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eted Data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9초

HBase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조사 기법 연구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of HBase)

  • 박아란;정두원;이상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2호
    • /
    • pp.95-104
    • /
    • 2017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발전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대중화로 기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에서는 처리하기 어려운 데이터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의 비정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대안으로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NoSQL DBMS)가 각광 받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디지털 포렌식 조사 기법은 대부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연구되어왔으나, 최근 NoSQL DBMS를 도입하는 기업이 증가하면서 NoSQL DBMS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기법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NoSQL DBMS는 정규화할 스키마가 존재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종류나 운영환경에 따라 저장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디지털 포렌식 조사 시 이를 고려한 새로운 기법들이 필요하다. NoSQL DBMS 중 문서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왔지만, 이를 다른 종류의 NoSQL DBMS에 그대로 적용하기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NoSQL DBMS 중 컬럼형 데이터베이스인 HBase의 구동 방식과 데이터 모델을 소개하고, 운영환경 파악과 아티팩트 수집 및 분석, 삭제된 데이터의 복구 방안에 대해 제안하여 이를 바탕으로 HBase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조사 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실험 시나리오를 통해 제안된 HBase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조사 기법을 검증한다.

소셜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범죄 수사 기법 연구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Model-Based Social Data Collection and Content Exploration)

  • 안동욱;임춘성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3-34
    • /
    • 2019
  • 최근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민생 위협 범죄는 '15년 약 14만여 건, '16년 약 15만여 건 등 사이버범죄 지속 증가 추이이며 전통적인 수사기법을 통한 온라인 범죄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고 있다. 현행 수기 온라인 검색 및 인지 수사 방식만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민생 위협 범죄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없으며, 소셜 미디어 특성상 불특정 다수에게 게시되는 콘텐츠로 이루어 졌다는 점에서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민생 침해 범죄가 발생하는 온라인 미디어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웹 수집 방식 중 사이트 중심의 수집과 Open API를 통한 방식을 제시한다. 또한 불법콘텐츠의 특성상 신속히 게시되고 삭제되며 신조어, 변조어 등이 다양하고 빠르게 생성되기 때문에 수작업 등록을 통한 사전 기반 형태소 분석으로는 빠른 인지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소 하고자 온라인에서 벌어지는 민생 침해 범죄를 게시하는 불법 콘텐츠를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인 WPM(Word Piece Model)을 통하여 기존의 사전 기반의 형태소 분석에서 토크나이징 방식을 제시한다. 데이터의 분석은 불법 콘텐츠의 수사를 위한 지도학습 기반의 분류 알고리즘 모델을 활용, 투표 기반(Voting) 앙상블 메소드를 통하여 최적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생경제를 침해하는 범죄를 사전에 인지하기 위하여 불법 다단계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분류 알고리즘 모델을 활용하고, 소셜 데이터의 수집과 콘텐츠 수사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실증 연구를 제시하고 있다.

  • PDF

스마트폰 플래시 메모리 이미지 내의 단편화된 페이지 분석 기법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alysis Techniques for Fragmented Pages in the Flash Memory Image of Smartphones)

  • 박정흠;정현지;이상진;손영동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827-839
    • /
    • 2012
  • 휴대폰은 개인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디지털 기기로 디지털 포렌식 수사 시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스마트폰은 피처폰과는 달리 일반 PC와 유사한 고성능의 운영체제(Android, iOS 등)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모바일 앱(app)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스마트폰의 사용 흔적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해짐에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 포렌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폰 내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백업 또는 디버깅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파일을 추출하거나, 운영체제의 루트(root) 권한을 획득하여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한 후에 파일시스템(YAFFS, EXT, RFS, HFS+ 등)을 재구성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파일 이외에 삭제되거나 플래시 메모리 페이지의 데이터가 수정되면서 생성될 수 있는 잉여 데이터에 대한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으로부터 획득한 플래시 메모리 이미지 내의 단편화된 페이지(fragmented pages)를 분석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 페이지의 스페어 영역(spare area)이 없어서 파일시스템의 재구성이 불가능한 이미지 또는 정상적인 파일시스템의 비할당 영역에 속하는 임의의 페이지들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자궁절제술 환자의 표준진료지침(Critical pathway) 개발과 적용효과 (The development of the critical pathway for hysterectomy patients and its effect)

