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ressive symptom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3초

Using Tobit Regression Analysis to Further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Youth Alcohol Problems with Depression and Parental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 Females

  • Delva, Jorge;Grogan-Kaylor, Andrew;Steinhoff, Emily;Shin, Dong-Eok;Siefert, Kristin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45-149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extent to which youth depressive symptoms, parental alcohol problems, and parental drinking account for differences in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a large sample of adolescent females. Methods : The stratified sample consists of 2077 adolescent females from twelve female-only high schools located in a large metropolitan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alcohol use and alcohol problems, their parents' alcohol problems, and a number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Data were analyzed using tobit regression analyses to better characterize the associations among variables. Results : Almost two-thirds of students who consume alcohol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to two alcohol-related problems in their lives and 54.6% reported at least one current symptom of depression, with nearly one-third reporting two depressive symptoms. Two-thirds of the students indicated that at least one parent had an alcohol-related problem, and that approximately 29% had experienced several problems. Results of tobit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that youth alcohol-related problem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p<0.01) and parent drinking problems (p<0.05). Parental drinking is no longer significant when the variable parental attention is added to the model. Decomposition of the tobit parameters shows that for every unit of in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and in parent drinking problems, the probability of a youth experiencing alcohol problems increases by 6% and 1%, respectively. For every unit of increase in parental attention, the probability of youth experiencing drinking problems decreases by 5%.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s evidence that alcohol-related problems and depressive symptoms are highly prevalent among adolescent females. Although a comprehensive public health approach is needed to address drinking and mental health problems, different interventions are needed to target factors associated with initiation of alcohol problems and those associated with increased alcohol problems among those who already began experiencing such problems.

콜센터 상담원들의 감정노동 및 우울과 프리젠티즘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ur, Depressive Symptoms and Presenteeism among Counselors in Call Centers)

  • 백종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086-4097
    • /
    • 2015
  • 본 연구는 콜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상담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우울수준과 프리젠티즘 수준을 파악하고, 특히 감정노동 및 우울수준과 프리젠티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2개의 콜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원 304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상담원들의 감정노동, 우울 및 프리젠티즘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의 여러 변수들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특히 조사대상자의 프리젠티즘은 우울 및 감정노동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프리젠티즘과 관련성이 있는 변수로는 연령, 업무의 신체적인 부담정도, 우울수준,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프리젠티즘을 낮추기 위해서는 상담원들의 우울과 감정노동 수준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정신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불안 장애와 주요우울장애에서 나타나는 신체 증상과 증상군에 따른 자살 사고, 계획, 행동과의 관계 고찰 (Difference of Somatic Symptoms between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Their Domainal Association with Suicidal Idealization, Plan and Attempts)

  • 안준석;김은영;조맹제;홍진표;함봉진;정인원;안준호;전홍진;성수정;이동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174-183
    • /
    • 2016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 및 불안장애와 우울장애가 동반된 중복 진단군의 신체 증상의 빈도와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러 신체 증상군과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국가적 역학조사연구인 2011년 정신질환 실태 역학 조사 연구(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2011, KECA-2011)에 참여한 만 18세 이상에서 74세 이하의 참여자 6027명 중 지난 1 년 동안 주요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진단 기준을 만족 하면서, 같은 시기에 최소 1가지 이상의 신체증상을 호소한 3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후 조사된 신체 증상을 통증 증상군, 소화기 증상군, 가성신경학적 증상군의 세군으로 분류하여, 각 증상군에 따른 자살 사고, 자살 계획 및 자살 시도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면담 도구로는 한국어판 CIDI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신체 증상에 대한 항목이 포함된 C장과 자살관련 항목이 포함된 S장의 일부 질문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결 과 진단별로 신체 증상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주요우울장애에서는 흉통(p=0.016, 95%CI)이, 불안장애에서는 두통(p=0.004, 95%CI)과 묽은 변이나 설사를 나타내는 증상(p=0.018, 95%CI)이, 주요우울장애와 불안 장애의 중복진단군에서는 균형을 잡기 힘든 것(p=0.006), 기절할 것 같은 느낌(p=0.020, 95%CI), 기억을 잃음(p=0.034, 95%CI)의 증상이 유의하게 많았다. 자살 계획의 경우 통증 증상군에서 자살 계획이 있었던 군의 증상의 평균 개수가 계획이 없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26, 95%CI). 자살 시도의 경우 소화기 증상군(p=0.004, 95%CI) 및 가성신경학적 증상군(p=0.013, 95%CI) 에서 자살 시도가 있었던 군의 증상의 개수가 시도가 없었던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로 갈수록 각 증상군의 신체 증상의 평균의 개수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는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의 신체증상의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증상의 개수가 자살 사고에서 자살 계획, 자살 시도로 진행되는 단계로 갈수록 증가하며 일부 증상군에서는 자살 계획과 자살 시도의 유무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비 정신과적 임상 현장에서 다양하고 많은 숫자의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정신과적인 적극적인 평가 및 자살 위험도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국 기혼 여성에서 만성적인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 (Longitudinal Influence of Chronic Intimate Partner Violence on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Married Woman)

