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Ames tes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1초

팽이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 오세인;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antimutagenic capacity of ethanol extracts of Flammulina velutipes by employing biological and biochemical assays. The $IC_{50}$ of MDA with BSA conjugation reaction, lipid peroxidation and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in ethanol extracts of Flammulina velutipes was found to be 28.39 mg/assay, 9.33 mg/assay and 144.61 mg/assay respectively.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antioxidative capacity of ethanol extracts of Flammulina velutipes was $Fe^+$-induced linoleate peroxidation, among the method used this study. The indirect and direct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of Flammulina velutipes were examined by the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imurium TA98 and TA100. The inhibition rates on in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2-anthramine and on 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sodium azide in Salmonella typimurium TA100 and mediated by 2-nitrofluorene in Salmonella typimurium TA98 were 0%, respe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thanol extracts of Flammulina velutipes have no effects on indirect and direct mutagenic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believed that the ethanol extracts of Flammulina velutipes has antioxidative capacities, and is a the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and dietetic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and the development of antioxidative functional food.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 조미료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Natural Seasoning Using Lentinus edodes Powder)

  • 유수정;김수현;최형택;오현택;최현진;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15-520
    • /
    • 2007
  •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의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RC_{50}$$155{\mu}g$으로서 다른 시료보다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 추출물 및 그 분획물들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핵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TA100에서 $79{\sim}84%$의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고 다른 시료에서도 65% 이상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4NQO에 대해서는 TA98과 TA100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 에탄을 추출물 1 mg/mL 첨가 시 HeLa, Hep3B, MCF-7, AGS 및 A549에서 각각 83.3%, 61%, 81.3%, 58.9% 및 36.7%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 분획물에 대한 억제효과는 시료 농도 1 mg/mL 첨가 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폐암세포인 A549 세포에 대하여 55.7%의 억제효과를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71{\sim}85%$ 정도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물 분획물의 경우 다른 추출물과 비교 시 암세포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에 비해 인간 신장 정상세포 293에 대한 시료를 첨가 시 40% 이하의 생육 억제율을 나타냄으로써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생물학적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권대준;윤선주;조준구;최웅규;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91-96
    • /
    • 2006
  • 상황버섯에 대한 다양한 추출방법별 항산화 활성과 항돌연변이성, 세포독성 등의 생물학적 활성을 S. typhimurium과 인체암세포주들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열수로 추출한 것보다ethanol로 처리한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 ethanol 추출과 열수 후 ethanol 추출 시 각각 17.14, $17.79\;{\mu}g/ml$로 매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 TA97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에서는 직접변이원 물질인 MNNG와 4NQO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2가지 변이원 물질에 대한 억제율은 추출물의 농도와 양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MNNG에 대해서는 ethanol 추출물이 70.7%로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였고, 열수후 ethanol 추출 시에도 50%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다. 4NQO에 대해서는 ethanol 추출물이 62.9%, 열수후 ethanol 추출물이 52.9%로 5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간접변이원 물질인 $B({\alpha})P$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는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 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즉 TA98 균주는 ethanol 추출물 61.5%, 열수후 ethanol 추출물이 50% 이상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TA100 균주에서는 ethanol 추출물과 열수 후 ethanol 추출물이 50%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간암세포인 HepG2에 미치는 영향으로 검토한 결과 각 추출물들이 추출농도에 따라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ethanol 분획물이 열수 분획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반면 시료 0.5 mg/ml 투여 시 HT-29 세포에 대해서 ethanol 추출물 59%, 열수 추출물 54%, 열수후 ethanol 추출물 57%로 5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특히 ethanol 추출물과 열수 후 ethanol 추출물에서는 0.25 mg/ml 농도에서 50%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간암세포 HepG2의 경우 ethanol 추출물이 30%로 결장암세포인 HT-29에 비해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Ethanol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은 다양한 pH 조건에서 아질산염 소거증을 보여주었으며, 대체로 ethanol 추출물이 열수추출물 보다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표고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와 항돌연변이 효과 (Antioxidative Stress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Lentinus edodes Ethanol Extracts)

  • 오세인;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1-348
    • /
    • 2007
  •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antimutagenic capacity in ethanol extracts of Lentinus edodes were studied for suggestion of prevention and dietetic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and development of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functional food by employing biological and biochemical assay. The $IC_{50}$ of MDA with BSA conjugation reaction, lipid peroxidation and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in ethanol extracts of Lentinus edodes showed 74.58 mg/assay, 5.747 mg/assay and 0.939 mg/assay respectively. So, the most effective antioxidative capacity in ethanol extracts of Lentinus edodes was the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among the method used this study. The indirect and direct antimutagen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Lentinus edodes were examined by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imurium TA98 and TA100. The inhibition rates on in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2-anthramine showed 91.67% in the Salmonella typimurium TA98 and 96.60% in the Salmonella typimurium TA100. The inhibitory effect on 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sodium azide in Salmonella typimurium TA100 was 22.83%. and mediated by 2-nitrofluorene in Salmonella typimurium TA98 was 5.34%. This data indicates that ethanol extracts of Lentinus edodes have more effective effects on indirect mutagenicity than direct mutagenicity. From this result, it believed to have a possible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and taken for the candidate of prevention and dietetic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and development of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functional food.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Krast)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Krast Extracts)

