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olorization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1초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추출물의 생리활성 (Charactriz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 조영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43-949
    • /
    • 2012
  • 숙지황(Rehmannia glutinosa)으로부터 유용성분 추출은 40% 에탄올 추출물에서 $5.1{\pm}0.2mg/g$으로 가장 높은 phenolic compound 함량을 나타내었다. 숙지황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전자공여능의 경우 물 추출물과 4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85~93%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었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의 경우 물 추출물과 40% ethanol 추출물이 55~62%의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효과를 효과를 나타내었고,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는 $200{\mu}g/ml$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4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1.6~1.9 PF의 높은 항산화력이 확인되었고, TBARs는 물 추출물과 40% ethanol 추출물이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효과를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숙지황 추출물의 고혈압억제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87.2%, 40% ethanol 추출물에서 81.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관절염억제효과는 매우 낮게 측정 되었으며,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확인되었다. 숙지황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은 40% ethanol 추출물에서 70%의 높은 저해효과가 확인되어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주름 생성과 관련된 elastase 저해 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76%, ethanol 추출물 57%의 높은 elastase 억제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숙지황 추출물에 대한 hyaluronidase 저해활성은 40% ethanol 추출물에서만 $200{\mu}g/ml$ phenolic의 농도에서 약 5%의 매우 낮은 hyaluron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Potential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of Phyllanthus acidus leaf extract in minced pork

  • Nguyen, Tuyen Thi Kim;Laosinwattana, Chamroon;Teerarak, Montinee;Pilasombut, Komkha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9호
    • /
    • pp.1323-1331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ion solvents on antioxidant bio-active compounds as well as potential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of Phyllanthus acidus (P. acidus) leaf extract in minced pork. Methods: The effect of various solvent systems of water, 25%, 50%, 75% (v/v) ethanol in water and absolute ethanol on the extraction crude yield,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P. acidus leaves was determined. In addi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addition of crude extract from P. aciuds leaves at 2.5 and 5 g/kg in minced pork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reducing power and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were determined. Moreover, sensory evaluation of the samples was undertaken by using a 7-point hedonic scal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crude yield (2.8 g/100 g dry weight) was obtained from water which also had the highest recovery yield for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The addition of crude water extract from P. acidus leaves was more effective in retarding lipid peroxidation an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control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in minced pork. In particular, the samples containing P. acidus extrac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ory scores of overall appearance, color, odor, textur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Conclusion: Water solvent was an optimally appropriate solvent for P. acidus leaf extraction because of its ability to yield the highest amount of bio-active compounds and in vitro antioxidant property. Particularly, P. acidus crude water extract also strongly expressed the capacity to retard lipid oxidation, radical scavenging,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nd reducing power in minced p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 acidus leaf extract could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 in the pork industry.

이팝나무 잎과 열매, 꽃 (Chionanthus retusu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hionanthus retusus leaves, Fruits and FLower)

  • 김미성;이은호;조영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3권2호
    • /
    • pp.49-56
    • /
    • 2015
  • 본 연구는 이팝나무 잎과 열매, 꽃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을 통한 기능성 식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팝나무 꽃 추출물에서 phenolics 함량은 물과 90%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20.8, 32.2 mg/g을 나타내었다. 이팝나무 잎, 열매, 꽃을 $100{\mu}g/mL$로 농도를 조절하여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70% 이상의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decolorization는 $100{\mu}g/mL$ phenolic 농도에서도 모두 약 8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50{\mu}g/mL$ phenolic 농도에서 이팝나무 잎의 물과 ethanol 추출물은 각각 2.27, 1.70 PF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TBARs를 측정한 결과, 이팝나무 잎, 열매, 꽃 추출물의 $200{\mu}g/mL$ phenolic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7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팝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TBARs를 제외한 모든 실험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BHT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팝나무 잎, 열매, 꽃 추출물은 수용성, 지용성 물질에 대한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고, 이 결과로 이팝나무 잎과 열매, 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오디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물질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ry Fruits)

