에 대한 평가결과는 평균 4.37점 내용타당도 지수 86.9%였다. 이와 같은 값은 이 연구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그 결과물에 대한 타당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에서 확보됐음을 나타내며, 이에 이 연구의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 교육 프로그램으로 타당하고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Middle Aged Women)

  • 차영남;김금자;임혜경;장효순;한혜실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2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middle aged women and to identify the adapta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order to provide a model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as a basis for nursing intervention.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30 to December 11, 1996. The study subjects were middle aged women residing in Chonju city, with ages from 40 to 59.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2 subjects who were recruited through announcements of the local newspaper.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9 subjects who were mothe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iddle aged women was based on the Bandura's self efficacy theory and Pender's heath promotion behavior theory consisting of exercise and heath diaries as performance accomplishments as well as education and group sessions as verbal persuasion and vicarious experiences. The study program was provided for 6 weeks, 3 hours a day per week. There was a pretest before the program and a posttest after the 6 week program.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a Self Efficacy Scale and a Health Promotion Behavior Scale developed by Park(1995).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the use of a SPSS/PC.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f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 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occupation,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status of involvement in social activities. 2. The first hypothesis, 'The level of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10.154, p=.002). The second hypothesis, 'The degree of health promotive behavi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17.349, p=.000). 3.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 efficacy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pretest and posttests (pretest: r=.732, p=.000 ; posttest : r=.754, p=.000). 4. The significant variables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religion(t= -1.97, p=.05), family income(F=4.85, p=.00), education level (F=6.38, p=.00) and involvement in social activities(t= -3.06, p=.00)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summary, a hea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 efficacy theory has made an improvemen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 efficacy, the better the health promotion is in middle aged women. The study has proved that nurses can provid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promotion in middle aged women through the adaptation of a program increasing the subject's self efficacy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