  • 오세인;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4-62
    • /
    • 2005
  • The antioxidative effect, antimutagenic capacity and inhibitory effect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ethanol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were studied for suggestion of prevention and dietetic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and development of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functional food by employing biological and biochemical assay. The IC/sub 50/ of MDA with BSA conjugation reaction, lipid peroxidation and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in ethanol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showed 1026.21 mg/mL, 0.152 mg/mL and 0.412 mg/mL, respectively. So, the most effective antioxidative capacity in ethanol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was the lipid peroxidation, among the method used this study. The indirect and direct antimutagen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were examined by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imurium TA98 and TA100. The inhibition rates on in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2-Anthramine showed 100% in the Salmonella typimurium TA98 and 98.74% in the Salmonella typimurium TA100 and the 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sodium azide in Salmonella typimurium TA100 was 82.96%. But, the inhibitory effect on indirect mutagenicity mediated by 2-Nitrofluorene in Salmonella typimurium TA98 was low(7.81%). The inhibitory Effect of Ganoderma lucidum ethanol extracts on cell proliferation in Hela and MCF-7 by MTT test were 74.36% in HeLa and 73.90% in MCF-7 at the 0.50 mg/assay concentration and IC/sub 50/ were 0.163 mg/mL and 0.196 mg/mL respectively. From this result, it is suggested that Ganoderma lucidum is believed to have a possible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capacities.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 분석 (Analysi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utagenic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전연희;길진희;임소민;김미현;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46-75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총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을 이용하여 항돌연변이 활성을 분석하였다.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500{\mu}g$/assay의 농도에서 57%이었고, $IC_{50}$값이 $435\;{\mu}g$/assay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9.53 mg/g과 3.97 mg/g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은 sodium azide(5 mg/plate) 와 4-NQO(1 mg/plate)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이 각각 45%, 82%로 나타나 4-NQO에 대해 높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과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천연 항산화제 및 항돌연변이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대두 사포닌이 Aflatoxin B1으로 유도된 세포돌연변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Soybean Saponins on Aflatoxin B1-induced Mutagenicity)

  • 전혜승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1호
    • /
    • pp.110-117
    • /
    • 1999
  • Free radicals formed during the metabolism of environmental chemicals are known to induce mutagenicity, while different types of antioxidants suppress this ev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soybean saponin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effects for the elucidation of mechanisms involved in the anticarcinogenicity of soybean saponins. Also,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soybean saponin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kinown antioxidants. For the measurement of antioxidative capacity, soybean saponins, L-ascorbic acid, $\alpha$-tocophoerol, and BHT at concentrations between 005 and 1.0mg/ml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donate hydrogens and to reduce the formation of thiobarbituric substances(TBARS). Antimutagenic activity was examined using the Ames salmonella test system at concentrations of 600, 900 or 1200ug/ml. Study results showed soybean saponins and all of the other antioxidants tested possessed dose-dependent antioxidative activities. The ability of hydrogen-donation to DPPH was in the order of L-ascorbic acid>$\alpha$-tocopherol=>BHT>soybean saponins. TBARS formation was also inhibited by these compounds, in the order of BHT>$\alpha$-tocopherol=L-ascorbic acid>soybean saponins. Soybean saponins and other antioxidants also showed antimutagenic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soybean saponins and BHT were excellent antioxidants compounds, inhibiting near 80% of the mutagenic effects at a concentration of 1200ug/m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mutagenicity for each compu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ybean saponins possess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Also, antimutagenicity of saponins and other antioxidats is partly due to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 PDF

Taurine Possesses In vitro Antimutagenic Activity Comparable to Major Antioxidants

  • Sung, Mi-Kyung;Jeon, Hye-Seung;Park, Tae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1호
    • /
    • pp.43-46
    • /
    • 1999
  • Taurine is known to suppress oxidant-induced tissue injury by stabilizing biomembrane and scavanging free radic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ne the antioxidative and antimutabenic acitvities of taurine, ad to compare those acitivities with major antioxidants. For the measurement of antioxidative capacity, 0.05 , 0.1,0.5 and 1.0mg/ml of taurine, L-Ascorbic acid, alpha-tocopherol, and BHT (dibuty hydroxiy toluene)were prepared and tested for their ability to donate electrons to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timutagenic acitivity was examined using the Ames salmonela test system at concentrations of 600, 900 and 1200ug/ml. Results indicated that taurine possesses electron-donating capacity, however, the degree of donation was very weak compared to the major antioxidants tested. However, taurine was evaluated as a potent mutation suppressor. Antimutagenic capacity was in increasing order BHT>taurine>L-ascorbic acid>alpha-tocopherol at concentrations of 600 and 900ug/ml. There was a dose-dependent increase in antimutabenicity of these compounds , however, antimutagenity of the 900ug taurie/pl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ly from that of 1200ug taurine/plat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aurine effectively suppresses the mutagenicity of AFB1 without noticeable elelctron donating ability.

