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nse Industrial Technology

검색결과 559건 처리시간 0.025초

군용차량을 위한 디젤기관의 방산기술 식별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riteria to Identify the Defense Industrial Technology of Diesel Engine for Military Vehicle)

  • 윤흥수;류연승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77-184
    • /
    • 2019
  • 방산기술이 복제되거나 방해기술이 발달되어 그 가치와 효용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부적절한 수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가 필요하여 2015년도에 방위산업기술보호법이 제정되었다. 방산기술이란 방위산업과 관련된 국방과학기술 중에서 국가안보를 위하여 보호되어야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 방산기술 보호체계 중에서 보호대상 기술의 식별 및 관리 체계의 기술식별 기준이 법규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설문을 통하여 141개 방산기술 중에서 고효율 내연기관 추진 기술과 관련 있는 디젤기관 요소기술 식별기준을 정립하고 방산기술 보호체계 중 보호대상 기술의 식별 및 관리 체계를 개선하였다. 연구결과로 디젤기관 요소기술 식별기준으로 작전 운용성, 내구성, 안전성, 계열화 및 모듈화 등을 정립하였다.

국가 안보와 연계한 방위산업 보안 개념 정립 (Conceptualization of Defense Industrial Security in Relation to National Security)

  • 고희재;이용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65-270
    • /
    • 2019
  • 한국의 방위산업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방위산업 보안은 1945년 이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방위산업 보안이라는 용어의 개념을 설정하는 데는 관심이 부족했으며, 관련 법률에 의해 방위산업기술 보호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 되었음에도 방위산업 보안의 개념 정립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는 방위산업기술 보호를 위해 2015년에 방위산업기술보호법을 제정하여 방위산업 보안에 대한 필요성을 강화하였다. 새로운 법이 제정됨으로써 방위산업 보안의 대상 및 보호 자산 다양화 등 패러다임이 변화됨에 따라 방위산업 보안 개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졌다. 방위산업은 국가 안보 관점에서 보안 상의 이유로 정보 공개가 제한되어 학술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방위산업기술보호법 제정으로 보안 영역 확장 등 환경의 변화로 방위산업 보안 개념을 재정립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문을 통해 다양한 방위산업에 대한 개념과 최근 변화된 방위산업 환경을 분석하여 국가 안보적 차원에서 방위산업 보안 개념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고 폐쇄적인 방위산업 환경 속에서 상세 규격에 따른 방법론을 사용하여 방위산업 보안 개념을 학술적으로 정립한데 의의가 있다.

제4차 산업혁명 기반의 국방과학기술 개발 동향 (Development Trends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정유현;김성남;박혜숙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6호
    • /
    • pp.56-67
    • /
    • 2020
  •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net of Things, the cloud, big data, and mobile networks, are inspiring major changes and innovations in the defense sector worldwide. The United States, China, and Russia are pursuing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ies that seek to maintain their leadership on the battlefield in the future through the overwhelming superiority of defense science technology.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concentrate on the development of challenging new disruptive technologies to efficiently respond to future battlefield environments, where the immediat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utcome of a war will lead to combat power. In this paper, we first look at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major countries and describe the latest trends in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ly.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현황 및 발전방안 고찰 (A Consideration about the Status and the Development Plans of MND Smart Defense Innovation)

  • 이광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9
    • /
    • 2021
  • After being introduced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Davos Forum 2016, it is continuously talked about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n industrial and social innovation momentum for solving structural problems of economy and society. In this situation, our government established "the Committe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control tower and announced a policy "4th Industrial Revolution recommendation for government" in 2019.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pursu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policies and organizing a team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Defense Innovation Team"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wide policies from 2019. In this paper, I will look at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the Smart Defense Innovation policy. And I am proposing development plans to create practical results as like "Strengthening governance for the Smart Defense Innov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budget for the Smart Defense Innovation" and so on.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국방 무기체계 개발 발전방향 (Development Direction of Defense Weapon System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김상훈;최승우;홍성표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71-79
    • /
    • 2019
  • Since the announcement of President Klaus Schwab'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the World Economic Forum in Davos, Switzerland in January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merged as a hot topic in our society.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Germany, which are major advanced nations, are preparing and implementing a strategy and system for respon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manufacturing convergence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Korea is announcing the expansion of financial support for R & D investment budget and related industries for major technology related to revolu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efense R & D project procedure of the Defense Improvement Project,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fense weapon system, and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defense weap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4th world industrial revolution trend.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방위산업기술 분석 연구: 특허분석을 중심으로 (Study for Analyzing Defense Industry Technology using Datamining technique: Patent Analysis Approach)