  • 박혜인;이진희;한재현;민성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08-115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기혼 여성에서 만성적인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매년 조사된 설문을 이용하여 언어폭력 및 신체폭력이 우울증상 및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나이, 교육수준, 경제수준, 음주, 종교, 만성질환,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관계 만족도 등을 공변량으로 하였다. 결 과 5년 간의 언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180배, 자살사고를 1.276배 높였으며 이는 우울증상의 영향을 보정해도 유의하였다. 반면, 5년 간의 신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486배, 자살사고를 1.362배 높였으며 우울증상의 영향을 배제하였을 때는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 론 이전에는 자살 사고가 없었던 여성에게 IPV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었을 때 우울증상의 유무와 상관없이 자살 사고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면 IPV를 경험한 여성에 대한 정신과적 개입이 자살률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일부 인터넷 이용자의 우울수준에 따른 우울증 예방프로그램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ternet Us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 조선진;임현우;박용문;이원철;김영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6
    • /
    • 2007
  • Objctive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of Internet user and to offer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Methods: The internet survey was perform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depressive symptom(with Zung's SDS) and so forth from 1,000 internet user (aged $13{\sim}49$ years) via two web sites at Feb($1st{\sim}10th$), 2006. We analyze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and the factors related with that intention by depressive level. Results: In the normal group,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counselling experience(s) on depression(p<.001), and perceived control(p<.001) over the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the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and marginally by gender. In the depressive group, the smoking habit revealed marginal effect(p=.051) and perceived control over the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the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influenced on that intention significantly(p<.001). Conclusion: Among internet users, especially the solutions of barriers to participate in the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is more important at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depression. In the normal group, we need to consider the use of messages tailored by counselling experience(s) on depression. Some intervention program dealing with two subjects, smoking cessation and prevention of depression concurrently, will be appropriate for the depressive group.

우리나라 성인에서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과 우울증의 연관성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for Relationship Between Cholesterol Level on Serum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 이태용;최세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269-276
    • /
    • 2015
  •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과 우울증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설문조사와 검사자료에서 우울증상군 834명과 대조군 3,317명을 추출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교차비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증상은 가족 월수입, 결혼상태, 교육기간, 직업, 흡연상태, 신체활동을 보정한 상태에서 저밀도지단백이 낮을 때(기준 높음) 교차비가 6.435배(95% CI)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낮은 저밀도지단백은 우울 증상을 높일 위험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아직 콜레스테롤에 의한 우울 기전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 연구를 통하여 이를 밝힐 필요가 있다.

일 광역시 당뇨병 환자의 주관적 기억력 장애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n a Metropolitan City)

  • 박모니카;류소연;최성우;박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1호
    • /
    • pp.1-12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n a metropolitan c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1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ged 50 and over from five districts of Gwangju who participated in the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We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s and health related conditions and subjective experience of memory impairment. To find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the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Of all subjects, 31.3% was reported subjective experience of memory impairment. The odds ratios (ORs;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according to 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1.9 (0.9-4.3) in patients in 60s and 2.2 (1.1-4.7) in patients in beyond 70s compared to those in 50s. The OR (95% CI) of ex-smoker compared to the non-smoker was 0.3 (0.8-0.9). The OR (95% CI) of depressive symptom compared to no depressive symptoms was 4.9 (95% CI: 1.8-13.7). Conclusion: In this study,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in patients with diabets mellitus was associated with age, smoking, and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should be detected early through periodic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for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a program for healthy cognitive function should be included in diabetes management program.

