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Technology

검색결과 9,283건 처리시간 0.042초

고랭지 지역의 셀레늄 분포 조사 및 양채류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 처리가 생육과 셀레늄 함량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Selenium Distribution in Highland Province of Gangwon and Effect of Sodium Selenate Treatment on the Selenium Content and Growth of Some Western Vegetables Grown by Ferigation)

  • 이성진;강호민;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8-42
    • /
    • 2008
  • 강원도 고랭지 지역의 재배토양과 주요 양채류의 셀레늄 함량을 조사하고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첨가가 작물생육과 셀레늄함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랭지 지역의 토양의 셀레늄 함량은 $0.024{\sim}0.038mg{\cdot}kg^{-1}$의 분포를 보여 전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각 지역에서 재배된 브로콜리의 셀레늄 함량은 적게는 10.5mg에서 많게는 $17.9\;mg{\cdot}kg^{-1}DW$로 나타났으며, 토양내 셀레늄 함량이 높을수록 재배 작물체내의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셀러리의 셀리늄 함량은 $6.02\;mg{\cdot}kg^{-11}$이었고, 비트, 결구상추 및 파슬리는 1mg 전후로 매우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 $2mg{\cdot}L^{-1}$처리구는 무처리구(대조구)에 비해 생육및 작물체내 셀레늄함량을 증진시켰다. $2mg{\cdot}L^{-1}$농도 60일간 관비재배한 결과 양채류의 Se 함량은 브로콜리 $76.2mg{\cdot}L^{-1}$, 파슬리 $69.1mg{\cdot}L^{-1}$, 셀러리 $63.2mg{\cdot}L^{-1}$, 비트 $54.2mg{\cdot}L^{-1}$, 결구상추 $8.3mg{\cdot}L^{-1}$순이었으며 브로콜리는 대조구보다 4.2배, 셀러리는 10.5배, 파슬리는 62.5배가 증가하였다.

관상용 사계성 딸기 '관하' 육성 (Characteristics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Gwanha' Cultivar for Ornamental Horticulture)

  • 이종남;김혜진;김기덕;유동림;서종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784-787
    • /
    • 2012
  • '관하(Gwanha)'는 2007년 '수캄보디아베리(Sucambodiaberry)'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셀바(Selva)' 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고온장일조건에서 분홍꽃이 피고 화방이 계속 출현되는 우수한 사계성 개체를 선발한 것이다. 고랭지의 여름재배 작형에서 2009-2011년 생산력 검정, 특성검정을 거쳐 '새봉 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고, '관하'로 명명하였다. '관하'의 초형은 개장형이며, 엽형은 타원형이며, 초세는 중 정도이다. 과실모양은 쐐기형으로 길지 않으며, 과색은 홍색으로 관상용 딸기품종 중 유일하게 식용이 가능하다. '관하'의 화색은 분홍색으로 화방이 많이 발생한다. '관하'의 평균 과중은 7.8g이고, 상품수량은 낮은 상품률 때문에 비교적 낮다. 병해저항성은 시듦병에 저항성이다. '관하'는 고온장일 조건에서도 화방이 연속으로 출뢰하여 관상용으로 적당한 사계성딸기 품종이다.

파프리카 양액재배에서 발생하는 잿빛곰팡이병 방제에 대한 칼슘제제의 효과 (The Suppressive Effects of Calcium Compounds against Botrytis cinerea in Paprika)