  • 김경희;서영승;태영숙;이화자;전성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3-134
    • /
    • 2000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to obtain by developing the critical pathway presented as the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betterment and cost effectiveness the through the continuous and consistent patient management for the hysterectomy patient and applying it to the real practi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d effect the critical pathway for hysterectomy patients in the way to be possible the intergrated in patient management. It was adopted the process of seven phase to develop a critical pathway. To analyze the application effect of the developed critical pathway, this author offered health care service applying the critical pathway to the hysterectomy patient from July. 20 to Oct. 19. 1999. The study method had been done by investigat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rough the questionnaire on 40 patients who had been inpatient hysterectomy.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modified from satisfaction, and cost and length of hospital stay. The data anlyzed by frequency, x2-tes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It was decided that the vertical line of the critical pathway was made up of eight items such as monitoring/assessment, treatment, activity, medication, consult. Lab test, diet, patient teaching and horizontal line was 7days from admission to discharge. 2. After the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expert group about the critical pathway, the horizontal line was amended from hospitalization to five postoperative days and taking their consensus, some contents of the horizontal line was amended and deleted.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satisfaction,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st, the length of hospital stay.

  • PDF

뇌파를 활용한 사용자의 감정 분류 알고리즘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of Users' Emotion Using Brain-Wave)

  • 이현주;신동일;신동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2호
    • /
    • pp.122-1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에게서 취득한 뇌파의 감정분류를 시행하였고, SVM(Support Vector Machine)과 K-means 알고리즘으로 분류실험을 하였다. 뇌파 신호는 측정 한 32개의 채널 중에서, 이전 연구에서 감정분류가 뚜렷하게 나타났던 CP6, Cz, FC2, T7, PO4, AF3, CP1, CP2, C3, F3, FC6, C4, Oz, T8, F8의 총 15개의 채널을 사용하였다. 감정유도는 DVD 시청과 IAPS(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라는 사진 자극 방법을 사용하였고, 감정분류는 SAM(Self-Assessment Manikin)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하였다. 취득된 사용자의 뇌파신호는 FIR filter를 사용하여 전처리를 하였고, ICA(Independence Component Analysis)를 사용하여 인공산물(eye-blink)을 제거하였다. 전처리된 데이터를 FFT를 통하여 주파수 분석을 하여 특징추출(feature extraction) 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류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는데, K-means는 70%의 결과를 도출하였고, SVM은 71.85%의 결과를 도출하여 정확도가 더 우수하였으며, 이전의 SVM을 사용했던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배타적 논리합을 사용한 DCT 기반의 비밀공유 (Secret Sharing based on DCT using XOR)

  • 김천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3-19
    • /
    • 2014
  • 일반적으로 회사의 중요한 비밀을 한명이 소유하고 있다면 해킹과 같은 방법에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탄생한 것이 비밀공유이다. 비밀을 중요한 한사람이 아닌 여러 명이 나누어 보관함으로써 한명이 누군가에 의해서 비밀을 도난당하더라도 복구할 수 있다는 개념에서 출발하였다. 즉, 비밀 정보를 도난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 강한 방법으로 비밀공유 방법이 제안되었다.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방법은 공간영역에 기반을 둔 방법이었다. 이 방법은 간단한 포맷 변환만으로 쉽게 영상의 변형이 일어나므로 원래 은닉된 데이터가 제거된다. 본 논문에서는 JPG의 DCT 기반에 의해서 비밀을 배타적 논리합에 의해서 분배함으로써 이미지에 대한 공격에 보다 강한 면을 보완하고자 제안 하였다. 실험결과 원본 비밀을 정확해 복구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서 입증하였다.

