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d ratio

검색결과 9,696건 처리시간 0.04초

고도비만 환자 대상 한의 비만 상담을 포함한 한의치료의 체중 감량 효과: 후향적 차트 리뷰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Korean Medicine Counselling on Weight Loss in Patients with Morbid Obesity: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 김성하;한경선;권오진;이원구;윤철상;이준환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2-31
    • /
    • 2021
  • Objective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KM) treatment on weight loss in patients with morbid obesity (body mass index [BMI]≥30 kg/m2)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KM counseling and non-counseling on weight los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patients with morbid obesity who received KM treatment for at least 1 month. We evaluated the effects of KM treatment on body weight, BMI, body fat, fat mass, EuroQol-5D,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KOQOL). We also assessed the liver and kidney functions, and adverse events. We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ounseling and non-counseling groups. Results: A total of 37 patients who underwent 4 weeks of KM treatment involving Wolbi-tang, electroacupuncture, and KM counsel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wenty-one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counseling group and sixteen patients to the non-counseling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weight, BMI, fat mass, and KOQOL (P<0.05) with improvements in total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and triglycerides. The counseling group had a greater reduction in body weight, BMI, body fat, and fat mass compared to the non-counseling group, al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BMI below 35 (n=25), the reduction ratio of body weight, body fat mass, and body fat was higher in the counseling group than in the non-counseling group; additionally,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unseling group (P<0.05). No severe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Conclusion: KM treatment could be effective for weight los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morbid obesity, KM counseling could also be a good tool for weight loss, typically in patients with BMI<35 kg/m2.

광물찌꺼기 내 비소의 미생물 침출 시 박테리아 흡착 영향: 박테리아와 고체 기질 비율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Bacterial Attachment on Arsenic Bioleaching from Mine Tailings: Dependency on the Ratio of Bacteria-Solid Substrate)

  • 박정현;;최소원;;김현중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0권3호
    • /
    • pp.30-40
    • /
    • 2021
  • 본 연구는 미생물의 접촉 및 비접촉 매커니즘에 따른 비소의 미생물 침출 효율을 보여준다. 12-14 kDa의 반투과성막으로 구성된 분리시스템에서 Acidithiobacillus ferroxidans와 광물찌꺼기의 흡착을 제어하며 접촉 및 비접촉 시스템을 구분하였으며 1.0% 및 0.5% w/v의 두 가지 광액 농도에서 침출효율을 비교하였다. 회분식 미생물 침출 실험을 10일간 수행하면서 비소와 철의 총 농도, 철 이온종 변화, pH, 산화환원전위를 비교하며 박테리아 활동을 확인하였다. 높은 광액 농도인 1.0%에서 박테리아의 흡착에 의해 비소 침출 효율이 20.0%에서 44.9%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박테리아의 접촉 메커니즘이 광물찌꺼기 내 비소 침출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광물찌꺼기 내 비소 제거는 2단계 또는 비접촉 미생물 침출 방법이 1단계 또는 접촉 미생물 침출 방법보다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Effect of feeding a diet comprised of various corn silages inclusion with peanut vine or wheat straw on performance, digestion, serum parameters and meat nutrients in finishing beef cattle

