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Free Radical Activity

검색결과 1,349건 처리시간 0.022초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and Pear Peel

  • Kim, Kyung Soon;Roh, Kwang 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7-354
    • /
    • 2013
  • Apple and pear are popular fruits consumed in Korea and are common fruit in daily diet. In order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pple and pear peels,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measured from hot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two fruit peel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95% methanol extracts of the apple peelsand 70% ethanol extract of the pear peels,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pear peels were higher than that of apple peel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apple peels were higher than that of pear peels. The apple and pear peels had the highest $ABTS^{+{\cdo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95% methanol extracts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BTS^{+{\cdo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ear peels was higher than that of apple peels, and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pple and pear peels were detected in hot water, 95% methanol,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scorbic acid, a synthetic antioxidant used as positive control, had significantly higher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apple and pear peels. In conclusion, the apple and pear peelshave great potential as natural antioxidants. Therefore, abov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the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high functional antioxidants.

정금나무 열매의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 분석 (Analysis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Fruits of Vaccinium oldhamii Miq.)

  • 김혜수;김문섭;김세현;윤경원;송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566-570
    • /
    • 2013
  • 정금나무의 기능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정금나무 선발 5개체의 열매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성분인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gallic acid를 기준물질로 하여 분석한 결과 15.8~19.9 mg/g 범위로 전체 평균 17.9 mg/g을 나타냈으며,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400 ppm의 농도에서 69.1~91.4% 범위로 전체평균 84.2%를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0.56~0.96 범위로 전체 평균 0.79를 나타내었다. 상관분석 결과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환원력에서 상관계수가 0.969로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당귀(Angelica gigas)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항산화 효과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s of Cham-Dang-Gui (Angelica gigas))

  • 강순아;한진아;장기효;조여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12-1118
    • /
    • 2004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참당귀추출물 1 mg/mL의 농도에서 열수추출물의 free radical소거 효과는 메탄올추출 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DPPH free radical 소거 효과가 상승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참당귀 투여에 의하여 화학요법으로 발생된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단백질 산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참당귀추출물은 CYP를 투여로 생성된 free radical을 감소시킴으로써 독성을 감소시켜, 혈액학적 빈혈지표가 더 감소되는 것을 막았다고 사료되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한약재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항산화효소인 SOD 활성은CYP투여에 의하여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참당귀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catalase 활성은 CYP 투여에 의하여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참당귀의 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참당귀추출물은 free radical 소거능을 갖고, 화학요법으로 발생된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낮춰 화학요법에 의한 부작용으로 발생되는 혈액학적 수치의 감소를 막음으로써 항산화제로의 활용성을 기대해본다.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kinetic behavior of the Galgeuntang water extract

  • Shin, Jeong-Mi;Kim, Young-Ok;Baek, Seung-Hwa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32-38
    • /
    • 2008
  • Galgeuntang water extract exhibited a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determination. However, a gradual increase i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determination was obtain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hown by the water extract from Galgeuntang (116.93 ${\mu}g$/mL) and the water extract from Cinnamonum cassia Presl. (95.01 ${\mu}g$/mL). These results of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extracts indicated that the stro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innamonum cassia Presl. extract might be in part due to the phenolic compoun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PC and DPPH ($r^2$ = 0.9312), TFC and DPPH ($r^2$ = 0.9677),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mong total phenolic/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lgeuntang has a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y.

96-well plate를 이용한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측정과 그 응용 (Application and High Throughput Screening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Using 96-Well Plate)

  • 최정섭;오정임;황인택;김성은;전재철;이병회;김진석;김태준;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2-99
    • /
    • 2003
  • 96-well plate를 사용해서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의 고효율검정 (high throughput screening)방법을 확립하였고, 이 방법을 이용하여 107개의 식물특정 효소저해제와 다양한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측정 측정을 위한 적정 시험조건은 총 반응액이 $250{\mu}L$일 경우 $100{\mu}M$의 DPPH(pH 7.8), 20 분의 반응시간이었고, 이 조건하에서 ascorbate와 a-tocopherol 은 농도 의존적인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107개의 식물 특정효소저해제 중에서 11개의 화학물질이 $100{\mu}M$ 농도에서 70% 이상의 항산화활성이 있었는데, 특히 ampicillin과 gallic acid는 각각 90.2% 와 92.6% 의 나타냈다. 또한 100개의 식물 추출물은 $50{\mu}g/mL$ 농도에서 70% 이상의 활성을 보이는 추출물이 11개이었는데, 그 중에서 AT-407의 활성이 9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96-well plate를 이용한 DPPH free ra 이때 소거활성 측정방법은 여러가지 합성물질이나 다양한 천연물질에 대하여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항산화활성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민들레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uaxacum officinale))