  • 손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01-107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의 방위산업은 고도의 발전을 해왔고 국방비 중에서 국방 R&D 예산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방위산업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 없이는 효과적인 국방 R&D 활동이 제한적이고 자칫 국방예산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주로 실시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정성적인 방위산업기술의 분석에 더해서 정량적인 방법으로 방위산업기술을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방예산의 효율적 사용과 더 나아가서는 세계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더구나 4차 산업혁명의 키워드 중의 하나인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국방산업기술에 적용해서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국방산업기술의 특성과 공백기술을 파악하기 위한 특허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여러 국방산업기술 중에서 화력분야의 기술에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과정은 우선 방위산업진흥원의 방위 산업기업의 분류에서 화력에 관련된 10개 국내 기업의 특허를 Kipris를 통해서 수집하고 이 중에서 IPC 코드를 활용하기 위해서 이를 전처리하여 데이터 매트릭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에서 각 항목 간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연관규칙마이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화력분야의 각 기술에 대한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값을 도출하고 이를 해석하여 결론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막대한 국방예산의 효율적인 사용과 국방산업기술의 경쟁력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방산기술보호를 위한 방산기술 마스터 데이터 관리 체계 구현 방안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Defense Technology Master Data Management System for Defense Technology Security)

  • 박흥순;김세용;권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1호
    • /
    • pp.111-122
    • /
    • 2021
  •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확산으로 국내 방위산업은 첨단 기술이 집약된 산업 구조로 발전하고 있다. 방산기술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정부는 방산기술보호법을 제정하여 방산기술을 보유하거나 관리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방산기술보호체계를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 대상기관이 기술보호체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보호대상이 되는 방산기술을 식별하고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선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방산기술 데이터 관리를 위한 마스터 데이터 항목을 도출하고, 방위산업 환경에 적합한 방산기술 마스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현 방안을 분석하였다. 도출된 방안으로 1차, 2차 마스터 데이터 등 방산기술 마스터 데이터를 식별하였고, AHP분석을 통해 마스터 데이터 관리시스템 목표 모델로 Co-existence 유형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산기술 마스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도입을 통해 한층 강화된 방산기술보호 정책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국방기술기획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Defense Technology Planning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노상우;송유하;최종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51-556
    • /
    • 2018
  • 4차 산업혁명이 시대적 이슈로 떠오르며, 우리나라가 기술 후발주자의 위치에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퍼스트무버'가 되기 위해,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등의 ICT 기술을 향후 어떻게 발전시켜 나아갈지 연구개발전략 수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 우리사회에 미칠 파급효과와 현 국방기술기획체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국방의 R&D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국방 분야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 국방 R&D 전략은 군에서 요구하는 무기체계의 연구개발을 통한 적시 전력화를 위해 각 무기체계의 핵심기술들을 사전에 확보하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 제도 하에선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역할이 군에서 요구하는 무기체계의 일부 기능 구현으로 국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약의 개선방안으로써 소요무기체계가 결정되지 않았지만, 미래 전장을 선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선도형 핵심기술 사업의 활성화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국방 R&D 체계 내의 역할 확대를 위해 무기체계 선도형 핵심기술 로드맵의 수립을 제안하였다.

국방핵심기술 연구개발의 제안서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Proposals of National Defense Core-Technology R&D Projects)

  • 김찬수;조규갑
    • 산업공학
    • /
    • 제21권1호
    • /
    • pp.96-108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the systematic design approach for develop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that evaluate the candidate proposals in the national defense core-technology R&D project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fairnes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the existing evaluation process in a military and a public sector are surveyed and also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of the core-technology R&D programs for the national defense is analysed and discussed. A new system for the evaluation indicators is designed by using the axiomatic design, factor analysis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evaluation indicators contribute to enhance the fairness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process for the proposal of the national defense core-technology R&D projects.

융합보안 관점에서 방위산업보안 개념 정립과 연구동향 분석 (Resaerch Trend and Cocentualization of Defense Industry Security From Convergence Security Perspective)

  • 우광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1호
    • /
    • pp.69-78
    • /
    • 2015
  • 산업스파이에 의한 핵심기술 유출이 점차 지능화, 첨단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또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융합보안이 대두되었고 모든 산업분야에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국가적 핵심기술과 인력 및 시설을 포함하고 있는 방위산업은 융합보안이 더 요구되는 산업분야이다. 방위산업은 국가의 안전보장에 필요한 방위산업물자를 연구, 개발, 생산하는 산업이다. 방위산업은 군사기밀, 산업비밀, 핵심기술인력, 방위산업물자, 국가중요시설, 정보통신체계 등 다양한 보안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방위산업보안은 군사보안과 산업보안의 복합체이며 방위산업의 모든 보안요소를 통합하는 융합보안이다. 따라서 방위산업보안은 융합보안의 대표적인 실천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방위산업보안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인 다른 산업분야에서의 보안과 관련된 연구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방위산업의 핵심기술 유출을 방지하고 기술인력 및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방위산업보안을 융합보안의 개념에서 연구하고 실천하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