  • Zhang, Hongrui;Zhang, Liyang;Xue, Xiao;Zhang, Xiaoxia;Wang, Hongyi;Gao, Tengyun;Phillips, Clive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호
    • /
    • pp.29-38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eeding value, meat nutrients and associative effects of a diet comprised of various corn silages inclusion with peanut vine or wheat straw in finishing beef cattle. Methods: One hundred and eighty Simmental crossbred beef steers were blocked and assigned to the follow treatments: i) whole plant corn silage-based diet (control, WPCS), ii) mixed forages-based diet (replacing a portion of corn silage with wheat straw, WPCSW), iii) corn stalklage-based diet (CS), and iv) sweet corn stalklage-based diet (SCS). Each group consisted of 5 repeated pens with 9 steers/pen. The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and isoenergetic with same forage to concentrate ratio. Experimental diets were fed for 90 d. Results: The effective ruminal degradability of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were highest for WPCS diet (p<0.05), for neutral detergent fiber was highest in SCS diet (p<0.05). The average daily gain was greater for cattle offered the WPCS diet, intermediate with WPCSW and SCS and lowest with CS (p<0.001). The concentration of non-esterified fatty acid in serum was higher for steers fed with CS and SCS diets than those offered WPCS and WPCSW steers (p<0.001). The treatments did not affect the general nutritional contents and amino acids composition of Longissimus dorsi of steers (p>0.05). Conclusion: The corn silage-based diet exhibited the highest feeding value. The sweet corn stalklage and wheat straw as an alternative to corn silage offered to beef cattle had limited influence on feeding value and meat nutrients. However, the value of a corn stalklage-based diet was relatively poor. To sum up, when the high quality forage resources, such as corn silage, are in short supply, or the growth rate of beef cattle decreases in the later finishing period, the sweet stalklage and wheat straw could be used as a cheaper alternative in feedlot cattle diet without sharp reducing economic benefits.

Ruminal pH patter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related bacteria in response to dietary liv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supplementation in beef cattle

  • Zhang, Xiangfei;Dong, Xianwen;Wanapat, Metha;Shah, Ali Mujtaba;Luo, Xiaolin;Peng, Quanhui;Kang, Kun;Hu, Rui;Guan, Jiuqiang;Wang, Zhishe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2호
    • /
    • pp.184-195
    • /
    • 2022
  • Objective: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live yeast supplementation on ruminal pH patter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bacteria in beef cattle. Methods: This work comprised of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In vitro fermentation was conducted by incubating 0%, 0.05%, 0.075%, 0.1%, 0.125%, and 0.15% active dried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ADY) with total mixed ration substrate to determine its dose effect. According to in vitro results, 0.1% ADY inclusion level was assigned in in vivo study for continuously monitoring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es. Six ruminally cannulated s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2 treatments (Control and ADY supplementation) as two-period crossover design (30-day). Blood samples were harvested before-feeding and rumen fluid was sampled at 0, 3, 6, 9, and 12 h post-feeding on 30 d. Results: After 24 h in vitro fermentation, pH and gas production were increased at 0.1% ADY where ammonia nitrogen and microbial crude protein also displayed lowest and peak values, respectively. Acetate, butyrate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s concentrations heightened with increasing ADY doses and plateaued at high levels, while acetate to propionate ratio was decreased accordingly. In in vivo study, ruminal pH was increased with ADY supplementation that also elevated acetate and propionate. Conversely, ADY reduced lactate level by dampening Streptococcus bovis and inducing greater Selenomonas ruminantium and Megasphaera elsdenii populations involved in lactate utilization. The serum urea nitrogen decreased, whereas glucose, albumin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with ADY supplementation.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d dietary ADY improved ruminal fermentation dose-dependently. The ruminal lactate reduction through modification of lactate metabolic bacteria could be an important reason for rumen pH stabilization induced by ADY. ADY supplementation offered a complementary probiotics strategy in improving gluconeogenesis and nitrogen metabolism of beef cattle, potentially resulted from optimized rumen pH and fermentation.

옥수수 사일리지가 거세한우의 성장, 도체특성 및 등심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n Silage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Gene Expression of Longissimus dorsi Muscle Biopsy of Hanwoo Steers)