  • 강미정;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53-259
    • /
    • 2002
  • 민들레 잎과 뿌리로부터 물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저해율,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chemiluminescence를 이용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EPR을 이용한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민들레 잎의 물추출물이 뿌리의 물추출물 보다 지방산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 저해율이 높았고,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ion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까마중내 (Solanum nigrum L.) 항산화방어계의 항산화력 및 물질의 동정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otential and ldentification of Active Principles of Solanum nigrum L. on Antioxidant Defense Systems)

  • 임종국;정규영;정형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09-516
    • /
    • 2001
  • 까마중의 부위별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뿌리에서 가장 높았고, 줄기, 전부위, 열매 잎 그리고 꽃 순으로 높았다. 추출방법간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80%methanol에 침지하여 추출한것보다는 $80^{\circ}C$에서 80% meth-anol에 흰류추출한것이 높았다. Sephades LH-2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획된 L6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ethy acetate 분획 추출물보다 6.7배 높았다. 분획물내의주요물질은 2, 6-methano-3-benzazocin-11-ol, 2[1h]-pyridinethione 및 2-hydroxy-5 methylbenzaldehyde로 phenolic 화 물이었다. 줄기와 뿌리의 POD및 SOD 활성은 타 부위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생육기간에는 파종 후 60일후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PODdmlehddnl gth 패턴은 뿌리에서 10개의 band로 가장 많았고 그중 8개의 band가 식물체의 부위별로 차이가 있어Tdmaul, SOD의 동위효소 패턴은 잎에 5개의 band로 가장 많았고 그중 2개의 band가 식물체의 부위별로 차이가 있었다.이가 있었다.

  • PDF

Electron Spin Resonance을 이용한 제주 자생 해조류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검색 (Screening fo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Autogenous Seaweeds in Jeju Island Using a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scopy)

  • 차선희;허수진;전유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252-259
    • /
    • 2006
  • 본 실험은 electron spin/paramagnetic resonance(ESR/EPR)를 이용하여 기존의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고, 이를 해조류 유래 천연자원으로부터 새로운 항산화물질을 탐색하는데 적용해 보았다. 연구 결과, 녹조류 추출물에서는 참홑파래, 납작파래 및 청각의 고온 메탄올 추출물에서만 약간의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이 외의 추출물에서는 소거활성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갈조류는 총 71개의 추출물 중 37개의 추출물에서 80% 이상의 소거율을 보여 아주 우수한 항산화 물질을 가진 family로 여겨지며, 특히 모자반류 (Sargassum spp.)는 수용성과 메탄올, 고온과 상온의 모든 추출물에서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여 앞으로의 신소재 물질 후보로 선별되었다. 홍조류에서는 수용성보다는 메탄올 추출물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소거활성이 검색되어, 나중에는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해조류는 라키칼 소거 능력을 가지는 성분을 여러 형태로 다량으로 함유 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 되며 앞으로의 연구에 기대가치를 더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큰도둑놈의갈고리 지상부의 DPPH Free Radical 소거효과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the Aerial Parts of Desmodium oldhami)

  • 양석원;박새롬;안달래;양재헌;조종현;황용훈;박종한;김대근
    • 생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0-184
    • /
    • 2010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esmodium oldhami (Leguminosa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The methanolic extract of D. oldhami showed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Five compounds, kaempferol-3-O-rhamnopyranoside (afzeline) (1),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rutin) (2), kaempferol-3-O-glucopyranoside (astragalin) (3), genistein-7-O-$\beta$-D-glucopyranoside (genistin) (4), kaempferol-3-O-rutinoside (5) were isolated from the activ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D. oldhami through repeated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mong them, compound 2 showed the most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 o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test. Compounds 1-5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Phytotoxic Effec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hlorogenic Acid Level of Methanol Extracts from Aerial Parts of Several Korean Salad Plants

  • Chon Sang-Uk;Kim Young-Min;Kim Dong-Kwan;Heo Buk-Gu;Cho Ja-Yo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5-410
    • /
    • 2006
  • A series of aqueous or methanol extracts from four different Korean salad plants were assayed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y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extracts applied on filter paper in a Petri-dish bioassay significantly inhibited root growth of against alfalfa (Medicago sativa) seedlings. Leaf extracts from 40 g dry tissue $L^{-1}$ of Aster yomena was most phytotoxic to alfalfa root growth, and followed by that of Cirsium japonicum, Taraxacum officinale, and Ixeris dentate. Methanol extracts of plants dose-dependently increas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same plant species was investigated, and the result showed high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Cirsium japonicum, Aster yomena, and Ixeris dentate, however, in Taraxacum officinale was least activity. By means of HPLC analysis, chlorogenic acid, p-coumaric acid, and total phenolics with 7.68, 17.47 and 18.64 mg, $100g^{-1}$, respectively, showed the highest amounts in methanol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leav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ositae salad plants contain water-soluble substances with allelopathic potential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