  • 차원섭;신해룡;박준희;오상룡;이원영;천성숙;추재원;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83-387
    • /
    • 2004
  • 뽕나무 열매(오디)를 이용하여 천연항산화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오디로부터 페놀성 물질을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페놀성 물질의 추출은 60$\%$ ethanol을 사용하여추출하는 것이 수율이 가장 좋았으며, rutin과 isoquercetrin의함량이 높았다. 추출된 오디 추출물의 ABTS radical decolorization과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살펴 본 결과 ABTS는 80 추출물이 약 98$\%$의 억제율로 최고의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PF는 60$\%$ 추출물에서 1.25로 가장 높은 protection factor를 나타내었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60$\%$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이나 다른 농도의 ethanol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보다 우수하였다.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각 추출물들의 영향은 60$\%$ 에탄을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오디로부터 추출한 페놀성 물질은 천연 항산화 물질로 활용할 수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품종이 다른 뽕잎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과 항산화 효과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 조영제;주인식;김병오;김정환;이병구;안봉전;추재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34-343
    • /
    • 2007
  • 108종의 표본묘목으로부터 채취한 뽕나무잎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와 Helicobacter pylort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효과 중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양면상 등 13종의 뽕잎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었으며, 80% ethanol 추출물에서는 고수9 등 59종의 뽕잎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어, 물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8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대부분의 뽕잎 추출물들이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TBARS 값은 control값이 $0.493{\times}10^{-2}{\mu}M$로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에서는 청운뽕, 도내, 축무, 사천금, 수원상 1호, 불전 2호, 오노다마구와, 야마나까다까스께를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ethanol 추출물에서도 대축면을 제외한 107종의 품종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어 산화촉진인자를 binding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TBARS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에서는 많은 종류의 뽕잎 80% ethanol 추출물에서 2이상의 높은 PF를 나타내었으며, TBARS값과 PF값 모두 80% ethanol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뽕잎 품종별 추출물로 Helicobacter pylori균을 저해하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108종의 뽕잎 중에서 감락상, 다호조생, 신일뽕, 국상 27호, 개량십문자, 국부, 수중상, 백광 6호, 이상, 사천금, 영변추우, 사175, 당상 2호, 청목노상 및 수중상 등 15 품종의 뽕잎에서 저해환을 나타냈으며, 그 중 물 추출물에서는 다호조생 품종이 지름 13mm의 저해환을, 알코올 추출물에서는 청목노상 품종이 지름 15mm의 저해환으로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천연 항균제 및 생리활성 물질로의 이용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Koidz.) 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및 항산화효과 (Polyphenol and Anti-oxidant Effect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Leaf Extracts)

  • 전동하;이진태;천순주;이창언;김태훈;이도형;한진규;김세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3-348
    • /
    • 2009
  • 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의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분석을 위해 전자공여능,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의 총 함량은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104 mg/L, 125 mg/L으로 정량되어 70% EtOH 추출물이 열수추출 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70% EtOH 추출물이 1,000 ppm에서 93.1%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와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다.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은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이 1,000 ppm에서 49.6%, 49.5%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보다 높은 nitrit oxide radical 저해활성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1,000 ppm농도에서 열수 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46.6%, 60.4%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은 1,000 ppm에서 열수추출물이 92.7%, 70% EtOH 추출물이 91.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음나무 잎의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많은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으며,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합성항산화제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다소 낮지만 천연 항 산화제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음나무 잎의 강한 항산화능을 피부노화 예방관련 미용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한 유용한 수종으로 개발 될 수 있을 것이다.

추출용매 비에 따른 백부자(Aconiti koreani Rhizoma) 추출물의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 (Antimicrobial Effec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Baek-bu-ja(Aconiti koreani Rhizoma) by Extraction Solvent Ratio)

  • 윤소정;김정환;이경환;권효정;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58-262
    • /
    • 2005
  • 백부자(Aconiti koreani Rhizoma)를 이용한 항암효과와 노화억제를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항균 및 항산화효과를 조사하였다. 백부자 추출물의 phenol성 물질의 추출수율은 열수추출물이 $8.45{\pm}0.27\;mg/g$이었으며, 에탄올추출물은 20, 40, 60, 80, 100% 농도별로 각각 $6.40{\pm}0.10\;mg/g$, $6.53{\pm}0.26\;mg/g$, $6.96{\pm}0.25\;mg/g$, $2.44{\pm}0.04\;mg/g$, 0.31{\pm}0.17\;mg/g$으로 열수추출물의 phenol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효과가 높다고 알려진 phenol 성분의 함량을 HPLC 분석결과 항산화 효과가 높은 protocatecuic acid, chlorogenic acid, rosemarin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H.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는 에탄올추출물에서만 관찰되었다. ABTS radical decolorization과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살펴 본 결과 ABTS는 60% 에탄올추출물에서 $94.25{\pm}0.68%$로 가장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PF 역시 60% 에탄올추출물에서 $1.14{\pm}0.05$로 비교적 높은 protection factor을 나타내었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20% 에탄올추출물에서 $93.69{\pm}0.19%$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40%, 60%, 80%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열수추출물에서는 $60.10{\pm}1.63%$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각 추출물들의 영향은 80% 에탄올추출물이 다른 농도의 추출물들에 비하여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백부자로부터 추출한 페놀성 물질은 60%의 ethanol로 추출한 추출물이 천연항산화 물질로 활용이 가능한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태양광 복사 가속화 시험을 통한 에폭시 폴리머의 색 변화 특성 연구 (Research on the Decolorization of Epoxy Polymer by Accelerated Solar Radiation Test)

