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um points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초

절대위치 검출형 실린더 개발 및 외란 부하에 대한 성능평가 (Development of Absolute Position Detecting Cylinder and Evaluation under the Load Disturbance)

  • 김성현;박민규;홍영호;이민철;이만형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8-75
    • /
    • 2003
  •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hydraulic cylinder with magnetic sensors detecting absolute and precise position for automation of excavator. The system which is developed can detect absolute position with a little displacement by using algorithm for recognizing datum points, 114 divider algorithm and high precision algorithm improved position precision. We alse evaluate the developed system under the load disturbance and add band pass filter to the previous's signal process circuit for the protecting magnetic sensors's saturation.

가상기지국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측 정확도 분석 -진주시 일원을 중심으로- (Accuracy Analysis of Cadastral Control Points Surveying using VRS case by Jinju city parts)

  • 최현;김규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3-422
    • /
    • 2012
  • 1960년대 GPS가 개발되어 2000년도 미국에서 SA(Selective Availability)를 해제함에 따라 본격적인 상용화가 시작되며 현재에 이르렀다. 개발을 거듭해온 GPS의 관측 방식 중 실시간 이동측량방식은 항상 2대의 수신기가 필요하며 기준국과 이동국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으로 가상기지국 방식이 도입되었다. 가상기지국은 여러 개의 GPS상의 관측소 자료로부터 이동국 인근에 가상점을 생성시켜 이동국의 정밀한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므로 신뢰성과 이동성이 높다. 또한 현재의 지적기준점은 방위각법, 배각법, 다각망도선법 등의 방법으로 관측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측량성과가 서로 다른 기지점의 성과차, 도선의 길이에 대한 제약, 관측시의 여러 오차들로 인하여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시관측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적기준점에 대하여 가상기지국 방식을 통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관측결과, 지적기준점을 관측한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하여 배각법으로 관측한 성과와 VRS-RTK로 관측한 성과를 비교한 결과 X축 평균오차 -0.08m, Y축 평균오차 +0.07m, 평균거리오차 0.11m로 나타났다.

안면도 할미섬 주변의 침식·퇴적환경 변화 분석 (Analysis of Sedimentation and Erosion Environment Change around the Halmi-island, Anmyeondo in West Coast of Korea)

  • 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3-132
    • /
    • 2012
  • 본 연구는 기준목 측정값과 입도분석자료, 풍향 및 풍속자료를 이용하여 안면도 할미섬 주변의 침식 및 퇴적환경 요인을 분석하였다. 할미섬 주변의 퇴적 및 침식환경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할미섬 주변 12곳에 기준목을 설치하고 2010년 5월 16일부터 2012년 5월 8일까지 총 32회의 현장실측을 실시하였다. 현장실측 결과 H-3, H-4, H-5, H-9 지점은 퇴적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H-7, H-8, H-10, H-11, H-12 지점은 침식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H-2, H-6 지점은 침식과 퇴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할미섬의 남서측에 설치된 제방에 의해 해빈의 모래가 할미섬의 북동변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이들 지점에 퇴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할미섬 전면의 비치리즈에서 모래를 공급받지 못한 북동측에서는 침식이 우세하게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일반적으로 할미섬의 남서측에서는 퇴적이 우세한 반면 북동측에서는 침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북동측의 H-9 지점과 남서측의 H-12지점은 반대의 경향이 관찰되었는데, H-9 지점의 경우 할미섬에 연결된 사취의 끝단에 위치하고 있어 조류에 의한 퇴적물 공급이 가능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사구에 위치한 H-12 지점은 측정기간이 짧아 침식원인에 대한 분석을 내리기가 어려웠다.

한반도 주변의 영해기점 및 기선에 관한 연구 -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Base point and baseline in Korea, Japan, and China)

  • 김백수;최윤수;박병문;전창동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331-342
    • /
    • 2008
  • 각국은 유엔 해양법 협약의 규정 하에서 자국의 영해, 어업수역, 배타적 경제수역을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한 노력은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나는데 그 하나는 기점을 최대한 해안선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정하는 것과 다른 하나는 수직기준면의 조정이 자국의 수역확장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분석과 자료수집이다. 우리나라는 유엔 해양법 협약의 발효에 따라 1996년부터 꾸준히 영해를 마주보고 있는 일본 중국과 해양경계 획정 회담을 해 오고 있으나 한 일, 한 중 간의 해양경계협정에 많은 장애가 있으며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해역확장을 위해 기점과 수직기준면 설정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접국의 기점과 기선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기점과 영해확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직선기점의 설정과 관련하여 국제해양법 협약에 위배되지 않으면서 영해확장을 도모할 수 있는 기점에 대한 검토와 국제수로기구(IHO)에서 권장하는 수직기준면에 대한 검토는 우리나라의 영해확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는 경계획정 회담에서 우리나라의 영해 획정의 기술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 PDF

GPS망조정에 의한 2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성과산정 (GPS Network Adjustment for Determining KGD2002 Coordinates of the $2^{nd}$ Order Geodetic Control Points)

  • 이영진;이흥규;정광호;이준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51-463
    • /
    • 2007
  • 우리나라에 세계측지계 기반의 한국측지계(KGD2002)가 도입됨에 따라 국가 측지기준점에 대한 새로운 성과의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2등측지기준점의 세계측지계 성과 산정을 위하여 GPS관측데이터의 처리를 통해 얻어진 3차원 기선벡터를 이용한 측지망조정을 실시하였다. 3단계에 걸친 최소제약조정을 통하여 기선벡터에 포함된 과대오차를 체계적으로 검출소거하고 경험적 통계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기선벡터의 수평 및 수직방향의 오차 크기를 4mm+0.4ppm와 8mm+0.8ppm으로 각각 결정하였다. 국가 1등측지기준점 성과의 다점고정에 의한 망조정을 실시하여 수평과 수직방향에 2cm와 4cm 정확도로 최종성과를 산정하였다.

