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a Analysis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46초

한국의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규준 CCSSM의 비교.분석 -초등학교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 for Mathematics(CCSSM) in the U.S. -Focus on the Number and Operation Strand in Elementary School -)

  • 안지영;전영주;윤마병;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37-464
    • /
    • 2014
  •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CCSSM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CCSSM에서 각각의 내용 영역명과 해당 영역의 학년 분포 및 내용 체계, 내용 규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기반으로 첫째, CCSSM 내용 영역명에 따른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해당 내용을 분류하여 학년군별로 취합하였고, 둘째,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으며, 셋째, 이 과정에서 한국과 미국의 초등 수학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Information Graphics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 Lee, Sang-Bo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3호
    • /
    • pp.603-60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idea of data view and information graphics is used in the social studios middle school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social studies middle textbooks for 7-9 grades. We set up three questions for this studies; what kinds of information graphics are used in the textbooks, how the graphics are organized in the social studies middle school, and how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lated with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rough the data analysis, we found that 1) Photographs, illustrations, information maps, etc., are used and frequencies of their usages are in descending order, 2) double lines graphs, circle graphs, and stripe graphs nip often adopted for the comparison of populations, 3) the relation of the two subjects curricula is not so good, especially in the curriculum steps of information mads scatter diagrams, and comparison of populations. Finally we suggest that new web site of data view or information graphics be provided for two curricula, workshop of information graphics are need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 PDF

제7차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약속'의 내용과 서술 방식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ntents and Statements of Definition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7th and the Revised 2007 Curricula)

  • 백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261-278
    • /
    • 2011
  •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는 학습한 내용을 수학 기호와 용어로 나타내기 위하여 '약속'이 제시되어 있다. 본 논문은 제7차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약속'의 내용과 서술 방식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논의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교육과정 평가를 통한 가족기업 교육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Family Business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Evaluation of Curricula)

  • 정영금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6호
    • /
    • pp.129-14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rt the necessity of family business education and suggest the family business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curricula of entrepreneurship program, family business program in business school and of extension center of college of human ecology are compared. Two programs in the former are on the basis of management curriculum. But family business program in business school focuses the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family business and is short term program compared with the entrepreneurship program emphasizes the new venture and is well-developed. And family business program in college of human ecology is not differentiated from that in business school. Through thes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program which considers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function as well as the business function in family business. So, family business program contains following three courses; family resource management, business management and entrepreneur process.

  • PDF

A Study on Major Curriculum Based on Individual's Capacities-Focused on Physical Therapy Department in U University

  • Myoung-Hee Lee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6권1호
    • /
    • pp.45-51
    • /
    • 2024
  • Purpose: Since core competence-based training is in deman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uitable talent model and major competencies for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t U University and use it to propose appropriate educational subjects. Methods: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at U university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To study curricula based on major competence, related documents were analyzed, expert opinions were obtained, and a consumer survey was conducted. Results: U University assigns major competencies for each department, develops subjects accordingly, maps them, and constructs a competency matrix. The four major competencies of physical therapy were defined as musculoskeletal system, nervous system, cardiorespiratory system and sports injury, and physical management abilities. In order to realize these major competencies, U University added subjects to its curriculum. Conclusion: The results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analysis should be more actively considered to enable changes in subjects at the departmental level. In addition, the setting of major competencies should be subjected to more detailed, specific reviews to maintain the basic principles of major curricula.

한국과 중국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igh School Chemistry Curricula in Korea and China)

  • 이화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52-666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을 중국의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중국의 학교 과학교육에 이해를 증진시키고 우리 나라의 화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교육부에서 교육과정을 국가 교육과정으로 제정하여 시행한다. 중국 고등학교의 현행 화학 교육과정은 1981년에 제정되고 1994년에 마지막으로 수정된 보통고급중학교 교학대강이나 1996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이 제정되어 일부 성에서는 이 교육과정에 의한 교육이 실시되고 었다. 한국에서도 현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화학교육이 2002년부터는 1997년에 고시된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육으로 이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1996 고등학교 화학교육과정과 한국의 제 7차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양국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육목표, 역사적 변천, 편제와 시간 배당, 집필 구조와 양, 교수-학습 내용, 학습평가 계획의 문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국의 화학 교육과정에는 구 소련의 영향이 상당히 남아 있으며, 한국의 화학 교육과정과는 다른 특징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과 한국 교육 과정의 비교 분석 결과로부터 현행 한국 화학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내용을 논의하였다. 중국의 화학 교육과정이 시사하는 아이디어를 고등학교에서의 공통과학 설치, 교육과정의 시험적 운영제도, 고등학교 화학과목의 필수적 이수, 과학교과 과목의 종류와 화학과목의 배치, 교육과정의 상세화, 구두시험에 의한 학습평가 분야로 나누어 결론과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 PDF