  • 이상봉;이동건;김명준;이수용;박정선;강태엽;백상화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949-956
    • /
    • 2016
  • 태양광 복사에 의한 기계적 부품의 강성 및 강도 저하, 변색 등의 영향이 다양한 항공우주 산업분야에서 관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연구를 위해 자연 상태의 태양광에 대한 노출 시험을 수행할 수 있지만 균일한 시험환경 구현이 어렵고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자연 상태의 태양광 복사강도($1,120W/m^2$)를 가속화 할 수 있는 시험 장치를 개발하고, 섬유강화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epoxy polymer에 대한 가속화 시험을 통하여 태양광 복사에 따른 색 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시험 시편은 인장 시험 규격인 ASTM-D638에 따라 제작하였으며, 시험 기간에 따른 색변화 특성에 관한 가속계수와 역제곱 모형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복사강도가 증가할수록 동일한 변화량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목재 부후균의 리그닌 분해효소 활성과 염료 화합물의 탈색 (Production of Lignin Degrading Enzymes and Decolorization of Various Dye Compounds by Wood-Rot Fungi)

  • 장태원;전상철;안태석;김규중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4-39
    • /
    • 2006
  • 목재부후균은 리그닌 분해효소로 lignin peroxidase (LIP), Mn-peroxidase (MNP) 및 laccase를 생성하는데 균류에 따라 위의 효소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효소를 분비하거나 전혀 생성하지 않는 균도 있다. 본 실험은 이러한 목재 부후균의 효소생성 양상과 몇 종의 염료화합물 탈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사한 23종 36균주 중 MNP 생성균은 30균주였으며 LIP 혹은 laccase 생성균은 각각 11균주와 12균주였다. 또한 같은 종에서도 효소활성은 다양한 양상을 보여 주었다. 리그닌 분해효소 활성과 비교하여 염료 탈색 정도는 세 효소가 모두 분비되는 백색 부후균의 경우 염료 탈색율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고 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MNP 활성만을 갖는 균주의 경우, poly R-478 polymeric dye 및 anthron-type dye 인 remazol brilliant blue R염료는 효소 활성도와 다소 유연관계를 보였으며 methylene blue, bromophenol blue및 congo red 염료는 위의 효소들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오히려 균사의 생장과 비례하여 탈색율을 나타냈다. LIP, MNP 및 laccase 효소활성이 거의 검출되지 않은 갈색 부후균에서는 bromophenol blue를 제외하고는 염료의 탈색이 10%미만 혹은 전혀 탈색이 되지 앓았다.

골담초(Caragana sinica)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aragana sinica Extracts)

  • 전영숙;조분성;박혜진;강선애;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11-1219
    • /
    • 2012
  • 골담초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1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많이 용출되었다. 항산화 효과 중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는 꽃과 잎 모두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74%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 꽃의 경우 70~90% 에탄올 추출물에서 6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으로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측정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2 이상의 PF를 나타내었다.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골담초 추출물의 영향은 꽃의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었다. ACE에 대한 골담초 추출물의 저해활성은 꽃의 경우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 모두 80~99%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Xoase 대한 저해활성은 꽃보다 잎 추출물의 저해활성이 높았다. 골담초 추출물의 주름개선과 미백효과를 확인한 결과 꽃과 잎 추출물 모두 페놀성 물질을 0.8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50% 이상의 elastase 저해활성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40.24%로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수렴효과는 같은 농도의 tannic acid보다 높은 수렴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