  • 윤철수;용영록;김병섭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1072-1077
    • /
    • 2010
  • 본 실험은 7가지의 칼슘제제; calcium sulfate dihydrate, calcium chloride, calcium nitrate, calcium oxide, calcium hydroxid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ide가 포함된 PDA배지에서 잿빛곰팡이 균의 방제효과를 알고자 실시되었다. 선발된 칼슘제제의 pH는 8.2-10으로 대조구인 pH 6.6보다는 높게 측정되었다. 7가지 칼슘제제가 포함된 PDA배지에서의 잿빛곰팡이병 방제 colony size(mm) 결과는 calcium carbonate, calcium oxide, calcium hydride, calcium hydroxide가 다른 칼슘제제들 보다 잿빛곰팡이병 억제에 효과가 좋았다. 선택된 4개의 칼슘제제를 식물체에 처리 한 후 잿빛곰팡이병의 포자를 살포한 실험과 희석된 4개의 칼슘제제)를 표준 양액재배에 첨부하여 한 달간 양액을 공급한 후 잿빛곰팡이병의 포자를 접종한 실험결과는 칼슘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보다는 칼슘제제를 처리한 실험구에서 잿빛곰팡이병의 발생률이 대체적으로 낮았다. 칼슘제제를 처리한 파프리카 식물체에서 잿빛곰팡이병 억제에 대하여서는 칼슘제제 처리에 따른 어느 정도의 염기스트레스의 영향 등으로 볼 수가 있겠다.

벼 수경육묘에서 양액의 EC 초기 설정에 따른 묘 생육과 무기성분의 이용 (Effects of Initial EC Values on Seedling Growth and Utilization of Minerals in Hydroponic Rice Seedling Raising)

  • 김영광;홍광표;정완규;손길만;송근우;강진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0-204
    • /
    • 2003
  • 벼 생산비중 육묘에 투입되는 비용을 경감시키고 이앙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기계이앙용 상자육묘시 상토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물과 양액만으로 묘를 생산하는 수경육묘법을 개발하고자 양액의 환경중 적정 EC설정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 설정 EC 농도는 육묘시기에 관계없이 3.0 dS/m 까지는 초장과 건물중이 증가되었으나 EC 3.0 dS/m 이상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2. 육묘후 폐양액의 EC는 초기 설정 3.0 dS/m은 1.1 dS/m로 낮아졌던 만면, 4.0과 5.0 dS/m에서는 1.5-2.4 dS/m로 높게 나타났다. 3. 경엽의 무기성분 함량은 양액의 EC가 높을수록 N, P 및 K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그 중 K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고. Ca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4. 수경묘에 축적된 무기성분량 중 N과 P는 양액의 EC 2.0 또는 3.0 dS/m를 기점으로 증가도가 둔화되었다. 5. 초기 EC 설정농도가 높을수록 수경묘에 축적된 N에 대한 다른 무기성분 비율 중 K/N 비율은 EC가 높을수록 증가한 반면, Ca/N 비율은 만대로 감소하였다. 6. 공급된 양액의 무기성분 중 N, P 및 K의 이용효율은 EC 2.0과 3.0 dS/m에서 높았으나, Ca와 Mg의 이용효율은 EC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두 개의 다른 마우스 배아줄기세포의 차별적인 조혈세포 분화능 (Different Potential of Hematopoietic Differentiation in Two Distinct Mouse Embryonic Stem Cells)

  • 김진숙;강호범;송지연;오구택;남기환;이영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2호
    • /
    • pp.105-114
    • /
    • 2005
  • 배아 줄기세포는 세포 치료 목적을 위한 재료로써 매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잠재력의 실현을 위해서 세포의 운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들을 확인하고 특정 세포의 대량 생산을 위한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조혈과정은 폭넓게 연구되어 왔으며,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조혈세포의 분화는 lineage commitment에 관한 연구에 좋은 모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마우스 배아 줄기세포주 TC-1과 B6-1를 이용하여 그 특성과 조혈세포 분화능을 비교하여 보았다. 두 세포주는 작은 차이는 있으나 줄기세포로서의 특성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methylcellulose 배양 system을 사용하여 embryonic body 형성능을 확인한 결과 TC-1이 B6-1에 비해 월등함을 확인하였다. 조혈세포 분화의 추적을 위해 blast colony의 형성, progenitor assay, RT-PCR을 통한 조혈세포 분화 관련 marker의 발현 분석을 수행한 결과, TC-1은 정상적으로 조혈세포를 생성해 내지만, B6-1은 제대로 분화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in vitro에서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조혈세포로 분화를 유도할 때, 보다 적합한 세포주의 탐색이 요구됨을 제시하며 이는 향후 인간 배아 줄기세포주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고 사료된다.

