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cuma longa L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6초

울금(Curcuma longa L.)의 생리활성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Bioactivity Compounds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on)

  • 오다영;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00-608
    • /
    • 2019
  • 울금(Curcuma longa L.)의 생리활성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 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카로티노이드(total carotenoid) 함량은 $1.581{\pm}0.005mg$ ${\beta}$-carotene equivalents (BCE)/g dry weight으로 관찰되었다. 70% 메탄올, chloroform:methanol (CM, 2:1, v/v),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 3가지 용매를 사용한 추출 수율은 70% 메탄올(16.54%), CM (5.64%), EA (4.14%) 순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EA, CM 및 70% 메탄올에서 각각 106.287, 90.614 및 18.527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g의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추출 용매 별 항산화능은 0.2, 0.4, 0.6, 0.8 mg/mL의 농도로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구로 사용된 BHA (butylated hydroxyanisole) 및 trolox 보다는 낮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Nitric oxide (NO) 라디칼 소거능은 70% 메탄올에서 28.65~48.43%, CM 18.86~55.10%, EA에서 15.68~56.25%로 관찰되었다. Nitrite ($NO_2$) 소거능은 70% 메탄올, CM 및 EA 순으로 나타나 EA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강한 $NO_2$ 소거능을 나타내었다(p<0.05). ${\beta}$-carotene 탈색 저해능은 70% 메탄올, CM 및 EA에서 각각 1.64~23.79%, 6.99~41.16% 및 10.20~48.52%로 관찰되었다. 한편, 지질과산화 저해능은 70% 메탄올, CM 및 EA 추출물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울금(Curcuma longa L.) 추출물의 산화억제 및 질소산화물 소거활성 (Evaluation of Oxidation Inhibition and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from Curcuma longa L. Extracts)

  • 오다영;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22
    • /
    • 2019
  • 울금(Curcuma longa L.)의 산화억제 및 질소산화물 소거활성 등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 함량은 $69.000{\pm}2.737mg$ catechin equivalents (CE)/g dry weight으로 확인되었으며, 증류수(distilled water, DW), 70% 에탄올 및 노르말 부탄올(n-butanol)의 3가지 용매를 사용한 추출 수율은 DW (17.11%), 70% 에탄올(15.26%), 노르말 부탄올(4.12%) 순으로 관찰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함량은 DW, 70% 에탄올 및 노르말 부탄올에서 각각 0.032, 0.512 및 2.221 mg quercetin equivalents (QE)/g의 함량으로 나타났고, 노르말 부탄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관찰되었다(p<0.05). Nitric oxide (NO) 라디칼 소거 활성은 농도 별(0.2~0.8 mg/mL) DW에서 15.64~26.20%, 70% 에탄올 10.52~20.76%, 노르말 부탄올에서 13.39~69.92%로 확인되었다. Nitrite ($NO_2$) 소거활성은 DW 및 70% 에탄올과 비교하였을 때 노르말 부탄올에서 강한 $NO_2$ 소거활성을 보였다. ${\beta}$-carotene 탈색 저해활성은 DW에서 8.81~25.93%, 70% 에탄올 1.20~20.20%, 노르말 부탄올 12.08~43.93%로 나타났다. 지질과산화 저해활성은 DW, 70% 에탄올 및 노르말 부탄올에서 각각 5.60~27.54%, 37.78~50.79% 및 41.79~46.39%로 동정되었다. 이에, 천연 항산화제 등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강황(薑黃)과 울김(鬱金)의 역대문헌(歷代文獻)에 대(對)한 비교(比較) 연구(硏究) (A comparative study of Curcuma longa L. and Curcuma aromatica S. in medical texts)

  • 김용률;이현정;정현종;금경수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3-255
    • /
    • 2011
  • This study covers the historical aspects of the turmeric and curcuma only in detail on the medicinal uses, supported by references to the medical text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1. Turmeric and curcuma are rhizomatous herbaceous perennial plants of the ginger family, but both produced on the same herb. The rhizome is considered turmeric while the tuber is considered curcuma. 2. Turmeric is the round, oval, or ovate, and scutiform rhizome. 3. Curcuma is yellowish externally, internally more or less orange-yellow passing into reddish-brown. The tuber has a round and cuspidate appearance. The smell is aromatic, somewhat analogous to ginger. 4. Turmeric is somewhat analogous to curcuma in shape, but turmeric is pungent and bitter in taste, warm and intoxious in property, and yellow in color, acting on the spleen and liver channels and governing the gi of the blood while curcuma is pungent and bitter in taste, cold and intoxious in property, red in color, acting on the heart and pericardium channels and governing the blood. 5. Turmeric is referred to zedoary, sliced turmeric, old jaundice, precious aromatic, and ovate rhizoma, and curcuma is referred to radix curcuma, curcuma aromatica, and cicada-belly curcuma

