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Librarian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의과대학도서관 웹사이트에 나타난 저작권관련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pyright Contents of Medical Library Web Site)

  • 최흥식;윤미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71-38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권과 관련하여 도서관 운영자들의 올바른 정보구축과 이용자들의 정당한 이용을 유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원문정보서비스나 상호대차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32개의 국내 의과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작권과 관련된 내용을 웹사이트에 나타낸 도서관은 9개 대학(28% )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고, 사용용어는 '저작권법'(4개(44.4%))이나 '저작권'(3개(33.3%))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그 위치는 공지사항 및 도서관 안내와 이용안내 메뉴 아래 위치하고 있었다. 저작권과 관련된 세부영역은 자료복사와 전송, 원문 DB이용, 국내외학위논문서비스, FAX/파일전송, Image(Ariel), 해외상호대차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작권과 관련된 도서관의 올바른 인식과 이용자의 정당한 이용을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었다.

  • PDF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로서 하티트러스트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HathiTrust as a Sustainable Cooperative Model of Digital Repositories)

  • 이유경;성윤아;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43-464
    • /
    • 2016
  • 세계의 많은 기관들은 학술 정보 유통을 위해 디지털 리포지터리들을 구축해왔다. 동시에 디지털 리포지터리들은 증가하는 디지털 자원을 어떻게 장기적으로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정보 환경 구축할 것인가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하티트러스트(HathiTrust) 파트너십은 미국 연구도서관들의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의 필요성에 의해 시작하여 전 세계의 리포지터리들과의 체결을 통해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티트러스트의 설립배경부터 구축, 운영 및 정책, 현황 및 이용 서비스에 이르는 전반적인 사례와 실질적인 운영 과정 등을 다루었고 또한 하티트러스트의 효과와 앞으로 기대되는 가능성 등을 파트너십 단위 기관의 시각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하티트러스트를 통해 파트너십 기관들은 효과적인 운영 비용, 디지털 콘텐츠의 공동 관리 및 장기 보존, 저작권 관리의 용이성, 접근성 확대 등의 특장점이 있으며, 향후에는 인쇄물의 공동보존서고 운영, 빅데이터 분석 토대 마련 등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의학도서관 사서의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on the Medical Libraries Librarian's of Perception about Bibliotherapy Services)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27-255
    • /
    • 2015
  • 독서치료는 문학을 통해 개인 욕구의 충족 및 건강한 심신을 이루게 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회성원의 육성, 건전한 여가문화의 창달로 인하여 결국 국민의 총체적인 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의 질적 발전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의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의학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의학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회원 도서관 중에서 의학도서관 57개를 대상으로 사서 57명에게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학도서관 사서들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독서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의학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사서교사의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Preference on Subjects for their Customized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3-18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별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현직연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설문 분석 결과 사서교사들은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과 같이 교육정보봉사 영역과 관련된 연수과목을 핵심 업무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용 콘텐츠 개발과 수업용 자료 개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사서교사가 도서관 활성화 프로그램, 자원봉사자 관리, 이용자 요구 및 교육과정 분석, 이용자 교육 평가 그리고 정보활용교육 평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해, 정보시스템 구축 그리고 정보시스템과 교육지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사서교사 연수과목은 학교도서관 교육과 교육과정 연계 방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연수 방법은 이론 중심의 강의보다는 사례 연구와 개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학도서관 사서의 SR 지원에 관한 연구 (Medical Librarians' Contribution to SR Searching)

  • 신은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79-195
    • /
    • 2020
  •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외 의학 Systematic Review(SR) 연구 현황을 살피고, 국내 사서가 공저자로 참여한 SR 연구논문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SR 참여 사서와의 인터뷰를 통해 참여 사서의 활동, 역할, 애로사항을 파악하였고, SR 연구 참여 활성화 방안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외 SR 연구건수는 최근 증가세이고, SR 연구에 참여한 사서를 공저자로 등재하거나 사사표기함으로써 사서의 기여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사례도 더불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의학도서관의 SR 참여 사서는 탐색 전문가, 자료 수집가, 참고문헌 작성자, 뿐만 아니라 탐색전략 설계, 완전한 SR 탐색 기록, 일대일 DB탐색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인터뷰 참여 사서는 SR 참여 활성화 정책으로 사서 인력 충원, 재교육, 문헌정보학 교과목 개편 등을 제시하였다. 날이 갈수록 이용자의 정보요구 수준은 높아지고, 사서에 대한 기대 또한 커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의학도서관 SR 참여 사서의 활동과 기여는 사서의 서비스를 심화하고 확장하려는 타도서관에게도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여성사서의 직력유형(職歷類型)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Patterns of Korean Female Librarians)

  • 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103-140
    • /
    • 1991
  • Knowledge about career patterns of women In any profession and about factors which influence these career patterns becomes increasingly necessary because of the influx of ever-increasing numbers of women into the labor force, an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creative productivity of women. This study alms to investigate Korean female librarians' overall career patterns and verify relevant factors which might affect to their career patterns. As an instrument,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251 full-time Korean female librarians throughout the country with regular librarian's certificate, currently engaging in public, college or university, and special libraries. Based on the data gather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pattern inclina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were examined through hypothesis testing. Major findings of the survey are outlined in the following: 1). Female librarians' career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with the group represented as Categories-2 (single; wishes to continue working after marriage; places an emphasis on the sense of occupational accomplishment and social prestige)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33.4\%)$. 2). The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ing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statistically between social factors(parents' socio-economic status, etc.) and female librarians' career patterns. So the hypothesis concerning social factors were rejected. 3). In psychological factors(job satisfaction ; self-concept sex role attitude ; role conflict ; and achievement motivation), all except for self-concept were shown to be relevant with female librarians' stable career pattern. So the hypotheses concerning psychological factors were supported.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conducted between the above four statistically significant psychological factors and career pattern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female librarians' career patterns was job satisfaction and sex role.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overall enhancement of Korean female librarianship, earlier career guidance and concrete sex role education for young women is urgent which enable them to establish correct viewpoint for their occupational career female librarians themselves' constant endeavor In maintaining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job is required.