  • 김의형;강동훈;박보혜;장선식;정기용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1호
    • /
    • pp.41-48
    • /
    • 2022
  • 본 연구는 사료비의 절감을 위해 배합사료 비율을 줄이고 조사료 비율을 높이면서 한우 고급육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수행하였다. 대조구(고급육 사양)와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대조구 대비 배합사료 66% 급여 및 옥수수 사일리지)의 성장, 도체성적 및 등심근육 내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했다.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는 비육 후기의 일당 증체량 및 출하체중이 수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도체특성에서도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가 도체중, 등심단면적 및 근내 지방도가 수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육량 A등급 출현은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가 23% 높게 나타났으며, 육질 1++등급 출현율은 대조구가 17%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가 대조구 대비 배합사료 급여량이 적음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보여진다. 등심내 유전자 발현에서는 옥수수 사일리지 급여구가 근육발달 유전자 발현이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발달 유전자 발현에서는 대조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배합사료의 고급육 사양 대비 옥수수 사일리지 사양이 육질 1++등급의 출현이 다소 감소하지만 육량 A등급의 출현을 높여주므로 사료비 절감의 생산 방법 중 하나로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ICT 기반의 인삼 공정 육묘 시 상토에 따른 발아 특성 (Research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Ginseng Seeds According to ICT-Based Soil)

  • 김동현;김연복;구현정;백현진;이수빈;홍의기;김상기;장광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2호
    • /
    • pp.51-61
    • /
    • 2021
  • 인삼 품종별로 조사한 발아율은 자경종이 97.7%로 가장 높았고, 연풍의 발아율이 60.7%로 가장 낮았다. 품종에서는 자경종, 금풍, 천풍, 연풍 순으로 발아율이 우수하였다. 인삼의 최적 pH는 5.0~5.5로 시험구의 상토는 30일 후에는 적정 범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피트모스 단독 상토구에서는 pH 변화가 거의 없어 강산성으로 측정되었다. 일반적으로 EC의 값은 mS/cm로 현재 토양의 질산태질소와 대부분 비례 관계에 있다. 인삼은 EC가 0.2 mS/cm 이상이 되면 생육이 나빠지고 또한 0.5 mS/cm 이상이 되면 뿌리가 부패하는 등의 농도장해가 일어난다. 분석 결과, EC는 농도 장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펄라이트:피트모스:마사토 0.420 mS/cm, 펄라이트:피트모스 0.280 mS/cm로 낮은 선을 유지하였으나 일반상토가 첨가된 시험구는 1.0 mS/cm 전후로 EC 농도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토의 종류와 발아율 실험에는 피트머스6.5:펄라이트2:마사토1.5 비율 인공상토 조건에서 가장 높은 출아율과 생육상태를 보였다. 실험구 2~7번의 발아율도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생존수는 떨어졌다. 좋은 상토가 갖춰야 할 조건으로 적당한 보수력 및 보비력이 필요하고, 뿌리호흡에 최적의 통기성, 토양산도, 육묘기간 중에 성질(물리성과 화학성) 안정이 필요하다.

페룰산의 사료 내 첨가가 육계 생산성, 도체 특성, 혈중 성분 및 장내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ulic Acid-Based Preparation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Blood Profiles,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s)

  • 김용란;이상우;김은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5-51
    • /
    • 2022
  • 본 연구에서 페룰산이 함유된 미강추출물의 첨가가 육계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당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을 개선시켰다. 일당 증체량은 육계 전기(1~21일령), 육계 후기(22~30일령), 전체 사육기간(1~30일령) 모든 사육기간에서 RBEX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사료요구율에서도 모든 사육기간에서 페룰산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P<0.05), 혈중 성분 중 총 콜레스테롤과 혈중 글로블린 수치에 유의차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P<0.05), 장내균총 중 페룰산을 처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산생성균의 균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P<0.05), coliforms에서는 대조구에 비해서 페룰산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페룰산이 함유된 미강 추출물의 첨가는 육계의 성장촉진 등 생산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항생제 대체제로의 이용가능성이 시사되었으며, 체내 대사생리 및 근육내 물리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 없이 가식성 근육 내 지질산화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보존성을 개선한 기능성 양계산물의 생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도로변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로써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 채집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ire and Road Wear Particles(TRWPs) as Fine Dust Generated on the Roadside)

