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er management

검색결과 5,062건 처리시간 0.058초

경기지역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안경원 창업교육 요구도 (A Request for Optical Shop Startup Education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in Kyung-gi region)

  • 이옥진;김상모;정세훈;이승원;윤경한;김상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3-29
    • /
    • 2009
  • 목적: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안경원 창업교육 요구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도 소재 3개 대학의 안경광학과 재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SPSS 통계분석을 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94.4%)은 창업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원 창업교육 요구도는 89.9%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창업교육 희망경로는 학교의 특강형식과 외부특강을 선호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창업교육 항목의 중요도는 '안경원 장소선정을 위한 자료 및 전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경원 장소선정을 위한 자료 및 전략'과 '안경테, 렌즈, 콘택트렌즈 구입정보'의 중요도는 시력교정의 여부(p<0.001, p<0.05)와 안경사친인척 유무(p<0.05, p<0.001)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안경원 고객관리 및 홍보방안'의 중요도는 시력교정의 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결론: 경기지역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안경원 창업교육 요구도는 매우 높았으며 이들의 요구를 반영한 창업교육이 요구된다.

  • PDF

Kano-IGA 통합접근법을 이용한 전자통관 서비스 품질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in Electronic Customs Clearance Making Use of Kano-IGA Integrated Approach)

  • 송선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54-61
    • /
    • 2019
  • 본 연구는 국가 관세행정 종합정보 시스템인 UNI-PASS의 서비스품질을 평가함에 있어 Kano모형과 Timko의 BW계수, Tontini et al.의 개선갭분석(IGA)을 적용하여 전자통관서비스(UNI-PASS) 품질속성들을 비교 검토하고, 전자통관서비스 이용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품질 속성에 집중해서 서비스 품질을 제고해야 하는지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전자통관서비스 품질 속성의 분류에서는 Kano, Timko, IGA모형 모두가 공통된 4가지 품질속성인 매력적품질, 일원적품질, 당연적품질, 무관심품질로 분류되었다. Kano-IGA 통합접근법을 이용한 결과에서 일원론품질의 경우 개선이 시급한 1사분면 영역에 포함되었고, 당연적품질은 중점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영역인 2사분면에 포함되었다. 무관심품질은 Care free 영역인 3사분면에 그리고 매력적품질은 경쟁우위 영역에 해당하는 4사분면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전자통관서비스 품질속성을 일원론적 관점이 아닌 이원론적 시각에서 Kano모형에 의거 서비스품질 속성을 분류하였고, 더불어 Kano, Timko, 개선갭분석(IGA)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각각의 품질속성의 분류결과가 일치하는지와 영역별 개선우선순위와 영역내 개선 우선순위를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실증분석에 사용된 표본의 업종이 일부 특정 업종(일반기계 및 장비류, 전기전자제품류)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조심스런 해석이 요구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산업별, 업종별 비교분석이나 기업의 규모나 사용기간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설문문항의 측정척도는 리커트 5점 척도 보다는 7점 척도를 사용하여 판별력을 높이는 것도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시장 상인의 역량과 시장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ompetency and Market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ket Merchants on Business Performance)

  • 이인선;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5호
    • /
    • pp.105-113
    • /
    • 2019
  • 본 연구는 전통시장의 상인을 중심으로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전통시장의 핵심 성공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기존 창업 관련 연구에 기초하여 상인의 특성으로 심리적 특성, 역량, 시장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상인의 내적특성인 위험감수도, 상인의 자부심은 사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인의 역량 중 상품 역량, 고객관리 역량, 가격 역량은 사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의 물리적 특성 중 명성, 상품의 다양성은 사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업만족도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전통시장 상인의 사업성과에 상인의 내적인 특성과 역량, 그리고 시장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전통시장 활성화 전략 수립, 정부 지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의 한계점은 시장 상인의 상품의 경우 업종별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업종별 차이를 규명하지 못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상인의 업종별 역량이나 사업성과와의 관련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시스템 내 고객 수에 따라 서비스율과 도착율을 조절하는 M/G/1/K 대기행렬의 분석 (Analysis of an M/G/1/K Queueing System with Queue-Length Dependent Service and Arrival Rates)

