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hygienist education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8초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지도 실천분석 -진료실내의 성인환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Practices of Dental Hygienists in Offering Oral Health Education -In Case of Adult Patients Visiting Dental Clinics-)

  • 이성숙;조명숙;김설악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1-14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the planning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n oral health-promotion program for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by examining how much dental hygienists offered oral health education to adult patients at dental clinics. A parent group was selected, being made up of 1,600 dental hygienists who registered with the Dental Hygienist Association and worked in Seoul.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nd an ${\chi}^2-test$ was made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218 subjects to determine how their practice of oral health educ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certain general characteristics(the sort of organization for which they worked, age, the term of their service, and the mean number of patients per day).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Thees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the following differences to the content of oral health, education: The sort of organization for which the subjects worked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llowing tooth brushing instruction (p<0.05), the effect of oral prophylaxis or education about aftereffects (p<0.05), the regular examination of prosthesis (p<0.05), smoking-prohibition education (p<0.05), and the prevention poor-quality fillings (p<0.01). The mean number of patients per day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regular examination of prosthesis (p<0.05) and the prevention poor-quality fillings (p<0.01). But no significant disparity was generated by age or the term of service. 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the following differences to education about nutrition and diet counseling: The sort of organization for which the subjects worked had a significant effect just on the importance of a balanced menu (p<0.05). Age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vice for vitamin, mineral, protein or other nutrients (p<0.01), and the importance of balanced menu (p<0.001). The term of service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balanced menu (p<0.01), and advice for nutrients including vitamin, mineral or protein (p<0.01). 3.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the following differences to the recommendation and use of oral hygiene aids: The sort of oragnization for which they worked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to a gingival massager and water pick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oduced by age, the term of service or the mean number of patients per day. 4. The use of educational media for oral health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use of pamphlets or booklets significantly varied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 for which they worked and with the mean number of patients per day (p<0.05). The use of slides or slide projector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p<0.05). But no significant disparity was yielded by the term of service. 5.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ade the following difference as to whether a continued oral management system was carried out or not: The sort of organization for which they worked had very a significant effect on this result (p<0.001), and no significant disparity was made by age, the term of service or the mean number of patients per day. 6. The place where oral health education was giver diffe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ort of organization for which they worked made very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o the use of an examination room's dental unit chair or waiting room (p<0.01), and to the use of an oral health education room or reception counter (p<0.001). The term of serv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a counseling room (p<0.01). And the mean number of patients per day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a dental unit chair or reception counter (p<0.05), and to the use of an oral health education room or waiting room (p<0.01).

  • PDF

노인 장기요양보험 이용실태 및 서비스내용에 대한 인식 (Awareness and using status on long-term care insurance and insurance benefits)

  • 정재연;김수화;김영경;안세연;유은미;최부근;황윤숙;한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73-381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toward use and service contents of long term care for the elderly.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96 adults from August 13 to October 20, 2014.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wareness toward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wareness toward long term oral health care services, use of long term care service and use intention for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Results: Those who were aware of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accounted for 55.4 percent. Approximately 50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long term care service items, home visit care, home visit bathing, and home visit nursing. Most of the respondents had information of long term care services by way of mass media and direct contact. Only 13.4 percent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oral health service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The subjects were aware of denture cleaning, oral clean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out of oral health service in order; and oral health services that needed to be offered were denture cleaning, oral health education and professional toothbrushing. They reported that dental hygienists were the most important manpower that offered the efficient oral health care services. They answered that professional manpower and financial support are required for oral health services. The positive thinking to long term care insurance accounted for 89.2 percent and 91.3 percent had use intention for oral health services. Conclusions: Many elderly people have mastication or dysphagic problems due to systemic disea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nounce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and long 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people.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교육경험에 따른 수행도와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of Dental Hygienist's Educational Experience in Infection Control with the Activity Ratio of Infection Control in Health Belief Model)

  • 문상은;홍선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30-436
    • /
    • 2015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2014년 9월 15일부터 10월 5일까지 광주광역시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은 근무기관의 치과의사 수와 하루 평균 환자 수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라고 응답한 경우 수행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적 특성으로 교육 경험자는 근무기관의 치과의사 수 2~4인이면서 근무경력 2~5년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 비경험자는 근무기관의 치과의사 수 1인이면서 근무경력 2~5년차의 비율이 높았다(p<0.05, p<0.001). 감염관리 책임소재자로 치과의료종사자 모두의 비율이 교육경험자와 비경험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은 감염관리교육 경험자, 비경험자 모두 손 씻기에서 가장 높았고, 안면보호에서 낮았다. 건강신념으로 인지된 민감성이 높고, 인지된 장애성 낮을수록 수행도가 높았다. 인지된 민감성, 유익성, 장애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신념으로 인지된 장애성이 낮고, 민감성과 감염예방을 위한 행동의도가 높을수록 수행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 결과로 감염관리에 관한 교육경험유무와 관계없이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교육의 필요 정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감염관리와 관련된 민감성과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감염예방을 위한 행동의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건강신념을 높여 건강행위로 효과적인 감염관리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in Adults)

