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in bond

검색결과 445건 처리시간 0.022초

수종의 All-Etching Agent와 산부식시간에 따른 법랑질 산부식형태 및 전단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VARIOUS ALL-ETCHING AGENTS AND VARIED ETCHING TIME ON ENAMEL MORPHOLOGY AND BOND STRENGTH)

  • 권소란;윤태현;박동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1호
    • /
    • pp.136-149
    • /
    • 1996
  • The effects of various All-Etching Agents (10% phosphoric acid, 10% maleic acid and 10 % citric acid) and 32 % phosphoric acid and varied etching time were evaluated by observing the morphology of the etched enamel surface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by measuring the shear bond strength of a composite resin to human enamel. A total of 156 extracted premolar and molar teeth free of irregularitie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Specimens for the observation of enamel morphology were divided into 12 groups of 3 teeth each, based on the type of etchant used and application time. After exposure to the etching agent specimens were washed air-dried and then glued to aluminum stubs and coated with a layer of gold for examination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pecimens for the evaluation of bond strength were divided into 12 groups of 10 teeth each also based on the type of etchant used and application time. After exposure to the etching agent the specimens were washed, air-dried and a thin layer of bonding agent was applied using a brush. Z 100 composite resin was light cured to the surface and stored at $37^{\circ}C$, 100% humidity for 7 days.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apply a shearing force at $90^{\circ}$ angle from the enamel surface. It is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commercial All-etching agents can be used with a 15-second etching without adversely affecting retention of dental resin materials. At the same time, the acid concentration is probably a suitable compromise regarding the acid's function as a dentin demineralizing all-etch conditioning ag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pecimens etched with 10 % citric acid showed a random superficial etching pattern which could not be related to prism morphology. 2. Specimens etched with 10 % and 32 % phosphoric acid and 10 % maleic acid showed a type I pattern in which core material was preferentially removed leaving the prism peripheries relatively intact or a type II pattern in which prism peripheries were preferentially removed. This delineation became more distinguished as etching time was increased. 3. All-Etching Agents and 32 % phosphoric aci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hear bond strength at 15 seconds etching time.(p<0.05) 4. 10 % maleic acid and 32 % phosphoric acid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10 % phosphoric and citric acid at 15 seconds etching time.(p<0.05).

  • PDF

삭제기구가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LEAKAGE OF A SELF-ETCHING PRIMER ADHESIVE ACCORDING TO TYPES OF CUTTING INSTRUMENTS)

  • 김용희;박재구;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27-334
    • /
    • 2007
  • 이 연구는 서로 다른 카바이드 버와 다이아몬드 버로 5급 와동을 형성 한 후 SE primer 접착 시스템인 Clearfil SE Bond를 이용한 복합레진 수복 시 버의 종류에 따른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 차이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종의 삭제기구를 이용하여 각각 10개의 발거된 대구치의 협면 치경부에 5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1군은 plain-cut carbide fissure bur (no. 245)를 사용한 군, 2군은 cross-cut carbide fissure bur (no. 557)를 사용한 군, 3군은 fine diamond bur (TF-21F: 입자크기 $53\;-\;63\;{\mu}m$)를 사용한 군, 4군은 standard diamond bur (EX-41: 입자크기 $106\;-\;205\;{\mu}m$)를 사용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형성된 와동에 Clearfil SE Bond의 Primer와 Bond를 적용하고 Clearfil AP-X 복합레진을 충전하여 광중합한 후, Sof-Lex disc를 이용하여 마무리와 연마를 시행하였다. 수복된 치아를 2% meth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각 군의 치아를 협설로 절단하여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 점수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learfil SE Bond와 복합레진을 이용한 5급 와동 수복 시 거친 다이아몬드 버의 사용은 카바이드 버나 미세한 다이아몬드 버에 비해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 모두에서 높은 미세누출을 나타내었다.

산부식 전처리에 따른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two-step self-etch adhesive to ground enamel with and without prior acid-etching)