  • 최두일;임대은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7-35
    • /
    • 2015
  • 대기행렬 시스템에는 고객들의 대기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이 적용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고객숫자에 따른 제어 정책을 갖는 유한용량 M/G/1/K 대기행렬을 분석한다. 고객의 숫자에 따라 서버의 서비스율과 고객의 도착율을 조절하는 정책이다. 두 개의 한계점(thresholds) $L_1$$L_2$($${\geq_-}$$L1)를 설정하고 시스템 내 고객의 숫자가 $L_1$보다 작을 때는 시스템은 보통(또는 상대적으로 느린)의 서비스율(service rate)과 보통의 도착율(arrival rate)을 갖는다. 고객의 숫자가 증가하여 $L_1$이상이고 $L_2$보다 작으면 도착율은 그대로 이지만 서비스율을 증가시켜 빠르게 서비스한다. 이후 고객의 숫자가 더욱 증가하여 $L_2$ 이상이면 고객의 도착율도 작은 값으로 바꾸어 고객을 덜 입장시킨다. 위 정책을 갖는 M/G/1/K 대기행렬을 내재점 마코프 체인과 준-마코프 과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수치예제를 제시한다.

컨설턴트역량이 프로젝트성과와 사회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 ICMCI 역량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nsultant competency on the Project performance and Social-relational competency : focus on ICMCI competence framework)

  • 홍용기;유연우;김상봉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02-313
    • /
    • 2021
  • 국내 컨설팅산업이 성숙해지면서 컨설턴트에게는 고객의 비즈니스와 컨설팅 비즈니스에 대한 통찰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통찰력은 해당 비즈니스 도메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고도의 역량을 필요로 하며, 날로 치열해지는 컨설팅 시장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역량 요소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소규모 컨설팅사에 소속되거나 개인적으로 활동하는 컨설턴트가 갖추어야 할 모든 요소를 담고 있는 ICMCI 역량모델을 국내 컨설턴트에게 적용해 보고자 하였으며, 설문조사로 수집된 데이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즈니스역량과 기술역량은 프로젝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치 및 행동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에, 사회관계역량에는 기술역량과 가치 및 행동역량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성과와 사회관계역량에 미치는 역량의 요소와 영향의 크기가 정반대로 나타나 프로젝트성과가 우수한 컨설턴트는 사회관계를 소홀히 하고 프로젝트성과가 약한 컨설턴트는 사회관계에 더 집중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적인 컨설턴트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컨설팅 비즈니스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지각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적은 표본으로 모집단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간호학 임상실습에서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 설계 및 적용효과 (A Design and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Team Project Learning in Nursing Clinical Practice)

  • 강명주;정경희;조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36-348
    • /
    • 2019
  •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공감력 및 문제해결의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팀 프로젝트 학습 참여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전후설계에 의한 원시실험연구로 대상자는 N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간호관리학실습 교과목 수강자 64명이었다. 디자인씽킹 기반의 팀 프로젝트 학습은 2주간의 임상실습 중 매주 5일, 1일 1시간 30분,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사용하여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팀 프로젝트 학습 참여경험은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 전과 후 대상자의 공감력(t=-2.94, p=.005)과 문제해결의 적극성(t=-6.2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감력과 문제해결의 적극성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34, p<.001)가 있었다. 팀 학습 참여경험은 디자인씽킹, 공감,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의 4개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결과 디자인씽킹 기반 팀 프로젝트 학습은 고객의 욕구를 찾고, 정의하고, 문제의 해결안을 창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업을 통해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고 공감력을 발휘하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패스트푸드 기업의 인지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인식과 구매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Do American Consumers Perceiv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ons and Exhibit Loyalty Inten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putation of Fast Food Restaurants?)

