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bris accumula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초

홍수시 유송잡물 이동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vemen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ebris Accumulation at Flood)

  • 오채연;전계원;윤영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07-710
    • /
    • 2008
  • Recently, a rivers' bridge that locate on among the mountains area is destroyed by debris accumulation and debris flow, because of frequent occurrence of typhoon and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therefore a river make a part of dam's effect. Actually, this situation gives damages like inundation of a bridge upper stream area's. Generally, It the main cause of the occurrence route of the debris accumulation is that outbreaks of driftwood and debris flow because of landslide, that occurred by severe rain storm. Also, a lot of debris are occurred when big flood come up during long period at this time, this kind of debris accumulation remove to other place, in several, and specially, debris accumlation move to the place where the depth of water is deep and velocity is fast river center. According to these kind of fact, this research put in effect and analyze that movement characteristic's numerical simulations of debris accumulation at flood according to a domestic outside literature investigation, on-site monitoring survey and parameter scenario which comes out through the hydraulic modeling analysis.

  • PDF

낙동강 유역 부유쓰레기의 집적 구간 탐색 및 성상 조사 연구 (A Study on Exploring Accumulation Zone and Composition Investigation of Floating Debris in Nakdong River Basin)

  • 장선웅;김대현;정용현;윤홍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5-58
    • /
    • 2015
  • 본 연구는 낙동강 부유쓰레기에 대한 실태 조사와 이동 경로 추적 시험을 통해 주요 집적 구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요 집적 구간을 대상으로 표본 조사를 실시하여 부유쓰레기의 유입량 및 성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 중 하류 지역으로부터 총 5곳의 집적 구간이 선정되었으며 대량의 초목류와 생활쓰레기가 집적되어 있었다. 그리고 하류 지역에 위치한 2곳의 집적 구간에서는 부유쓰레기가 해양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주요 집적 구간에 대한 표본 조사에서는 초목류와 생활쓰레기를 포함한 $40{\ell}$이상의 쓰레기가 수거되었다. 생활쓰레기의 성상을 분류한 결과 플라스틱류가 49%를 차지하였으며 스티로폼류가 3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향후 본 연구는 낙동강 부유쓰레기의 해양 유입을 줄이고 효율적인 사전 수거 활동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실규모 실험검증을 통한 스위퍼의 유송잡물 저감능력 검토 (Verification on Debris Reduction Ability of the Sweeper by Real Scale Experiment)

  • 김성중;정도준;강준구;여홍구;김종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4-44
    • /
    • 2016
  • 본 연구는 소하천을 대상으로 홍수로 인한 교량에서의 유송잡물 집적을 방지하기 위한 저감시설에 대한 실험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소하천은 태풍 및 집중호우 시 유송잡물에 의한 구조물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이러한 피해에 대한 저감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국외에서는 유송잡물로 집적으로 인한 피해저감시설로 수직분리대방식, 말뚝시설방식, 스위퍼 방식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송잡물 저감시설 중 스위퍼를 대상으로 실규모 집적실험을 통해 저감능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스위퍼는 교각전면부에 설치하여 자력회전을 통해 유송잡물을 우회시켜 교각에 유송잡물이 집적되지 않게 만드는 시설이다. 실규모 실험을 위해 소교량 모형을 실물크기로 제작하였으며, 유송잡물 길이와 흐름조건에 따라 스위퍼 설치 전 후 집적실험을 통해 저감능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유송잡물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유속이 적을 경우 집적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위퍼 설치에서 따른 유송잡물의 집적률은 스위퍼 설치 전에 비해 최소 55%에서 최대 88%의 유송잡물 집적률이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판단할 때 유송잡물 잠재능력이 높은 소하천에 스위퍼를 설치할 경우 유송잡물 집적으로 인한 교량의 안정성 확보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교량 유송잡물 저감시설의 비교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Debris Reduction System on Small Bridge)

  • 김성중;정도준;강준구;여홍구;김종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1-41
    • /
    • 2016
  • 홍수 시 하천을 따라 이동하는 유송잡물로 인해 교량을 비롯한 구조물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송잡물 저감시설인 수직분리대, 우회말뚝, 스위퍼를 제작하여 실험수로에서 저감시설 유무에 대한 집적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직분리대는 교량에 집적되는 유송잡물에 평행 흐름을 발생시켜 이를 통과시키는 저감시설로써 목재를 이용해 제작하였으며, 우회말뚝은 유송잡물의 방향을 우회시키는 방식으로 강파이프를 이용해 제작하였다. 스위퍼는 스크류 형태의 원통형 구조물이 흐름에 의한 자력 회전으로 유송잡물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아크릴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실험은 유송잡물의 경도 및 투하 방법에 따른 집적 정도를 분석하여 저감시설의 집적률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5회 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저감시설의 종류, 유송잡물 형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유송잡물이 집적되는 형태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경우가 많았다. 교량에 대한 직접적인 저감효과는 우회말뚝, 스위퍼, 수직분리대 순으로 나타났지만 우회말뚝의 경우 말뚝에 직접 집적되는 유송잡물로 인하여 흐름교란, 수위 및 하상변동, 말뚝의 유실 등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암거의 유송잡물 저감시설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bris Reduction System for Culvert)