  • PDF

울금(Curcuma longa L.)의 용매 별 추출물이 생리활성 및 산화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Oxidation Inhibitory Action of Turmeric (Curcuma longa L.) by Various Solvents)

  • 오다영;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22-632
    • /
    • 2018
  • 울금(Curcuma longa L.)의 사포닌 함량과, 증류수(distilled water, DW), 70% 에탄올 및 노르말 부탄올의 3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산화억제 효과를 통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확인한 결과, 총 사포닌 함량은 $7.506{\pm}0.349mg\;SE/g$ dry weight으로 확인되었다. 추출 수율은 DW (17.11%), 70% 에탄올(15.26%), 노르말 부탄올(4.12%)로 DW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노르말 부탄올 추출물에서 낮은 수율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 페놀 함량은 DW, 70% 에탄올, 노르말 부탄올 순으로 각각 8.57, 41.01, 119.11 mg GAE/g의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노르말 부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관찰되었다(p<0.05).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DW, 70% 에탄올, 노르말 부탄올 순으로 확인되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또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ferrous ion 킬레이트 능은 노르말 부탄올(15.87~21.17%), 70% 에탄올(26.10~50.76%), DW(44.47~84.24%) 순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울금은 산화억제 및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규명되었으며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강황(薑黃)약침이 CFA로 유발된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rcuma longa $L_{INNE}$ Pharmacopuncture at $ST_{36}$ on Adjuvant Induced Arthritis in Rats)

  • 이욱재;이동근;이주희;이정훈;이상현;박근희;신정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95-105
    • /
    • 2013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cuma longa $L_{INNE}$ pharmacopuncture at $ST_{36}$ on Complete Freund's Adjuvant(CFA)-induced arthritis in rats. Materials and methods : Arthritis was induced by injecting CFA subcutaneously into the left knee joint and paw, and Curcuma longa $L_{INNE}$ pharmacopuncture(CLL-A. $0.0343{\mu}g/kg$; CLL-B. $0.171{\mu}g/kg$; CLL-C. $0.343{\mu}g/kg$) was injected at $ST_{36}$ each other day for 5 times beginning on day 10 after the CFA injection. Paw edema, withdrawal response, hematological, serological and histological observation were assessed. Results : In paw edema volume all 3 groups(CLL-A, CLL-B, CLL-C)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FA control group. In withdrawal response to reaction time and withdrawal response to force all 3 groups(CLL-A, CLL-B, CLL-C)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FA control group. In serum AST, group CLL-C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FA control group. In histological observations, in all 3 groups, more normal chondrocytes were observed compared to the CFA control group and safranin O stain showed high positive reaction in the cartilage tissue close to the bone tissue.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Curcuma longa $L_{INNE}$ Pharmacopuncture at $ST_{36}$ has a suppressing inflammation effect on Freund's adjuvant arthritis in rats.

울금(Curcuma longa L.) 첨가 식이가 이상지질혈증 흰쥐의 지질성분 및 단백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on Lipid Component and Protein Concentration in Dyslipidemic Rats)

  • 오다영;강동수;이영근;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7-58
    • /
    • 2019
  • 울금(Curcuma longa L.)이 이상지질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성분과 단백질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 식이를 섭취시킨 ND군, 정상 실험군에 5% 울금 급여군(NT군), 이상지질혈증 유발 실험군(DD군)과 DD군에 5% 울금을 섭취시킨 실험군(DT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행하였다. 혈청 지질성분(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혈당 및 유리지방산(non esterified fatty acid, NEFA)의 농도와 동맥경화지수(atherosclerotic index, AI), 심혈관 위험지수(cardiac risk factor, CRF)는 이상지질혈증군에서 여타 실험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05), 5% 울금 급여군에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DD군에 비해 DT군에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도 비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혈청 단백질의 농도에 있어서, DT군은 DD군에 비하여 흰쥐의 혈청 알부민(albumin) 농도와 알부민/글로불린 비(albumin/globulin ratio, A/G 비)의 증가 및 글로불린(globulin) 농도는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나트륨(Na) 및 염소(Cl)는 DT군에서 DD군 보다 농도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5% 울금은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 개선과 단백질 및 전해질 농도 조절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생강, 울금, 강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ChE 억제활성 및 GABA 함량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Zingiber officinale Rosc., Curcuma longa L., and Curcuma aromatica Salisb. on Acetylcholinesterase and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GABA Contents)

