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Change

검색결과 770건 처리시간 0.025초

일반화학 교재에 나타난 엔트로피 정의와 설명의 고찰 (Studies of the Definition and Explanation of Entropy in the GeneralChemistry Textbook)

  • 서영진;채희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62-7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주로 채택하는 일반화학 교재를 포함한 미국에서 출판된 총 12 종의 일반화학 교재들에 있는 ‘엔트로피’의 정의와 설명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같은 저자들이 저술한 교재의 판 별 변화를 살펴본 통시적 분석이며 다른 부분은 세 가지 영역 (엔 트로피 정의와 설명방법에 쓰인 무질서, 엔트로피 정의와 설명방법에 Microstates의 수 도입, 통계학적 엔 트로피와 열역학적 엔트로피를 배울 때의 오개념 가능성)으로 살펴본 내용적 분석이다. 연구 결과, 엔트로 피를 무질서의 정도라고 정의하는 것은 지양되었고, Microstates의 수를 이용한 설명 방법으로 대체 되었 다. 또한, 두 가지 다른 엔트로피가 존재한다고 믿는 오개념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주의점을 기술한 교재도 발견되었다. 엔트로피 설명방법의 이러한 변화를 새로운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교사들을 재교육하는 것은 우리나라 화학교육의 발전에 중요한 일이다.

중등 수학 교사의 수업자신감 영향 변인 간 공통성 분석 (Commonality Analysis of Context Variables for Math Teachers' Confidence)

  • 박지현;이유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755-768
    • /
    • 2016
  • 교사의 수업자신감은 학생들의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교사의 직업 생활의 질을 높이는 데도 중요한 변인임에도 불구하고, TIMSS 결과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우리나라 중등 수학 교사의 수업자신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수업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교사경력, 수업준비도, 교사협력, 수업제한의 네 가지 맥락변인이 우리나라 중등 수학 교사의 수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 변인들이 수업자신감의 변화에 대해 갖는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네 가지 예측 변인을 투입했을 때 수업준비도, 교사협력, 수업제한의 세 가지 변인이 수업자신감에 영향을 주고, 수업자신감의 변화에 대한 설명력의 경우 다른 변인이 합성되지 않은 수업준비도의 고유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생 수준별 자유탐구 안내자료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Differentiated Open Inquiry Guide Materials for Elementary Students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 임라미;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3호
    • /
    • pp.233-253
    • /
    • 2018
  • Since open inquiry of science was formally introduced at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Course, the purpose and effect of it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and it is underlined continuously until the revised science education course in 2015. However, through many previous studies, there is still a lack of awareness of open inquiry of both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field, and it was revealed they are continually appealing confusion and difficultie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causes that make it difficult to execute open inquiry, and developed differentiated open inquiry guide materials that can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They were developed by the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o provide students with authentic science. The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is reflecting the evolutionary attributes and the brain functions associated activities of scientists. It was revealed that, in the same way as the pilot test results, the usefulness of the differentiated guide materials were very high,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ce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had positively influenced the stage of determining the inquiry themes, and self-confidence that could be able to do as a scientist. Analysis of top and sub group types on the basis of inquiry ability showed that both groups are improved at science attitude by the differentiated guide material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change in the self-perception of scientific creativity. We were able to see a positive change in the post survey for open inquiry-efficacy. The developed differentiated open inquiry guide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open inquiry-efficacy for both the teacher and student.