  • 이기원;이영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7-187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customers toward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regarding restaurant healthfulness, corporate reputation, and the impact of corporate reputation on loyalty intentions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motive.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U.S. residents who were aware of fast food restaurants' CSR activities. Participants selected one fast food restaurant participating in CSR activities, coded as either traditional (n = 117) or non-traditional (n = 48), and answered questions about the selected restaurant's healthfulness, reputation, CSR motives, and loyalty intentions.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healthfulness and corporate reputation of the two types of fast-food restaurants were compared. A mediation path of corporate reputation - CSR motive - loyalty intention was analyzed. Results: Non-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5.02 ± 1.26) were perceived to be more healthful than traditional ones (3.93 ± 1.72).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compared to 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non-traditional ones had a better overall corporate reputation (P = 0.037),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customers (P = 0.029), better workplaces (P = 0.007), more environmentally and socially responsible (P < 0.001), and offered higher quality products and services (P = 0.042).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restaurant healthfulness and corporate reputation (P < 0.001 for all reputation items). The suggested mediation path was supported with 95% CIs excluding zero, implying that when fast-food restaurants had a better reputation overall, were customer oriented, good employers, strong companies with a good product and service quality,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e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ir CSR activities to be sincere and were hence loyal to that restaurant. Conclusions: Overall, participants were more favorable towards non-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which had a healthier image and better reputation than traditional ones. Therefore, fast food restaurants need to consider offering healthy food and enhance their image, which would maximize the return on their investment in CSR.

해충유입 방지를 위한 방충포장기법의 연구 동향 및 전망 (Research trends and views for insect-proof food packaging technologies)

  • 장윤지;나자현;한재준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0권2호
    • /
    • pp.2-11
    • /
    • 2017
  •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생활환경 향상에 따른 웰빙 라이프 추구에 따라 소비자는 맛뿐만 아니라 식품의 질적인 측면 또한 중요시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안전한 식품 섭취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었다. 또한 가공 곡류 등의 저장 식품에서의 해충의 피해가 빈번히 일어나며, 이는 식중독 유발 등 인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는 보고가 계속 됨에 따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식품에의 해충 오염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궁극적인 해결 방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방충 식품 포장재 개발 연구에 뒤따른 실질적인 상용화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식품 업계에서는 식품포장 본연의 목적을 충실히 만족하며 기능성 포장으로서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합리적인 방충 포장재 개발기술을 발전시키는데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앞으로 산학연의 협력하에 저장해충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입증된 적합한 방충 물질 탐색에 관한 연구는 물론, 실제 산업에도 도입시킬 수 있도록 경제성을 갖춘 포장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소비자 중심 의료 관점의 만족도 조사에 기초한 가정의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family physician based on Satisfaction Survey from a customer centered care principle)

  • 오동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56-46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중심 의료 관점에 기초해 미국·캐나다 재외국민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의료 만족도 비교 조사를 바탕으로 가정의 도입과 관련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16년 -'18년 사이에 설문조사지 배포 및 회수 방식으로 수집된 493개의 실증자료에 기초한 통계적 분석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캐나다 가정의에 대한 만족도가 한국의 1차 의료 의사에 비해 높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둘째, 치료기술 및 수준, 진료예약 신속성 등에서 한국 1 차 의료 의사 만족도가 높았으며 가정의 제도에 비해 약점으로 언급되는 충분한 상담 및 설명 측면에서도 가정의 제도가 더 우수하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셋째, 미국 재외국민은 캐나다 재외국민에 비해 가정의 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넷째, 미국·캐나다 재외국민은 가정의를 거쳐 병원에 가도록 강제하는 제도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높았고 질병 발생 시 가정의를 통하지 않고 병원을 직접 방문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미국·캐나다 가정의 만족도가 한국 1차 의사에 비해 높다는 충분한 증거가 없으므로 서구식 가정의 제도 도입 전 이 제도로 인한 효익과 비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추가적인 분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정보제공과 관계혜택이 문화상품 온라인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공연상품과 상영상품의 차이 (Impact of Information Offering and Relational Benefits on Online Purchashing Intention of Cultural Products: Difference between Stage and Screen)

  • 조세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49-163
    • /
    • 2022
  • 문화산업의 발전에 따라 문화상품의 온라인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고객과의 관계수립이 온라인 구매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상품의 온라인 판매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와 관계혜택이 온라인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이 공연상품과 상영상품 간에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밝히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전체의 경우 정보제공과 관계혜택 모두 온라인구매의도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공연상품(연극)의 경우 상품이해정보, 경제적 관계혜택 및 고객화 관계혜택은 유의적 영향을 보였으나 상품구매정보는 유의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영상품(영화)의 경우 상품구매정보와 경제적 관계혜택은 유의적 영향을 보였으나 상품이해정보와 고객화 관계혜택은 유의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보제공과 관계혜택이 온라인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문화상품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경제적 관계혜택은 모든 경우 온라인 구매의 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화상품의 온라인거래에서 고객관계관리를 비롯하여 차별화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