  • 최은실;정수라;조한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75-785
    • /
    • 2015
  • 본 연구는 KNHANES 제6기 1차 년도(2013년)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만 19세 이상 성인 4,839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교차분석 결과 구강위생용품의 사용(하루 칫솔질 빈도, 치실 사용 여부, 치간칫솔 사용 여부, 구강양치용액 사용 여부)은 성별, 나이, 교육수준, 가구소득, 결혼상태, 치과의료 이용, 치과검진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미치는 변수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성별, 교육수준이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용품에서 모두 공통되지는 않았지만 구강건강상태와 치과의료 이용, 최근 1년간 치과검진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치과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는 구강위생용품을 세분화하여 각 영향 요인을 인식하고 개인의 특성 및 구강상태를 반영한 구강보건교육매체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국민구강보건증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e association between COVID-19 Knowledge,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and infection control practice among dental hygienists

  • Seon-Rye,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71-179
    • /
    • 2023
  •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후 치과감염관리실태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관한 지식과 감염관리인식, 감염관리실행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사이의 연관성을 측정하였다. 일반적 질문 9개, 코로나19 지식 10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관한 3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조사된 12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T검정, 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지식은 10점 중 6.59점, 감염관리 인식은 4점 중 3.57점, 감염관리 실행은 4점중 3.55점이었다. 코로나19 지식과 감염관리 실행은 0.485 양의 상관관계, 감염관리 인식과 감염관리 실행은 0.614 양의 상관관계로 코로나19 지식보다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치과에서 치과위생사들에게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의무화하고, 치과감염관리 매뉴얼에 따라 감염관리 실행을 의무화해야 할 것이다.

일개 지역 치과의사와 치위생학과 학생 간 치과위생사의 업무에 대한 인식의 차이 (Difference of perception of the duties of dental hygienist between dentists and dental hygiene students in an area)

  • 황수정;궁화수;이상훈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2
    • /
    • 2017
  • 치과의료가 새로운 재료와 기자재, 기술의 등장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지만 구강보건인력의 업무 범위는 법적 개정이 쉽지 않은 현실이다. 특히 치과위생사의 경우 업무가 체계화 되고 않고 있으며 업무범위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의사와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 간의 치과위생사의 현재와 미래의 업무 범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아 치과위생사의 법적 업무범위에 대한 검토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일개지역 치과의원, 치과병원에 종사하는 치과의사와 치위생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원치과의사 42명, 치위생학과 4학년 30명이 설문조사에 응하였으며 통계검정은 피셔의 정확검정을 시행하였다. 치과의사와 치위생학과 학생간의 업무 범위 이견은 진료기록부 작성하기, 치주낭 측정, 활력징후 측정하기, 구강위생관리 계획하기, 러버댐장착하기, 도포마취하기, 침윤마취하기, 수술 후 처치하기, 건강보험 청구하기, 치근활택하기, 치주기구 관리하기, 매트릭스 밴드 장착하기, 임시충전하기, 와동내 충전하기, 근관 처치하기, 보철물장착하기, 개인트레이 제작하기, 치면열구전색하기, SP crown 및 제작 및 장착하기, 치간이개하기, 교정용브라켓장착하기, 와이어결찰하기, 엘라스틱 걸기, 고정성교정장치 제거하기, 인력채용참여하기, 인력 교육 및 관리하기에서 나타났다. 치과의사와 치위생학과 학생간의 업무범위에 관해 의견이 차이가 없는 것은 구내외 방사선 촬영 및 현상, 예진하기, 구강보건교육, 진료 후 주의사항 전달하기, 알지네이트 인상채득하기, 모형 만들기, 진료준비하기, 진료보조하기, 감염관리학기, 환자상담하기, 스케일링하기, 연마하기, 치은압배하기, 정밀인상채득하기, 임시치아만들기, 시멘트 제거하기, 불소도포하기, 치과진료비 관리하기, 치과재료 구매하기, 치과기구 관리하기, 치과재료 및 기구 사용상태 기록하기, 폐기물 관리하기, 진료기록부 관리하기이었다. 따라서, 치과의사와 치위생학과 학생은 치과위생사 업무범위에 관한 이견이 존재하므로 관련 단체들의 논의와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치과위생사의 비외과적 치주처치 업무에 대한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의 인식 차이 비교 :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f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of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 application of a co-orientation model)