패션 산업 내 3D 프린팅 사용 현황 및 패션디자인과 내의 활용방안 (The Current Status of 3D Printing Use in Fashion Industry and Utilization Strategies for Fashion Design Departments)

  • 정화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5-260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cases of 3D printing utilization in domestic and overseas fashion industries, and presented utilization strategies for fashion design departments in universities in future by grasping characteristics of newly appearing distribution types through 3D printing. Cases of producing costumes using 3D printing in fashion industry comprised a bikini using the material of Nylon12 that continuum fashion demonstrated, innovative 3D costumes by Iris Van Herpen, Tweed Suit using the material that Chanel manufactured with 3D printing technology, but they were limited to experimental fashion works due to limitations of 3D printer material and printing size. On the other hand, in fashion accessories, with jewelry and shoes at the head of the list, MCM and Kipling also demonstrated bags using this technology, and Elvis Pompilio and Gabriela Ligenza demonstrated 3D printing hat products as well. Except the above, as in glasses and neckties utilizing 3D printing, owing to reduced limitations of time, size and material, 3D printing was found to be utilized in fashion accessories other than costumes. Recently there has been a new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 coming up focusing on 3D printing technology. That is, in overseas countries, content platforms sharing products modeled by oneself has rapidly appeared, and in our country as well, funnypoly, a 3D content platform appeared in 2015. The appearance of these new types of distribution structures means that the common people can produce design contents, and we believe that it may bring about a change in the traditional way of distribution structure. To walk in step with this change,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for fashion design departments to raise college faculty members who can educate 3D printing, develop curriculum to educate 3D printing, and develop experiential programs connec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s.

  • PDF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컴퓨터 관련 직업선호도 분석 (Analysis of Computer Related Occupational Prefer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최은하;박병섭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12호
    • /
    • pp.1563-1572
    • /
    • 2001
  • 21세기의 정보화 물결은 산업사회를 지식 정보화 사회로 변모시키면서 새로운 가치관과 삶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급변하는 정보화사회에서 컴퓨터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컴퓨터 교육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T 기반 지식정보화사회가 요구하는 산업기술인 양성을 위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직업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더욱 효율적인 컴퓨터 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진로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의 학교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관련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와 관심도 아주 많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컴퓨터 관련 직업선호도 조사결과로는 정보화사회에 발맞추어 새롭게 부각되는 정보통신기술(ICT)분야와 멀티미디어분야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북 일부 지역 중학생의 제 7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 교과 중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Food and Nutrition Part in Home Economics)

  • 최선정;손희숙;차연수;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1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food and nutrition part in Home Economics by gender, school location and school type.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about three category: perception (interests, practical usefulness, attitude change in food behavior), difficulty (nutrition and health in adolescence, balanced diet, principle of cooking and preparing food), necessity (nutrition and health in adolescence, balanced diet, principle of cooking and preparing food). The subjects were 1014 middle school students of 1st grade in Jeonbuk area; urban 334, suburban 339 and rural 34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difference in ‘interests’ by gender (girls > boys), school location (urban, suburban > rural) and school type (coeducation > boys, girls). There were differences in ‘practical usefulness’ by school location (urban > rural) and in ‘attitude change in food behavior’ by school location (urban > suburban > rural) and school type (boys, girls > coeducation). 2) There was difference in difficulty in section of ‘nutrition and health in adolescence’ by school location (suburban > rura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ction of ‘balanced diet’ by gender, school location and school typ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ction of ‘ principle of cooking and preparing food’ by school location (urban, rural > suburban) and school type (coeducation > boys). 3) There were differences in necessity for ‘balanced diet’ and for ‘ principle of cooking and preparing food’ by school location (urban, suburban > rural) and school type (coeducation > boys, girls). Characteristically, the boys had more necessity for ‘nutrition and health in adolescence’ and for ‘balanced diet’ than girls but girls had more necessity for ‘principle of cooking and preparing food’ than boys. It suggests that gender, school type and school loc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an effective and practical curriculum of food and nutrition part in Home Economics.