  • 강태우;김혁중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93-29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도로변 미세먼지 내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의 정량화 분석과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 내 타이어 및 도로 성분 비율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시간당 1,300여대 교통량을 갖는 충청남도 지자체중에서 C도시의 종합버스터미널 부근 정류장의 경계석 6곳에서 먼지 샘플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먼지 샘플 1,000 g에 대해 크기와 밀도 분리 수행한 결과 미세먼지 샘플 24 g과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 약 0.05 g이 분리되었다. 즉, 도로변 미세먼지에는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가 약 0.21 %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리된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에 대해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형상을 분석한 결과 지우개가루 형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도로변 미세먼지 내 존재하는 타이어와 도로 마모입자는 자동차 주행 중 타이어와 도로간 마찰에 의해 생성되어 도로변으로 분산되었기 때문에 열중량분석기(TGA)와 가스크로마토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량화 계산식을 통해 성분에 대한 타이어 및 도로 성분 비율을 도출한 결과 약 3:7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도로변 미세먼지 발생원의 구성원과 함량 분석을 위해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분석 기법을 제시하였다. 추후, 도로건설과 타이어 소재의 미세먼지 저감 기술 확보와 개선 방안 확보를 위한 선행적 기초 연구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하고 지속적으로 더 많은 지역과 샘플 분석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확보하여 신뢰도 높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난방을 위한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혼합수량비 변화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of Dry Cement Mortar for Floor Heating Depending on Water-to-Dry Mortar Rutio)

  • 박상준;황인성;이건철;김종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1-188
    • /
    • 2021
  • 본 연구는 바닥 난방을 위한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현장 혼합수량비(W/DM) 변화에 따른 각종 품질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 바닥용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의 현장 시공은 현장에서 혼합하는 혼합수량의 증가에 따라 플로가 증가하고, 단위용적질량이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이며, 압축강도 및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은 혼합수량의 변동에 따라 바닥용 DM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정 W/DM의 관리가 바닥용 DM의 시공 품질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바닥용 DM의 현장 시공시 작업자의 작업성만을 고려한 과도한 현장 W/DM 증가는 과도한 블리딩 및 재료분리 등으로 인해 바닥용 DM의 경화 후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상으로, 본 연구 범위의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현장 시공 시 바닥용 DM의 품질확보를 위한 현장 품질관리 기준으로는 W/DM 약 20%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정 혼합수량이 관리될 수 있다면 바닥용 DM의 양호한 품질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타이어 마모성능 차이에 의한 타이어 마모입자 생성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Generation of Tire & Road Wear Particles by Differences in Tire Wear Performance)

  • 강태우;김혁중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61-56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타이어 마모성능에 따른 타이어 마모입자 생성량 및 도로변 미세먼지 물질로써 타이어 소재와 도로 포장체 구성 성분의 정량화 분석을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타이어 트레드 부위 고무의 가황제/가황촉진제의 사용비를 달리하여 고무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무배합물의 물성 평가 결과 가황제/가황촉진제의 사용비가 증가할수록 가교밀도는 감소하여 마모성능이 불리한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밀폐된 실내 마모시험기에서도 가교밀도가 감소할수록 타이어 마모입자 생성량은 증가하였고, 손실량 100% 대비 84~86%의 타이어 마모입자를 포집할 수 있었다. 타이어 마모입자 중, 96.4~97.7% 분산, 2.3~3.6% 비산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포집된 타이어 마모입자의 화학분석 결과, 타이어의 마모성능에 따라 타이어 마모입자 내 타이어와 도로 구성 성분 비율(63 : 37 → 75 : 25)이 변화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타이어 마모성능에 따라 타이어 마모입자 발생에 대한 영향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제 도로 현장의 조건 대비 가혹한 실내 마모환경으로부터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타이어 마모입자 발생이 도로 포장체 성분보다 더 높은 함량으로 분석되었다. 추후 실제 도로 환경에서 완제품 타이어와 실제 차량을 이용하여 자동차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증화 연구 방법을 도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