  • PDF

Escherichia속 세균의 Penicillin Acylase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enicillin Acylase Production of Genus Escherichia)

  • 강효원;이주경;배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39
    • /
    • 1980
  • 6-APA의 생산에 사용할 Penicillin acylase를 생산하는 야생균주를 분리하여 생리화학적특성을 조사하여 Escherichia속을 동정하였다. Penicillin acylase 생산성이 가장 높은 균주를 선별하여 배양조건을 조사하고 균체를 생산하여 효소를 추출하여 효소의 반응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한 121주의 생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47주가 Escherichia 속으로 동정되고 이들중 12주가 penicillin acylase 활성을 나타냈다. 2. 12주중 가장 강력한 P. acylase 활성을 나타낸 균주가 Escherichia No.11 이였다. 3. 이 균주의 효소생산조건은 탄소원은 0.3%-phenylacetic acid, 질소원은 1%-peptone과 1%-yeast extract, amino 산으로는 0.3%, L-glutamic acid가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배지의 pH는 7.6~8.0, 배양온도는 34~38$^{\circ}C$, 배양시간은 18시간이 최적 생산조건 이였다. 4. 효소는 균체를 초음파에 의해 추출하여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0^{\circ}C$에서 보존하여 효소원으로 하였다. 5. 추출효소의 반응특성은 최적 반응온도는 38$^{\circ}C$, PH는 8.0이였고, 1% penicillin G를 기질로 37$^{\circ}C$에서 반응시켰을 때 4시간의 반응에서 이론식의 56%가 6-APA로 변화되었다.

  • PDF

중합효소연쇄 반응에 의한 벼 흰잎마름병균의 특이적 검출 (PCR-Based Sensitiv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 Lee, Byoung-Moo;Park, Young-Jin;Park, Dong-Suk;Kim, Jeong-Gu;Kang, Hee-Wan;Noh, Tae-Hwan;Lee, Gil-Bok;Ahn, Joung-Ku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6-264
    • /
    • 2004
  • 본 연구는 벼의 세균병 중 치명적인 흰잎마름병을 유발하는 Xanthomonas oryzae pv. oryzae를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X. o. pv. oryzae str. KACC10331의 hpaA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흰잎마름병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사용하였다. 개발된 특이 프라이머는 X. o. pv. oryzae str. KACC10331과 X. campestris pv. vesicatoria, X. campestris pv. campestris, X. axonopodis pv. citri 그리고 X. axonopodis pv. glycines의 phaA유전자 염기서열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그 중 X. o. pv. oryzae만이 가지는 특이적인 부분을 바탕으로 각각 20-mer인 XOF와 XOR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한 결과 반응 후 생성된 단편의 크기는 534-bp였다. 반응 후 생성된 단편은 Southern hybridization을 통하여 Xanthomonas 균주들의 hpaA유전자 존재 여부 및 그 상동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또한 제작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흰잎마름병에 감염된 벼 잎에서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였고 X. o. pv. oryzae의 순수 균주 배양액을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이용하여 검출한계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프라이머를 사용한 중합효소연쇄 반응 방법은 X. o. pv. oryzae의 검출 뿐만 아니라 흰잎마름병의 발생 예찰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 되었다.

배양법을 이용한 새우젓갈 숙성과정 중 박테리아상 분석 (Cultivable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of Saeu-jeotgal, a Korean High-Salt-fermented Seafood, during Ripening)