교수학적 처방에 따른 중학생들의 일차함수 오개념의 변화와 그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rror-Remedial Effect and Change of the Students' Misconception on the Learning of Linear Function)

  • 이종희;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1호
    • /
    • pp.115-133
    • /
    • 2003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일차함수에 대한 오개념을 탐구하여 범주화하고, 일차 함수의 개념 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의 오개념을 교정하고자 설명식 교수·학습 방법과 동료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협동 학습 방법을 각각 실시했을 때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동료간의 협동적 상호 작용을 하면서 개별적으로 구성한 오개념이 어떻게 변화, 발전하는 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대수적 환경에서의 학생들의 오개념은 수 개념에 의한 장애, 변수 개념 부족에 의한 장애, 특정관점에의 집착으로 분류되고. 그래프적 환경에서 학생들의 오개념은 함수그래프의 해석과 판단에서의 장애, 변수 개념에 대한 장애로 범주화되었다. 상이한 교수학적 처방의 효과는 오개념의 범주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나, 교정 학습 후에도 기존의 인지 구조에 강하게 각인된 오개념은 계속해서 남아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오개념 중 일부는 단순히 잘못된 것이 아니라, 이를 발판 삼아 동료간의 협동 학습을 통하여 올바른 개념으로 변환될 수 있었다.

  • PDF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48-259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패러다임과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3명이 한 학기 동안 팀 토의 중심 수업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자료인 토의 보고서는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교육은 정보통신기술, 윤리관, 융합교육, 창의성, 인성교육, 협업으로 예비교사는 이와 같은 교육을 위해 융합교육, 지역연계학습, 거꾸로 학습, 혼합학습 등의 학습자 중심 학습과 평가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교사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은 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정보처리 역량, 공감 및 이해 역량, 창의적 교수 및 교수설계 역량, 협업 및 의사소통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비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Case Study: A Preservice Teacher's Belief Changes Represented as Constructivist Profile

  • Kwak, Young-Su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95-821
    • /
    • 2001
  •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d a preservice teacher's developing views of learning with the influence of constructivist epistemology taught in the Math,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MSAT) Master of Education (M. E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MSAT teacher education program employs constructivist aspects of teacher education and generates applications of constructivism to the practice of teaching, as revealed by faculty interview data. It is important at this point to emphasize that there are significant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versions of educational constructivism (i.e., individual, radical, and social constructivism) and that these differences imply different pedagogical practices. For the 16 preservice teachers included in a larger study,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characteristics for each teacher's developing views of learning were identified through four in-depth interviews. Data from interviews were used to construct a constructivist profile for each preservice teacher's views of learning (i.e., a profile containing ontological beliefs, epistemological commitments, and pedagogical beliefs). Of the sixteen participants in the larger study, five significantly changed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eliefs and eleven did not. Profile changes for the five who did change also resulted in changes in their conception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CSTL). In this article, one of the five teachers case was presented with rich quotes. This case study documents how a preservice teacher transferred his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eliefs to his pedagogical beliefs and maintained the consistency between his philosophical beliefs and CSTL. It also demonstrated implications that changes in components for an educational constructivist profile have for a preservice teacher's view of himself as teacher. Data indicated the possibility that a constructivist-oriente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can influence students' conception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by explicitly introducing constructivism as an epistemology rather than as a specific method of instruction. Implications for both instructional practice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mes and research are discussed.

  • PDF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직업의 변화에 기초한 초등학교 교과서 삽화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 Illustrations Based on the Change of Occupations from a Perspective of Digital World)

  • 장미은;김자미;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5-124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삽화에 제시되어 있는 직업의 종류를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6학년 국어, 사회, 도덕 교과서에서 제시된 삽화를 분석하여 직업의 종류를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고용의 미래: 우리의 직업은 컴퓨터화에 얼마나 민감한가?'라는 보고서에서 제시된 미래에 사라질 직업에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 교과서는 미래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직업이 52.1%로, 가능성이 낮은 직업보다 더 높은 비율이었다. 둘째, 직업이 편향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사라질 가능성이 낮은 직업 중에서 50% 정도는 농부, 교사, 경찰, 의사와 같은 직업이었다. 즉, 교과서에서 제시된 직업이 사회와 직업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SW가 강조되는 시대적 반영이 전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해 새로운 교과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교과서의 집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