  • 김유리;김지환;심준성;김광만;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8-156
    • /
    • 2008
  • 자가부식 접착제는 사용하기 쉽고, 술식 민감성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특히 산도가 약한 자가부식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결합력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 (Kuraray, Okayama, Japan)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여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t. Paul, MN, USA) 및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iBond (Heraeus Kulzer Gmbh, Hanau, Germany)의 결합강도와 비교하고자 하였고,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에 산부식 전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법랑질에 대한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만 사용한 비산부식 군과 35% 인산 (Scotchbond Etchant, 3M ESPE)으로 산부식 후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산부식 군, 그리고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iBond를 사용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를 사용한 군으로 정하였다. Bovine 전치의 순면을 십자가형으로 4등분하여 각 군으로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각 치아의 순면을 800-grit 실리콘 카바이드 지로 연마한 후 삭제된 법랑질면에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각 군의 접착제를 적용하고 Light-Core (Bisco)로 적층 충전하였다. 시편은 $37i{\acute{E}}$, 증류수에 일주일 동안 보관한 후 low speed precicion diamond saw (TOPMENT Metsaw-LS, R&B,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약 $0.8{\times}0.8mm$ 단면이 되도록 시편을 절단하여 미세시편을 제작하였다. 일주일마다 증류수를 교환하면서 한 달, 세 달 동안 $37i{\acute{E}}$, 증류수에 미세시 편을 보관한 후 각각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 (MPa)는 파절 시에 가해진 힘 (N)을 접착면적 ($mm^2$)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접착계면에서의 파절 양상은 실물현미경 (Microscope-B nocular, Nikon)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대한 통계분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였고, 사후감정은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방법을 이용하였다. 중합 후 1개월 뒤 측정된 각각의 접착제의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유의수준 5%에서 모든 접착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개월 뒤 측정된 각각의 접착제의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유의수준 5%에서 iBond 와 Clearfil SE Bond 비산부식 군과 Scotchbond Multi- Purpose 간에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가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 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05), 3개월 후의 결과에서 Clearfil SE Bond 비산부식 군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Clearfil SE Bond 산부식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즉 35% 인산으로 산부식 전처리를 시행한결과 Clearfil SE Bond 의 법랑질에 대한 결합강도가 증가하였다.

유구치 1급 와동에서 와동벽 위치에 따른 microtensile bond strength 비교 연구 (MICROTENSILE BOND STRENGTH ACCORDING TO DIFFERENT DENTIN WALL POSITION IN CLASS I CAVITY OF PRIMARY MOLAR)

  • 이현헌;정태련;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93-698
    • /
    • 2006
  • 유구치 1급 와동의 복합레진 수복 시 C-factor가 가장 크게 나타나며 중합수축에 의한 응력도 가장 크게 나타난다. 이 실험에서는 응력이 각 와동벽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microtensile bond strength(MTBS)실험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하악 제2유구치 20개를 두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각각 다른 종류의 복합레진으로 수복하였고 개별 치아에서 각각 치수벽 시편과 축벽 시편을 얻어 총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MTBS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student T-test를 통해 검정하였다. ZP: Filtek Z250- 치수벽, ZA: Filtek Z250- 축벽, SP : Filtek Supreme - 치수벽, SA: Filtek Supreme - 축벽,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ZP군과 ZA군, SP군과 SA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p<.001). 2. ZP군과 SP군, ZA군과 SA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p<.001).

  • PDF

중합 전 열처리가 복합레진의 일부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EATING O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

  • 진명욱;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1호
    • /
    • pp.30-3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레진의 광중합 전 열처리가 복합레진의 일부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우식이 없는 여든 개의 발거된 치아를 사용하였다. 네 가지 온도의 복합레진, 즉, 냉장 보관되어 있던 $4^{\circ}C$ 복합레진, 상온 $17^{\circ}C$의 복합레진, $Calset^{TM}$를 이용하여 $48^{\circ}C$까지 전열처리한 복합레진, 그리고 $56^{\circ}C$까지 전열처리한 복합레진을 사용하였다. 복합레진의 물성으로서 치질과의 전단결합강도, 미세경도, 그리고 이중결합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법랑질과 상아질에서 공히 $4^{\circ}C$, $17^{\circ}C$, $48^{\circ}C$, 그리고 $56^{\circ}C$의 온도 중에서 $56^{\circ}C$까지 전열처리한 복합레진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복합레진의 온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복합레진의 온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미세경도를 나타내었다. 복합레진의 온도가 높을수록 이중결합의 전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제한된 여건에서 행해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냉장고 또는 실온에 보관되어 있던 복합레진을 미리 열처리하면 치질과의 전단결합강도, 복합레진의 미세경도 및 이중결합 전환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임상에서 복합레진을 사용 시 복합레진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레진을 미리 열처리하는 것을 추천할 수 있겠다.