불임 스트레스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fertility Stress Scale)

  • 김선행;박영주;장성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1-155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tress in infertile couples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Prior to item generation, a basic decision was made to conceptualize stress in infertile couples as including two dimensions and four subdimensions. The dimensions were, intrapersonal stress including cognitive and affective stress, and interpersonal stress including marital and social stress. Initially 95 items were generated from the inter-view data of 31 primary or secondary infertile women and from a literature review. These items were analyzed through the Index of Content Validity(CVI) and 69 items were selected which met 70% or more of the CVI. This preliminary Infertility Stress Scale were analyzed for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for construct validity. Forty items were selected through item analysis. This procedure was based on the inter-item correlation matrix, a corrected average inter-item correlation coefficient(.30~.70), a corrected item to total correlation coefficient (.03 or more) and information about the alpha estimate if this item was dropped from the scale. The result of the initial factor analysis including varimax rotation produced eight factors. Five items deleted because of factor complexity(indiscriminate factor loadings). The secondary factor analysis including varimax rotation produced seven factors that coincided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posed for the scale developed. The seven factors were labeled as ‘meaning of children’,‘worthiness’,‘tenacious linking’,‘marital satisfaction’,‘sexual satisfaction’,‘familial adjustment’ and ‘social adjustment’. The alpha coefficient relating to internal consistency was .93 for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easurement derived from the Infertility Stress Scale is useful in assessing the stress of infertile couples.

  • PDF

발전소 계통해석을 위한 MARS 코드의 다차원 이상 난류 유동 모델 검증계산 (Assessment of MARS Multi-dimensional Two-phase Turbulent Flow Models for the Nuclear System Analysis)

  • 이석민;이은철;배성원;정법동
    • 에너지공학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06
  • 원자력발전소의 다차원 이상 유동 현상을 적절히 모사하기 위해 일차원 계통해석 코드에 삼차원 유동모델을 적용하였다. 그 중 다차원모델에 새롭게 적용된 이상 난류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사각 slab 내부의 단상유동을 계산하여 상용 CFD 코드의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단상유동의 경우 난류 모델의 계산이 적절히 수행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차원 이상 유동 계산을 검증하기 위해서 RPI에서 수행된 물-공기 다차원 실험의 기포율 분포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차원 모델의 이상 유동 계산을 위해서는 일차원 기반의 유동양상 맵 중 수평 분리 유동양상이 제거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유동양상 맵을 수정하여 모사한 계산결과가 실험에서 측정된 기포율의 경향을 잘 따르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Effects of Herbal treatment for In-patients with Mild Fever: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 Lee, Sun-Ju;Han, In-Sik;Oh, Hyun-Suk;Lee, Dong-Jin;Yoon, Jeung-Won;Choi, Ga-Young;Hong, Sun-Gi;Lee, Won-Chul;Sun, Seung-Ho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22-130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al extract medicines for inpatients with fever symptoms in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Methods: Medical records of inpatients who experienced over $38^{\circ}C$ of fever from July 2010 to August 2011 has been requested with deleted personal identifiable information. The requested data were analyzed by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dministrated western/herbal medicines, and changes in the body temperature of four administration groups (group 1, herbal extract medicine only; group 2, western medication(antibiotics/antipyretics) only; group 3, combination of herbal extract medicine and western medication; group 4, no medication control). The SPSS 19.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p-value of less than 0.05 was regarded significant. Results: The body temperature has significantly dropped over time in the herbal extract medicine only group (p<0.001) along with the antibiotics/antipyretics only group. When both treatments were combined, stronger antipyretic effect was shown compared to the sole treatment of herbal extract medicine or antibiotics/antipyretics. Conclusion: The use of herbal extract medicines may be effective in alleviation of fever.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신뢰 구축 형성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Building Trust in Smartphone Environment -Focused on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 Busan-)

  • 최유정;조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52-362
    • /
    • 2012
  •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은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내고 있다. 하지만,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오래 남아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신뢰하지 못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쉽게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오래도록 사용되기 위해 필요한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신뢰 구축 모델을 개발하고 사용편의성, 유용성, 즐거움이 사용자만족도와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다. 이 연구를 위해 스마트폰 사용자 22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는 PLS 2.0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사용편의성은 유용성과 즐거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유용성과 즐거움은 사용만족도에, 사용만족도는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신뢰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해내고,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유통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