  • 정연섭;박성진;박정현;지광환;이인선;양선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395-1401
    • /
    • 2012
  • 생강과 식물의 인지기능 관련 활성을 검토하고 종류와 산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많이 사용되고 고품질로 알려져 있는 국산 생강과 울금, 미얀마산 울금과 인도산 강황의 항산화 효과, GABA 함량, 활성성분 분석, 그리고 AChE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미얀마산 울금 에탄올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98 ${\mu}g/mg$), curcumin(97.1 ${\mu}g/mg$), GABA 함량(1.31 ${\mu}g/mg$)이 가장 높았으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AChE 저해능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인도산 강황 추출물도 미얀마산 울금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와 AChE 저해 효과가 나타났으나, curcumin (12.2 ${\mu}g/mg$)과 GABA(0.04 ${\mu}g/mg$) 함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국산 생강과 울금 추출물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은 비슷하였으나(39.7~42.5 ${\mu}g/mg$) 6-gingerol, 6-shogaol 등의 진저롤류를 함유하고 있는 생강 추출물에서 울금보다 높은 라디칼 소거능, 특히 강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AChE 저해능은 두 추출물 모두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2가지 추출물의 GABA 함량(약 1.11 ${\mu}g/mg$)은 미얀마산 울금과 비슷한 정도로 높게 검출되어 라디칼 소거능과 AChE 억제능은 GABA 함량과는 상관성이 없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한 4가지 생강과 식물 추출물의 AChE 억제능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curcumin 함량, 라디칼 소거능 및 GABA 함량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미얀마산 울금은 나머지 추출물과 비교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과 curcumin 및 GABA 함량, 그리고 비교적 높은 AChE 저해활성을 갖는 강력한 인지능 개선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Antibacterial Activity of Curcuma longa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You Yong Ouk;Yu Hyeon Hee;Jeon Byung Hun;Jeong Seung Il;Cha Jung Dan;Kim Shin Moo;Kim Kang Ju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74-579
    • /
    • 2003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has been emerging worldwid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hospital and community pathogens. Therefore, new agents are needed to treat the MRSA.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yl acetate, m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Curcuma longa L. (C. longa) aganist clinical isolates of MRSA.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C. long a demonstrated a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than the methanol extract or water extract. Since the ethyl acetate extract was more active than other extracts, we examined whether ethyl acetate extract may restor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β-lactams and alter the adhesion and invasion of MRSA to human mucosal fibroblasts (HMFs). In the checkerboard test, ethyl acetate extract of C. longa markedly lowered the MICs of ampicillin and oxacillin against MRSA. In the bacterial adhesion and invasion assay, MRSA intracellular invasion were notably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0.125 - 2 mg/ml of C. longa extra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yl acetate extract of C. longa may have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potential to restore the effectiveness of β-lactams against MRSA, and inhibit the MRSA adhesion and invasion to HMFs.

갈근강황추출물의 갱년기 증상 개선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Efficacy and Safety of Extract Obtained from Pueraria thunbergiana Bentham and Curcuma longa L. on the Improvement of the Menopausal Symptoms)

  • 안하영;허다희;김용재;차민석;이동녕;김형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5-92
    • /
    • 2020
  • Objectives: This clinical trial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enopausal symptoms and the safety of extract obtained from Pueraria thunbergiana Bentham and Curcuma longa L. in menopausal women Methods: This study was randomized, double 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110 women with menopausal symptoms were assigned to treatment group (n=55) and control group (n=5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valuated through changes in Kupperman Index score,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MENQOL) score, degree of hot flashes and sweating, Body Mass Index(BMI), laboratory test results including female hormones. Results: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to before baselin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upperman Index total score, score of each item in the Kupperman Index, MENQOL total score, hot flush and sweat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hot flush score, and hot flush duration at one time. However,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baselin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emale hormone levels in both group, and there were no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trial product. Conclusions: This clinical trial showed that extract obtained from Pueraria thunbergiana Bentham and Curcuma longa L. was helpful in improving menopausal symptoms in menopausal women without significant sid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