한국인 HIV/AIDS 환자의 복약순응도에 미치는 위험 인자 연구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in HIV/AIDS Patients)

  • 오경선;이진수;한은아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4-260
    • /
    • 2023
  • Background: Adherence to antiretroviral treatment (ART) is crucial for maintaining the HIV-RNA suppression in patients living with HIV/AID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low medication adherence among individuals with HIV/AIDS by analyzing data from the Korean HIV/AIDS cohort study. Methods: The dependent variable is ART medication adherence. The depressive symptom and anxiety scores were collected as main independence variables. Covariates included gender, age, transmission route, alcohol and smoking information, and antiviral treatment regimen details. To predict the relationship between ordinal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an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odds ratios (OR) were calcula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emale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low medication adherence (OR=2.91, 95% CI=1.08, 7.83). Among the subjects who were non-smokers and non-drinkers, the risk of low medication adherence was lower (OR=0.36, 95% CI=0.18, 0.70). Depending on the ART treatment group, individuals taking integrase inhibitor had a lower risk of medication adherence (OR=0.31, 95% CI=0.13, 0.76), and those experiencing depressive symptoms were related with a higher risk of low medication adherence (OR=1.97, 95% CI=1.12, 3.46). Conclusions: The encouragement and emotional support of healthcare professionals are essential for patients living with HIV/AIDS who experience depressive symptoms to maintain ART adherence.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nsure that HIV/AIDS infected female with concurrent depressive symptoms can achieve appropriate ART therapeutic effect.

암과 우울증상 네트워크 구조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Cancer and Network Structure of Depressive Symptoms)

  • 황휘진;이경규;이석범;이정재;김경민;김도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121-127
    • /
    • 2021
  • 연구목적 우울증은 감정, 생장증상, 자살 사고 등 다양한 증상들이 혼재되어 있으나 암 환자에서개별 우울증상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암 진단군과 대조군에서의 우울증상 네트워크 구조의 차이를 밝히고자 했다. 방 법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599명의 암 진단군과 연령 성별을 맞춘 599명의 대조군을 선정하였다. 우울증 선별도구인 PHQ-9을 활용하여 우울증상을 평가하였고, 각 증상에 대해 Ising fit 모델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도출하였다. 결 과 두 군에서 개별 PHQ-9의 점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두 군 모두에서 집중력저하-정신운동성 변화, 흥미의감소-우울한 기분, 우울한기분-자살사고 간에 강한 연결성을 보였다. 그러나 무가치함의 중심연결성은 암 진단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암 진단군에서 무가치함과 다른 우울증상들 간의 연결성이 강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은 암 환자의 우울증상에서 무가치함이 치료목표가 되는 중요한 증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불안-우울 환자에서 역기능 호흡 (Dysfunctional Breathing i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

  • 손인기;남범우;홍정완;이재창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162-168
    • /
    • 2021
  • 연구목적 역기능호흡은 일반 외래 진료에서 흔히 마주치는 증상이며, 삶의 질에 영향을 주지만, 간과되는 경우가 흔하다. 천식과 같은 호흡기 장애에서 유병률은 조사가 되었지만, 불안-우울장애에서는 연구가 적다.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에 방문한 불안-우울장애에서 역기능호흡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불안과 우울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135명의 불안-우울장애 환자(불안장애 54명, 우울장애 81명)와 124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역기능호흡 평가는 Nijmegen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안-우울의 정도는 병원 우울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 과 환자군에서 불안, 우울과 역기능호흡의 점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역기능호흡의 점수에 대하여 불안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지만, 우울은 그렇지 않았다. 불안을 공변량으로 하여 비교하였을 때에도, 환자군의 역기능호흡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결 론 불안-우울장애환자들은 정상대조군보다 역기능호흡의 정도가 높다. 역기능호흡에 불안은 영향을 주지만, 우울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불안을 조정하였을 때도 역기능호흡의 정도는 불안-우울장애에서 정상대조군 보다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