In vivo에서 습윤접착과 상아질 교원섬유용해가 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 (IN VIVO EFFECT OF WET BONDING AND COLLAGEN DISSOLUTION IN ACID CONDITIONED DENTIN ON MARGINAL LEAKAGE)

  • 황수진;김명수;이광원;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1호
    • /
    • pp.254-26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that is made by wet bonding to dentin and dissolution of dentinal collagen layer in vivo and in vitro.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to 32 cat's canine teeth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following 4 groups : Group 1 (not acid conditioned) ; Group 2 (acid-conditioned and blot-dried) ; Group 3 (acid-conditioned and air-dried for 30 seconds) ; Group 4 (acid-conditioned and retreated with 10% NaOCl solution). The acetone-based primer and bonding agent of All Bond 2(Bisco Inc., U.S.A.) and composite resin(Z-100, 3M. Dent. Prod., U.S.A.) were then applied. The resin collar and cap attached to each specimen and 50% silver nitrate solution was placed inside the resin cap for 3 hours. After the canine tooth was resected in level of cervical third, specimens were highly polished and observed the degree of the dye penetration on incisal and gingival margi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arginal leakage in all the groups between in vivo and in vitro. 2. In vivo, the degree of leakage on the gingival margin showed the lowerest in group 4 and followed by group 2, 3 and group 1 with ascending order.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all the groups(p>0.05). 3. In vitro, the degree of leakage on the gingival margin showed the lowerest in group 2 and followed by group 4, 3 and group 1 with ascending ord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p>0.05). 4. The marginal leakage of the incisal margin in vitr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1 than the remaining groups(p<0.05).

  • PDF

Microleakage and characteristics of resin-tooth tissues interface of a self-etch and an etch-and-rinse adhesive systems

  • Xuan Vinh Tran;Khanh Quang Tra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2호
    • /
    • pp.30.1-30.1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icroleak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in-tooth tissue interface between self-etch and etch-and-rinse adhesive systems after 48 hours and 3 months. Materials and Methods: 40 extracted premolar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1-step self-etch adhesive system - OptibondTM All-In-One, and 2-step etch-and-rinse adhesive system - AdperTM Single Bond 2. Both groups were subjected to 500 thermocycles (5℃-55℃) befor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alysis or microleakage trial at 48-hour and 3-month time periods. Results: SEM images showed the hybrid layer thickness, diameter, and length of resin tags of the self-etch adhesive (0.42 ± 0.14 ㎛; 1.49 ± 0.45 ㎛; 16.35 ± 14.26 ㎛)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etch-and-rinse adhesive (4.39 ± 1.52 ㎛; 3.49 ± 1 ㎛; 52.81 ± 35.81 ㎛). In dentin, the microleakage scores of the 2 adhesives were not different in both time periods (48 hours/3 months). However, the microleakage score of etch-and-rinse adhesiv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3 months (0.8 ± 0.63 and 1.9 ± 0.88, p < 0.05). Conclusions: The self-etch adhesive exhibited better long-term sealing ability in dentin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etch-and-rinse adhesive. The greater hybrid layer thickness and dimensions of resin tags did not guarantee reliable, long-lasting sealing in the bonding area.

착색지르코니아 코어와 전장 도재 사이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s of veneering ceramics to the colored zirconia core)

  • 강선녀;조욱;전영찬;정창모;윤미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12-319
    • /
    • 2009
  • 연구목적: 지르코니아-도재 수복물에 있어 상부도재와 코어 사이의 결합 실패가 종종 보고되어 왔으며 특히 착색지르코니아 코어는 기존의 백색 지르코니아보다 상부 도재와의 결합력이 약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착색 지르코니아 코어 위의 상부도재를 적층식과 열가압식으로 제작하여 그 전단결합강도를 알아보고, 이를 전통적인 금속-도재간 결합강도와 비교하여 그 임상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금속도재군 (MC)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전통적인 금속도재군 (MC)과 지르코니아 코어를 사용한 두가지 군 (ZB, ZP)에 대하여 각 시스템별로 10개씩, 총 30개의 시편을 제작했다. CAD/CAM을 이용해 직경 12 mm, 높이 2.8 mm의 원판형 지르코니아 코어 (Katana zirconia)를 제작하고, 그 상부에 직경 2.8 mm, 높이 3 mm의 도재를 축성했다. ZB군은 CZR을 이용하여 적층법으로 상부도재를 제작했으며 ZP군은 NobelRondo Press ingot를 열가압하여 제작했다. Shear bond test machine (R&B Inc. Daejeon, Korea)을 이용하여 분당 0.50 mm의 속도로 파절이 일어날 때까지 전단력을 가하여 최대적용력 (N)을 측정하여 전단결합강도를 계산하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였다. 파절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해 파절단면을 관찰했다. 결과: 평균 전단강도 (SD)는 MC 대조군 29.14 (2.26); ZB 29.48 (2.30); ZP 29.51 (2.32) 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든 실험군에서 접착성 실패와 응집성 실패가 혼재된 양상을 보였으며, 응집성 실패가 우세했다. 결론: 1. 착색지르코니아 코어와 상부도재들 간의 전단결합강도는 금속 도재간 전단결합강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착색지르코니아 코어의 상부도재를 제작하는 방식에 있어 적층법과 열가압법 간의 전단결합강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5). 3. 파절양상은 응집성 파절이 우세한 가운데 접착성 파절과 응집성 파절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Ethanol Wet Bonding에서 NaOCl과 EDTA가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dium Hypochorite & EDTA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Ethanol Wet Bonding)