실용음악대학 현황과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소재 실용음악대학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n management of colleges of applied music -with the focus on applied music departments based in Busan -)

  • 서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29-538
    • /
    • 2021
  • 본 연구는 부산소재 실용음악대학들의 과목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실용음악관련 학교들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부산소재 3개 학과의 커리큘럼을 분석한 결과 실용음악전공과 기존 음악학과의 커리큘럼은 일부 유사성이 있으나 차이점도 상당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부산의 경우 실용음악학과의 교육과목은 기존 순수음악학과의 영향아래에 있지만 나름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실용음악 교육기관들은 관련 커리큘럼을 세분화시키는 동시에 타 전공과 연계한 융합형 과목의 개설을 시도하고 교육환경의 향상을 도모해야한다. 이제 음악 내로 한정하는 기존의 논의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경영, 미디어관련학과들과 연계해 음악기획이나 정책과 연관된 융합형 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학생들은 이러한 수업을 통해 뮤지션으로의 진로뿐 아니라 공연기획, 문화예술행정가 등으로 범위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각 기관의 관계자들은 공론장에서 이에 대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제 국내 실용음악학의 발전을 위한 근원적 성찰이 필요하다.

국내외 과학과 교육과정과 발명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Relevance of Korean and Foreign Science Curricula and Invention)

  • 손정우;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1-65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과학 교육과정에 제시된 발명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발명의 관련성 정도에 대한 과학교육자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외국 교육과정 분석은 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호주, 싱가포르, 뉴질랜드, 프랑스, 핀란드, 중국 등 여러 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발명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발명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서 과학,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등 공통이수 과목들에 대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각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등에 발명관련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과학 교사를 포함한 과학교육자들에게 교육과정과 발명의 관련성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부분의 나라에서 과학교육과정의 '성격(목표)', '내용' 등에서 과학에서 발명의 중요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교육자들은 발명이 과학과 교육과정에 관련된 점은 확인되었으나, 체계적인 연계성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발명교육은 주로 설계 및 장치 고안 등의 결과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문제점 착안, 발명기법, 지식재산권 등 다양한 과정 중심의 발명 관련성은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고 인식하였으며, 과학교육에서 발명 교수-학습법이나 관련 자료를 개발하고자 할 때는 과정 중심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도서관 및 정보전문직 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교과과정 분석을 통하여 (Trends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nals-Based On Analysis of Curricular of Library Science)

  • 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43-75
    • /
    • 1984
  • Information science is the study how in formation is transferred and all the intermediate steps of collecting, organizing, interpreting, storing, retrieving, disseminating and trans foming information. Professional education means the transfer of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ies and the infusion of professional attitudes. Training may be defined as practice-based instruction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professional skills. Each is affected by the confluence of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realities of the environment where the learning takes place. We have witnessed controversy about methods of curriculum revision and change. Shoul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be added to the traditional library science curriculum or should the new approaches be integrated within the subject matter of each individual course? The article is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education for librarianship is at a turning point. To provide this information, 25 curricula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ere analysed to assist in the study. Also 32 information professionals were asked to assist in the study. In the experimental part of this study, curricula based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 als were examined. The most frequently offered compulsory course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cience' exposes students to a new way of looking at library and information problems. Information retrieval, library automation, computer programming, data processing, indexing and abstraction, communication, system analysis has offered. These indicate a curriculum slowly shift from traditional librarianship to an emphasis on computerization and automation. Also from a questionnaire listing 58 events might influ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