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석진, 임희준, 여상인, 최선영, 신명경, 정용재(2011). 과학 교수-학습 지도 자료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요구. 초등과학교육, 30(3), 296-304.
- 강인애(1997). 객과주의와 구성주의: 대립에서 대화로. 교육공학연구, 13(1), 3-19.
-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 권현영, 김효남(2016).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대한 실태 및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지, 27(1), 153-172.
-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수학, 과학, 실과. 금성출판사.
-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KECE, 연구보고 RRE 2008-3-1, 222.
- 김기쁨(2014).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 활동과 과학 창의성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1998).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변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97-301.
- 김재윤, 임희준(2011). 초등학생들이 수행한 자유 탐구의 특징과 문제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5(2), 535-554.
- 김현경, 나지연(2017).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03-1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103
-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 김효남, 최돈형, 임채성, 윤선진, 김대현, 정영미(2003). 초등과학 교수.학습 자료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연구.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3(1), 77-93.
- 민수진(2014). 교수자료 동기척도(IMMS)의 국내 타당화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회지, 15(3), 419-443.
- 박미경(2016). 속성배추(Rapid-cycling Brassica rapa)를 활용한 초등학생용 자유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지, 27(4), 261-281.
- 박성혜(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 박영신(2006). 교실에서의 실질적 과학탐구로서 과학적 논증 기회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401-415.
-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자유탐구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4(1), 109-122.
- 변광태, 김학성, 윤마병(2011). 초등학교 과학교과의 자유탐구 활동에서 탐구문제 발견과정의 사례 분석. 현장과학교육, 5(2), 117-128.
- 신동훈, 신정주, 권용주(2006). 생명 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 수업 과정과 관찰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25(4), 339-351.
- 신영민, 김현경, 최병순(2010). 학습자의 인지수준 및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효과 및 탐구 단계별 상호작용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5), 533-543.
- 신원섭, 신동훈(2014). 초등과학부진학생의 기초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안구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95-80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8.0795
-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 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 이국환, 김효남(2014).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활동에서 자기 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 효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지, 25(1), 133-149.
- 이미경, 정은영(2004). 한국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46-958.
- 이수영(2001). ARCS 전략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관련 동기유발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형철, 이정화(2010). 자유 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지도 교사들의 자유 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경북대학교), 34(2), 405-420.
-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 홍은주, 임재근(2010). 초등예비교사들이 자유탐구 활동 중에 겪는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91-303.
- 임채성(2009).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90-1010.
-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 임채성, 김재영, 백자연(2012).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자유탐구 활동에서 과학 태도와 흥미 주제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1(4), 541-557.
- 장신호(2006). 학생들의 과학적 설명을 강조하는 탐구 지향 교수 활동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5(1), 96-108.
- 장진아, 전영석(2009).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의 과학탐구능력 수준에 적합한 안내된 자유탐구 교수학습 지도방안 탐색.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영석, 전민지(2009).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 조희형(1992). 과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분석 및 탐구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61-73.
- 최윤미, 남철우(2002). 수준별 학습지 활용 수업이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1(1), 111-126.
- 최인수(2011). 창의성의 발견. 파주: (주)쌤앤파커스.
- 최종현, 송상헌(2005). 주제 탐구형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7(2), 169-192.
- Amabile, T. M., Barsade, S. G., Mueller, J. S. & Staw, B. M. (2005). Affect and creativity at work.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0(3), 367-403. https://doi.org/10.2189/asqu.2005.50.3.367
- Buch, L. B., Bretz, S. L. & Towns, M. H. (2008). Characterizing the level of inquiry in the undergraduate laboratory.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8(1), 52-58.
- Bulunuz, M., Olga, S. & Jarrett, L. M. H. (2012). Level of inquiry as motivator in an inquiry methods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2(6), 330-339. https://doi.org/10.1111/j.1949-8594.2012.00153.x
- Chang, C. C., Tseng, K. H. & Lou, S. J.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istency and difference among teacher-assessment, student self - Assessment and peerassessment in a Web-based portfolio assessment environ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Computers & Education, 58, 303-320. https://doi.org/10.1016/j.compedu.2011.08.005
- Colburn, A. (2000). An inquiry primer. Science Scope, 23(6), 42-44.
- Costenson, K. & Lawson, A. E. (1986). Why isn't inquiry used in more classroom.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48(3), 150-158. https://doi.org/10.2307/4448241
- Dunbar, K. (1993). Concept discovery in a scientific domain. Cognitive Science, 17, 397-434.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1703_3
- Dunbar, K. (1995). How scientists really reason: Scientific reasoning in real-world laboratories. In R. J. Sternberg & J. Davidson (Eds.), Mechanisms of insight, Cambridge, MA: MIT Press.
- Dunbar, K. (1997). How scientists think: Online creativity 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In T. B. Ward, S. M. Smith, & S. Vaid (Eds) Conceptual structures and processes: Emergence, discovery and change. Washington, DC: APA Press.
-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TOSRA).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 German, P. J. & Odom, A. L. (1996). Student performance on asking questions, identifying variable, and formulating hypothes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6(4), 192-20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6.tb10224.x
- Herron, M. D. (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enquiry. School Review, 79, 171-212. https://doi.org/10.1086/442968
- Keller, J. M. (2000). How to integrate learner motivation planning into lesson planning: The ARCS model approach. Paper presented at VII Semanario, Santiago, Cuba.
- Keller, J. M. (2010).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RCS model approach. New York: Springer.
- Kirschner, P., Sweller, J. & Clark, R. E. (2006). Why minimal guidance during instruction does not work: An analysis of the failure of constructivist, discovery, problem-based, experiential, and inquiry-based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75-86. https://doi.org/10.1207/s15326985ep4102_1
- Klahr, D. & Dunber, K. (1988).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Cognitive Science, 12, 1-48.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1201_1
- Moravcsik, M. (1981). Creativity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65, 221-227. https://doi.org/10.1002/sce.3730650212
- Newton, D. P. (2010). Assessing the creativity of scientific explanation in elementary science: An insider-outsider view of intuitive assessment in the hypothesis space.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28(3), 187-201. https://doi.org/10.1080/02635143.2010.501752
- Reiff, R., Harwood, W. S. & Philipson. T. (2002). Scientists's conceptions of scientific inquiry: Voices from the front.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New Orleans, LA.
- Robbins, B. S. (2015) An investigation into the factors that motivate teachers to implement inquiry in the science classroom. Indian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oQuest Kissertations Publishing.
- Schwab, J. J. & Brandwein, P. F.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as enquiry. The teaching of science. (pp. 3-103).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Spencer, H. (1864). Educatio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NY: DAppleton and Company.
- Stenberg, R. J. (1998). A propulsion model of types of creative contributions. Review of General Psychlology, 3, 83-100.
- Walker, C. & Gleaves, A. (2008). An exploration of students'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of creativity as an assessment criterion in undergraduate - Level studies within higher education. Irish Educational Studies, 27(1), 41-54. https://doi.org/10.1080/03323310701837855
- Yang, C. M., Hung, J. F. & Huang, T. C. (2014). The effect on enhancing students' inquiry abilities via step-by-step open-ended inquiry teaching design. US-China Education Review A, 4(12), 887-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