  • 정도원;정광식;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3-302
    • /
    • 2016
  • 6종류의 배지를 이용한 135일 동안 8번의 박테리아상 분석을 통하여 새우젓갈 숙성 관련 우점종을 결정하였다. Marine agar를 배양에 사용하였을 경우, 가장 많은 수의 박테리아가 검출되었고, 숙성 65일차에 그 수가 2.51 × 107 CFU/g에 달하였다. 순수분 리된 총 467균주는 42속 87종으로 동정되었고, 16균주는 기존의 알려진 박테리아와 상동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1일차 분석에서 39종이 검출되었던 박테리아는 135일차에 13종으로 감소하여 우점화가 진행됨을 학인하였다. 속 수준에서의 우점은 Staphylococcus, Salimicrobium, Kocuria, Psychrobacter 순으로 나타났고, 1일차 분리균주의 2% 수준을 차지하던 Staphylococcus, Salimicrobium 속 균주는 135일차에 각각 39%와 36%에 달하였다. 우점종으로 확인된 Staphylococcus equorum, Salimicrobium salexigens, Kocuria palustris는 각각 전체 분리균주의 23.6%, 16.1%, 10.9%을 차지하였다. St. equorum와 Sm. salexigens는 21% (w/v) NaCl 농도에서의 생육이 확인되어 새우젓갈 숙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서천 봉선리유적 출토 철제대도의 금속학적 조사 및 기능성 고찰 (Metallurgical Investigation and Functional Consideration of the Iron Swords from Bongseon-ri Site in Seocheon)

  • 조현경;정영상;조남철;이훈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22
    • /
    • 2014
  • 서천 봉선리유적은 백제의 중앙과 지방의 묘제가 혼재하고 있는 유적으로 백제 중앙에서 재지세력에세 사여한 것으로 추정되는 환두도가 다량 출토되었다. 이것은 재지세력이 백제 중앙의 관리 하에 놓이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장유물로 추정된다. 이 중 4점의 환두도와 1점의 목병도를 대상으로 금속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무기로서의 실용적 기능과 부장용 의장용으로써의 비실용적 기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목병도 1점은 담금질과 고체침탄의 제강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무기로서의 실용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반면 4점의 환두도는 인부에는 강도가 작은 미세조직이 나타나고 배부에서 충격을 흡수할 만큼의 미세조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목병도에 비해 무기로서의 기능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즉, 서천 봉선리에서 출토된 목병도와 환두도는 실용기와 비실용기로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미세조직 내에 존재하는 비금속개재물을 분석한 결과 우스타이트와 유리상이 함께 발견되므로 제련 공정에는 저온환원법이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Deposition of Mucin Coat on Rabbit Embryos Cultured In Vitro Following Oviductal Transfer

  • Joung S. Y;Yang J. H;Im K S;Lee S. H;Park C. S;Jin D. I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41-145
    • /
    • 2004
  • Mucin coat is deposited on the embryos during passage through the oviduct in rabbit. When in vitro cultured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to the recipients, the lack of mucin coat might account in part for failure of pregnancy after transfer. The present study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deposition of mucin coat were induced when in vitro cultured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s. At 19 ~20 hours post-coitus one-cell embryos were collected by flushing oviducts. These embryos cultured for 72 hours were reached to blastocyst stage. And these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to the oviduct of asynchronized (one day later than the donors) and synchronized recipient. To confirm deposition of the mucin coat, blastocysts transferred to the oviduct were recovered at 24 and 48 hours after the transfer. Fifty eight percent of blastocysts recovered from uterus of asynchronous recipient at 24 hours after transfer and 92.9% of blastocysts recovered from uterus of synchronous recipient were 0~10 ㎛ of mucin coat thickness. And 11.8% of blastocysts of asynchronized recipients and 7.1% of blastocysts from asynchronized recipients were in 11~20 ㎛ of mucin coat thickness. When blastocysts were recovered from uterus at 48 hours after transfer, 87.0% of blastocysts from asynchronized recipients and 5.9% of blastocyst from synchronized recipients were in 0~10 ㎛ of mucin coat thickness. And 76.5% of blastocysts of synchronized recipients and 4.4% of blastocysts from asynchronized recipients were in 11~20 ㎛ of mucin coat thickness. From these results it is speculated that the low implantation rate of in vitro cultured rabbit blastocysts transferred to oviduct of recipient was caused by high degeneration of the embryo after transfer and inappropriate deposition of mucin co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