  • PDF

머루 과피와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 분석 (Analysis of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Pericarp and Seed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 원지혜;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2-199
    • /
    • 2016
  •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pericarp and seed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wild grape was determin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ssay. The antimutagenic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evaluated o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by Ames test using 4-nitroquinoline 1-oxide (4-NQO) and sodium azide as mutagens. In the antioxidative activity determination, $IC_{50}$ values of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pericarp and seeds were 27.16 ppm and 7.61 ppm, respectively. Additionall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ericarp and seed extract were 99.75% and 98.87% at 200 ppm, respectively. In the antimutagenic activity determination, pericarp extract at 5 mg/plate inhibited 72.6% and 74.3% of mutagenicity of S. typhimurium TA98 induced by 4-NQO and sodium azaid, respectively. Also, the mutagenicity inhibition rates of seed extract at 5 mg/plate were 77.8% and 74.5% in S. typhimurium TA100 induced by 4-NQO and sodium azaid,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thanol extract from wild grape has remarkabl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utagenicity.

어류의 가열조리 및 보존에 의해 생성되는 변이원성 물질의 정량적 해석과 제어법 (Screening and prevention of the mutagenicity for fishes accordind to cookery and storage)

  • 홍이진;이준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52-662
    • /
    • 2000
  • 섭취 빈도가 높은 어류중 붉은 살 생선인 고등어(Mackerel), 삼치(Saury pike), 방어(Yellowtail), 연어(Salmon), 흰 살 생선인 조기 및 염장조기(Croaker, Salted Croaker), 및 갈치(Trichiurus)를 시료로 하여 , 가스그릴, 전기그릴과 microwave oven으로 가열 조리한 후 일정기간 동안 냉장 및 냉동 보존한 시료와 보존한 시료를 microwave로 재가열하였을 때 변이원성을 in vitro test로 Ames/salmonella assay를, in vivo test 로 Micronucleous test를 실시하여 검색하고, 그 제어방법으로 항암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녹황색 채소즙으로 전처리하여 돌연변이 억제능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지질의 과산화도를 측정하여 변이원 생성과 과산화 지질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어류의 가열조리에 의해 대조군(생시료)보다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는데 , 생성된 변이원은 모두 농도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며, 5 mg/plate인 농도구간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2. 조리온도가 높아질수록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대사활성물질을 첨가했을 경우 무첨가시보다 2-4 배정도 돌연변이원성이 높게 나타났다. 3. 조리기기에 따른 복귀 돌연변이 균수는 가스그릴과 전기그릴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MW에서 조리한 시료의 경우에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4. 생선 종류별 변이원성을 검색한 결과 흰살 생선이 붉은 살 생선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붉은 살 생선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등어가 약간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흰살 생선중에서도 유의차는 없었으나 염장조기가 가장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5. 채소즙 및 녹차 추출물로 처리 후 가열조리을 한 시료의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변이원성이 억제되었으며, 녹차>생강>무순으로 변이원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6. 저장에 의해 돌연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냉장 저장시 저장 3일째부터, 냉동저장시에는 저장 7일째부터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냉동저장보다 냉장저장시 더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MW에 의한 재가열에 의해 변이원성이 증가되었다. 7. Micronucleus test 결과, 조리온도가 증가할수록 골수 소핵 형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채소즙 처리군의경우 생강>녹차>무순으로 골수 소핵 형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8. 조리, 재가열 및 저장 조건에 따른 산패도(TBA value)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패도가 증가하였고 냉장 저장시료의 경우 저장 3일째부터 유의 적으로 산패도가 증가되었으며 냉동 저장 시료의 경우에 는 저장 7일째부터 유의적으로 높은 산패도를 나타내었다. 냉장저장 시료가 냉동저장 시료보다 더 높은 산패도를 나타내었으며, microwave에 의한 재가열에 의해 산패도가 증가되었다. 9. 채소즙 및 녹차 추출물로 처리 한 고등어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EDA)측정 결과는 양파>녹차>생강>양배추 순으로 양파의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전기그릴 26$0^{\circ}C$에서 조리한 시료의 냉장저장 및 냉동저장에 따른 변이원성과 과산화지질 생성간의 상관관계는 냉장 저장했을 때 0.9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재가열했을 경우 0.98로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냉동저장 역시 0.92를 나타내어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재가열했을 경우에는 0.89로 오히려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