  • 문상은;홍선화;김윤정;김선영;조혜은;강현주;천혜원;김경선;장선옥;오혜영;문소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7-11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pplied the co-orientation model to investigate the degree to which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recognize the efficiency of dental hygienists'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work; the basic data can be provided as a systematic arrangement that can be applied and extended to dental clinics to raise mutual understanding. Methods: Independent sample t-tests, one-way ANOVA, and paired t-test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888 subjects (530 dental hygienists and 358 dentists) using SPSS Statistics 22.0.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dental hygienists had higher recognition of the efficiency of their work (p<0.001) than dentists, with respect to all items(p>0.05). With respect to subjective agreement, dental hygienists estimated lower recognition among dentists than other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estimated higher recognition among dentists than dental hygienists. With respect to accuracy, dentists' estimation was lower than the actual recognition among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hygienists' estimation was higher than the actual recognition among dentists in all cases except the efficiency of dental hygienists' patient education work and constant learning. Conclusions: There was wide gap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in recognition of the efficiency of dental hygienists'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work. Actions must be taken to rais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regarding dental hygienists'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work, to spread this recognition throughout the dental industry, and to implement systematic support at dental clinics.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for the Quality of Life Among Dental Hygienists)

  • 김혜진;정애화;김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29-239
    • /
    • 2013
  •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삶의 질,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를 치과위생사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평균 직무 스트레스는 $2.84{\pm}0.60$점, 사회적 지지 $3.97{\pm}0.52$점, 삶의 질 $3.18{\pm}0.35$점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영역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근무기관, 교육정도, 경제적 상태, 사회적 지지 영역에서는 연령, 근무기관, 근무형태, 직무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경제적 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 하부 영역별로는 신체적 건강영역에서는 병원에 근무하는 그룹보다 보건소에 근무하는 그룹, 심리적 건강영역에서는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그룹과 연봉 3000만원이상 집단, 사회적 관계영역에서는 대학원 졸업 그룹, 환경 영역에서는 30~34세 그룹이, 보건소에 근무하는 그룹이, 대학원 졸업 그룹이, 3000~3900만원 그룹, 전반적 삶의 질 영역에서는 주 5일 근무하는 그룹이 삶의 질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부적절한 보상과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보건소 근무 치과위생사의 공중구강보건사업 수행업무실태와 대학교육간의 연관성 (Usefulnes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Public Oral Health Service Performance in Korea)

  • 유자혜;조영식;정원균;권호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65-1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치위생과 구강보건관리 영역 교육과정이 보건(지)소 업무 수행에 미치는 활용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치위생과 31개 대학의 구강보건관리 영역 교과목의 시간 수를 조사 분석하고,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96명을 대상으로 보건소에서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 치면세마론 및 예방치과학 실습, 공중구강보건학 실습 및 구강보건통계학 영역의 업무빈도, 교육내용의 유용성, 중요성, 강화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치위생과의 교육과정과 보건(지)소 업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위생과 교과목 관련 보건(지)소 업무로는 치면열구전색이 주 1회 이상 가장 많이 실시하고, 교육내용이 매우 유용한 것으로도 치면열구전색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매우 중요한 교육내용은 대상자별 잇솔질법, 교육내용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항목으로는 대상자별 구강보건교육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2. 업무빈도와 교육내용의 유용성과의 연관성에서, 업무빈도가 가장 높은 치면열구전색이 교육내용 중에서 가장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이 중요한 대상자별 잇솔질교육, 치면열구전색, 대상자별 구강보건관리는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또한 업무빈도가 높은 업무일수록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3.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 영역은 업무빈도에 비해 교육 학습시간수가 적으므로 더욱 강화되어야하고, 치면세마론 및 예방치과학 실습은 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 대상자별 구강건강관리 또한 학습시간수의 부족으로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 PDF

일부 치과위생사의 감염방지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Infection Control Attitude of Dental Hygienists)

  • 김지희;이가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9-136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4월 27일 지역 보수교육에 참석한 치과위생사 235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의 병원감염방지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실시하였으며, 조사항목으로는 일반적 특성 11문항과 치과감염에 대한 태도를 묻는 문항 35문항으로 구성하여 다음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손 씻기에 대한 태도는 3점 만점 중 2.96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의 혈액에 노출된 경험이 없는 치과위생사가 높았다(p < .05). 개인보호 장비에 대한 태도는 2.01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26~30세인 치과위생사(p < .01)와 감염방지 교육경험이 있는 치과위생사가 높았다(p < .01). 2. 표면소독제에 대한 태도는 1.95로 나타났으며, 연령(p < .001)과 근무경력이 적을수록(p < .01), 진료업무 담당치위생사(p < .001),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p < .001), 그리고 감염방지 교육경험이 있는 치과위생사가 높았다(p < .05). 표면소독 방법에 대한 태도는 1.83으로 나타났으며, 감염방지 교육경험이 있는 치과위생사가 높았다(p < .01). 3. 기구관리에 대한 태도는 2.43으로 나타났으며,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p < .01)와 감염방지 교육경험이 있는 치과위생사가 높았다(p < .001). 폐기물 관리에 대한 태도는 2.92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치과위생사들의 치과 감염방지에 대한 태도는 전체평균이 2.08로 나타났으며,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p < .05)와 감염방지 교육경험이 있는 치과위생사가 치과 감염에 대한 태도가 높았다(p < .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