  • 김성중;강준구;김종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96-706
    • /
    • 2017
  • 본 연구는 소하천에 설치된 암거를 대상으로 유송잡물 집적 빙지를 위한 저감시설에 대한 실험검증 연구이다. 암거는 도심지 내부나 도심을 통과하는 도로와 철도 아래에 인공수로를 만들기 위해 매설하는 구조물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도로암거와 수로암거로 구분된다. 이중 수로암거는 유수를 하천으로 배출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조성되는 구조물로 홍수시 토사 또는 나뭇가지나 잡풀과 같은 유송잡물의 집적으로 인해 구조물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단면폐색으로 인한 월류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유송잡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송잡물 저감시설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해 기존 재시된 3가지 유송잡물 저감시설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유송잡물을 우회시키는 방식인 수직분리대를 설치할 경우 설치전에 비해 집적률은 27.65% ~ 31.39%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유송잡물 차단이 목적인 스크린과 우회스크린은 유송잡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높은 차단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수위상승에 대한 영향을 복합적으로 검토하였을때 우회스크린방식이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스크린빙식은 차단 효과는 좋으나 집적으로 인한 수위상승 위험성이 높아 지속적인 유송잡물의 회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무인항공기 및 다중분광센서를 이용한 하천부유쓰레기 탐지 기법 연구 (Detection Method of River Floating Debri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ultispectral Sensors)

  • 김흥민;윤홍주;장선웅;정용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1호
    • /
    • pp.537-546
    • /
    • 2017
  •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 및 다중분광센서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하천의 부유쓰레기 발생 범위를 산정하였다. 부유쓰레기 탐지 구간을 대상으로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항공촬영을 통해 면적 계산이 가능한 정사영상을 생성하였으며, 분광조사를 수행하여 하천수, 스티로폼, 초목류 등의 분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부유쓰레기 탐지 지수식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산출된 지수식을 이용한 센서의 밴드 조합을 통해 스티로폼을 비롯한 부유쓰레기를 탐지하였다. 탐지 지수식 적용 결과 정사영상 내 총 3지점에서 대량의 부유쓰레기 집적 구간이 확인되었으며, 탐지 대상 면적 중 집적구간을 포함한 3.6%에 해당하는 0.82 ha($8,200m^2$)에서 스티로폼과 초목류를 포함한 대량의 부유쓰레기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토석류 재해 조사법의 제안 (The Proposal of Debrisflow Investigation)

  • 최희림;장범수;이왕곤;박상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100-1106
    • /
    • 2009
  • A debris flow is known as that flood and landslide of water cause much physical human damages worldwide to complex natural disaster that happen combining and happy event is happening mainly in urgent mountains area in domestic. Because happen about debris flow that happen from each place every year and is drift, mechanism of accumulation definitely make clear and great many damage is not running out. Must grasp actual conditions of priority debris flow to need debris flow prevention countermeasure and lay countermeasure to take away damage by debris flow. Because collecting actual conditions of debris flow that happen by objective investigation methods and accuracy, proposed about investigation calamity investigation method so that can calculate debris flow damage and prepare in subsequentness damage.

  • PDF

토사 적체에 따른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of storm sewer according to accumulation of debris)

  • 권혁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09-517
    • /
    • 2010
  • Statistical distribution of annual maximum rainfall intensity of 18 cities in Korea was analyzed and applied to the reliability model which can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of storm sewer. After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distribution of annual maximum rainfall intensity of 18 cities in Korea is well matched with Gumbel distribution. Rational equation was used to estimate the load and Manning's equation was used to estimate the capacity in reliability function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of storm sewer.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by developed model applying to the real storm sewer. It was found that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is abruptly increased if the diameter is smaller than certain size. Therefore, cleaning the inside of storm sewer to maintain the original diameter can be one of the best ways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In the present study,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according to accumulation of debris in storm sewer was calculated.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the amount of debris seriously decrease the capacity of storm sewer and significantl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토사적체에 따른 우수관의 조도계수 변화와 성능불능확률 (Probability of Performance Failure and Change of Roughness Coefficient According to Accumulation of Debris in Storm Sewer)

  • 권혁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35-14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수관의 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른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할 수 있는 신뢰성 모형이 개발되었다. 조도계수는 우수관의 토사의 적체에 따라 다시 산정되었으며 새로운 조도계수를 이용하여 신뢰성 해석이 수행되었다. 해석결과, 우수관에 적체되는 토사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우수관의 용량은 크게 감소하고 성능불능확률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관에 적체되는 토사의 깊이에 따라 산정된 조도계수를 사용한 신뢰성 모형을 대구와 전주에 적용하였다. 원형 우수관에 적체된 토사의 깊이가 증가할수록 우수관의 조도계수는 커지고 성능불능확률도 역시 크게 증가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태풍 내습후 낙동강 하구 사주해안의 쓰레기 분포 (Distribution of Marine Debris collected from the Sandbar Coastline of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Typhoons' Passage)

  • 박순;윤한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 우사기(USAGI)와 나리(NARI) 내습시 낙동강 진우도 해안쓰레기량을 조사하여 그의 양, 종류 및 구성 성분을 평가하고, 수치모형실험을 통한 태풍 내습 파랑분포와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1) 태풍 내습시 낙동강 하구 진우도 해안쓰레기는 $5,769/86kg/km^2/day$의 퇴적속도로 퇴적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이는 평상시보다 약 14.42 배 많은 양이다. (2) 진우도 전면해역에서의 태풍 내습시 파고분포는 4.1-3.5m였으며, 진우도 전면해역이 도요등 전면해역보다 파고비가 약 1.0배에서 2.5배 상승하여, 파랑에너지의 집중도가 크고, 보다 많은 양의 부유물질(쓰레기)의 밀집이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