CG-5 상대중력계를 이용한 중력관측 및 중력망조정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Gravity Measurements Using CG-5 Autograv System and Network Adjustment)

  • 황학;윤홍식;이동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3-722
    • /
    • 2009
  • 중력측량은 지구중력장 결정, 지각의 수직운동, 지오이드면의 변화, 해수면변화, 기후변화 등 측지학적, 지구동력학적 연구의 기초이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최근 들어 FG-5 절대중력계를 도입하여 절대중력 기준망의 구축을 위한 틀을 마련하였고 다차원 다기능 기준점인 통합기준점을 전국에 약 1,200점을 설치하여 상대중력측량을 실시함으로써 한국의 고정밀 지오이드모델의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중력측량의 기본적인 이론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최신 상대중력계 Scintrex CG-5를 이용하여 총 21점에 대한 상대중력측량을 수행하였으며, 자유망조정 및 무게제한 망조정 방법을 이용하여 중력성과를 계산 및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가지 방법 모두 높은 정밀도의 중력성과 계산이 가능하지만 자유망조정이 무게제한 망조정 방법에 비해 상대적인 우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삼각점 성과의 갱신방안에 관한 연구 (Computational Maintenance on the Official Coordinates Revision in the Korean Triangulation Stations)

  • 최재화;이영진;최윤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24
    • /
    • 1992
  • 동경원점을 기준계로 하고 있는 한국의 기설삼각망은 1910~1916년에 설정되었으나 6.25 동란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삼각점이 손상되어 복구성과를 관리해 오고 있다. 따라서 실용면에서의 문제점 때문에 국립지리원에서는 EDM에 의해 평균변장 10 Km의 정밀 1차 기준점측량과 평균변장 2.5 Km의 정밀 2차 기준점 측량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설삼각망의 기준체계를 유지하면서 이들 정밀 1차망과 정밀 2차망을 조합하고 통계적으로 안정된 1, 2등 삼각점에 결합조정을 실시하여 실용성과를 갱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독립적인 정밀 1차망 성과의 산정방안과 새로운 한국원점 성과의 구축방향에 대한 체계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정반 평면도와 측정점 개수와의 수학적 관계 (Relation between Flatness of Surface Plates adn Numbers of Measurement-Point)

  • 현창헌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99-105
    • /
    • 1999
  • The flatness is the most important nature for the surface plates. For finding such a flatnes a surface plate is surveyed along a number of straight lines parallel to the edges of plate which form a grid pattern. Next the variations in height of the grid points are measured relative to a datum point.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such grid points and the flatuness of a measured surface plate is formulated in this study. In addtion it is found that the grid-point-numbers suggested by KS B 5254 and JIS B 7513 have very poor reliability for estimation of flatness incase of the surface plates with poor original flatness.

  • PDF

가중측점망 조정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Densification by Modified Weighted Station Approach)

  • 백은기;이영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33-141
    • /
    • 1991
  • 실용성과를 갱신하기 위하여 새로운 측지망을 국가 기준점망에 결합하는 문제는 조정원점의 선택방법에 따라 조정결과가 바뀌는 측지망의 독특한 특성 때문에 경험적인 최선의 방법을 채용해 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지점의 좌표를 가상의 측점량으로 고려하여 미지점으로 취급하는 가중측점망(Weighted Station Parameter Network) 방식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기설 기준점의 공분산 행렬을 사용하는 대신에 대각선 요소만을 고려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설삼각망의 측정량이 미지인 국내의 측지망에서는 개선된 방법이 변동점 검출과 결합조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작업규정과 테스트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기설 2등 삼각점의 정확도는 ${\pm}16^{{\prime}{\prime}}$(${\pm}0.08m$)의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정밀 2차 기준점망을 1, 2등 삼각점에 결합할 경우에 ${\pm}2.3^{{\prime}{\prime}}$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수치지도 좌표계 변환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Coordinate Transformation Tool for Existing Digital Map)

  • 윤홍식;조재명;송동섭;김명호;조흥묵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9-36
    • /
    • 2004
  • 본 연구는 구 데이텀으로 구축된 수치지도를 지구 중심 데이텀으로의 변환에 필요한 새로운 변환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콜로케이션 방법으로부터 유도된 왜곡 모델링을 적용한 수치지도 좌표계의 변환에 관한 것이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GPS관측을 실시한 정밀 1차 기준점 190점 중에서 107점의 공통점을 파라미터 결정으로 사용하였으며, 최적 변환 파라미터의 결정을 위하여 107점을 제외한 83점의 공통점을 변환 정확도 검증에 이용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해 Molodensky-Badekas 모델로부터 산출된 파라미가 최적 파라미터로 결정되었으며, 왜곡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0.22m의 변환 정확도를 얻었다. 이는 7 파라미터만을 이용한 변환보다는 72%의 정확도가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1/50,000, 1/25,000과 1/5,000 수치지도의 변환 도구인 GDKtrans를 개발하였다. 이 변환 도구를 이용하여 6개 대도시 지역의 l/5,000 수치지도를 변환하고, 검사점 GPS 측량을 실시하여 변환정확도를 검사한 결과 약 1.9 m의 변환 정확도를 보였으나, l/5,000 수치지도의 위치 정보와 형상이 실제 위치 및 형상과 크게 일치하지 않고 있어 전면적으로 l/5,000의 수치지도를 재 제작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