  • 김덕중;송용범;박상희;김형선;이혜윤;유미경;이광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37-44
    • /
    • 2013
  • 근관치료 후 적절한 치관부 밀폐를 위해 레진을 이용한 코어수복방법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근관치료 과정에서 사용되는 NaOCl이나 EDTA같은 근관세척제는 레진 접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ethanol wet bonding을 치수강 상아질에 적용 시에 NaOCl과 EDTA가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30개의 인간 대구치로부터 총 60개의 시편을 얻었고, 이를 무작위로 4개의 군으로 분류했다. G1: 증류수로 세척후 증류수로 마무리 세척, G2: NaOCl로 세척 후 NaOCl로 마무리세척, G3: NaOCl로 세척 후 EDTA로 마무리세척, G4: NaOCl로 세척 후 EDTA로 마무리세척하고 접착과정에서 산부식과정 생략. 접착과정은 인산부식 후 에탄올의 농도를 50%, 70%, 80%, 95% 그리고 100%로 순차적으로 증가시켜가면서 상아질을 탈수시키고 에탄올에 적셔지도록 하였다. 프라이머는 HEMA가 포함되지 않은 상용화된 접착제인 ALL-BOND 3 RESIN과 에탄올을 반반씩 섞어 만들었다. 프라이머 적용 후 ALL-BOND 3 RESIN을 접착제로 사용하였다. 저점도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6mm 두께로 적층충전한 후 빔 형태로 잘라 미세인장결합강도 실험을 하였다. NaOCl 처리한 그룹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는 않았지만 낮은 평균값을 보여주었다(p=0.052). NaOCl 처리 후 1분간 EDTA로 처리한 그룹은 다른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합강도를 보여주었다(p<0.05). EDTA 처리가 결합강도를 향상 시켰지만, 산부식 과정을 생략할 경우 유의하게 낮은 결합 강도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EDTA처리가 산부식 과정을 대신할 수는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저재용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의 치질 및 복합 레진 인레이에 대한 접착양상 (STUDY ON THE INTERFACE BETWEEN LIGHT-CURED GLASS IONOMER BASE AND INDIRECT COMPOSITE RESIN INLAY AND DENTIN)

  • 이송희;김동준;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3호
    • /
    • pp.158-169
    • /
    • 2005
  • 본 연구는 간접 복합 레진 인레이 수복 시 기저재로 사용되는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인레이 접착에 사용되는 레진 시멘트간의 접착 전까지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상아질과 글래스아이오노머, 글래스아이오노머와 레진 시멘트간 접착계면에 대해 SEM 관찰하였다. 2종의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Fuji II LC (GC Co, Tokyo, Japan)와 Vitrebond$^{TM}$ (3M, Paul, Minnesota, U.S.A)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5 mmx7 mm의 실리콘 주형에 Artglass$^{(R)}$ (Heraeus Kultzer, Germany)를 이용하여 레진 인레이를 제작하였다.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를 각 각 1시간, 24시간, 1주 및 2주 동안 37$^{\circ}C$ 증류수에 보관한 후 Variolink$^{(R)}$ II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를 적용하여 인레이를 접착하였다. 만능 물성시험기(Model 4302, Instron, U.S.A)를 이용하여 결합 면에 1 mm/min의 속도로 1000 kg 하중을 가하여 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SEM 관찰을 위해 발거된 제 3대구치에 2급 와동을 형성하였고, 기저재로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를 적용하였다. 인레이를 접착한 시편을 수직 절단하여 상아질, 글래스아이오노머, 및 복합레진 인레이 간의 계면을 SEM (JSM-5400$^{(R)}$ Jeol, Tokyo, Japan) 관찰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글래스아이오노머와 복합 레진 인레이 사이의 전단 결합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기저재 재료에 따른 전단 결합강도의 유의한 차이도 없었으며 대부분 시편에서 글라스아이오노머 내부에서 응집 파괴 (Cohesive failure)가 발생하였다. SEM 관찰 시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상아질 사이에 약 30-20 $\mu$rn 정도의 간극 (gap)이 형성되었으며 , 글래스아이오노머와 복합 레진 인레이 계면에서는 1시간 후 접착한 시편을 제외하고 간극은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