  • PDF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직무 소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Burnout of Medical Librarians in Korea)

  • 장혜란;김정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45-269
    • /
    • 2017
  •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직무 소진 현황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의학도서관협회 산하 138개 회원기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배경과 직력, 조직적 특성, 소진 수준, 극복 활동에 대한 이메일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소진측정 도구로는 MBI-GS가 사용되었다. 2016년 12월 2주간 수행된 조사에 158명이 응답하였으며(응답률 65.6%), 데이터는 기술적 통계, t-검증, 분산분석, 상관관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MBI-GS 규준에 따르면,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소진 상태는 정서적 탈진과 직업효능감은 중간 단계에 속하나, 냉소는 매우 높은 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들의 소진은 나이, 의학사서자격, 근무경력, 관종, 업무의 수, 극복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고, 업무량, 역할갈등, 의사결정 및 성과평가의 합리성, 조직내 의견교환, IT환경, 계속교육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소진완화를 위한 개인적, 조직적, 그리고 전문직 단체의 관리방안을 제언하였다.

Impacts of the Journal Evaluation Program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KAMJE) on the Quality of the Member Journals

  • Yang, Hee-Jin;Oh, Se Jeong;Hong, Sung-Tae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8호
    • /
    • pp.305.1-305.5
    • /
    • 2018
  • Background: In 1997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KAMJE) instituted a program to evaluate member journals. Journals that passed the initial evaluation were indexed in the KoreaMed. Here, we report changes in measures of quality of the KAMJE member journals during the last 20 years. Methods: Quality measures used in the study comprised 3 assessment categories; self-assessment by journal editors, assessment of the journals by KAMJE reviewers, and by Korean health science librarians. Each used detailed criteria to score the journals on a scale of 0 to 5 or 6 in multiple dimensions. We compared scores at baseline evaluation and those after 7 years for 129 journals and compared improvements in journals indexed vs. not-indexed by the Web of Science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SCIE). Results: Among 251 KAMJE member journals at the end of 2015, 227 passed evaluation criteria and 129 (56%) had both baseline and 7-year follow-up assessment data. The journals showed improvement overall (increase in median [interquartile range; IQR] score from baseline, 0.47 [0.64]; 95% confidence interval [CI], 0.44-0.61; P < 0.001) and within each category (median [IQR] increase by editor's assessment, 0.17 [0.83]; 95% CI, 0.04-0.26; P = 0.007; by reviewer's, 0.45 [1.00]; 95% CI, 0.29-0.57; P < 0.001; by librarian's, 1.75 [1.08]; 95% CI, 1.77-2.18, P < 0.001). Before the foundation of KAMJE in 1996, there were only 5 Korean medical journals indexed in the MEDLINE and none in SCIE, but 24 journals in the MEDLINE and 34 journals in SCIE were indexed by 2016. Conclusion: The KAMJE journal evaluation program successfully contribute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ember journals.

독서지도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Training of Specialized Librarians in Reading Guidance)

  • 김수경;차성종;이승채;황금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187-21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에게 요구되는 독서지도 관련 전문성 강화를 위해 실무와 이론을 겸비한 독서지도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FGI, 델파이 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독서지도 전문사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독서지도 전문사서 교육과정은 총 17개 모듈, 총 267시간으로 편성하였다. 수준별로는 기초-심화-고급 과정 순이며, 8개 기초과정 교과목은 모두 사이버 교육 형태이며 총 74시수를 이수하게 되고, 5개 심화과정은 집합 3개 교과목과 사이버와 집합을 혼용한 2개 교과목 총 100시간을 이수하게 되며, 4개의 고급과정 교과목은 모두 집합교육 형태로 이루어지며, 총 93시간을 이수하게 된다.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도서관서비스 연구 - 북미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ed on North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 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31-247
    • /
    • 2020
  • 인공지능(AI)이 4차 산업혁명 중에서도 미래유망기술로 부각됨에 따라 도서관을 포함한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인공지능기술을 적용하고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이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미치고 있는 영향과 이슈, 그리고 시사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북미지역 대학도서관 IT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인터뷰결과와 국내외 관련 문헌들을 통해 결론과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로 북미지역 대학도서관들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보 접근과 검색을 효율화하는 인프라구축에 노력하고, 대학내 인공지능 연구소들과도 협업하여 새로운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향후 도서관과 사서의 역할 변화, 프라이버시, 그리고 데이터품질에 대한 이슈들을 제기하였다. 논의를 통해 대학의 사서들이 지식을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사서 재교육의 필요성과 대학 도서관의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투자와 도서관에 인공지능 연구소를 세우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환경 변화에 따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도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