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ex tritaeniorhynchu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誘蚊燈에 捕獲된 모기類의 季節的 發生消長: 大邱市隣近 한 豚舍를 對象으로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with Light Trap - At a Pig Shed in the Vicinity of Daegu City, Korea-)

  • 孫錫洛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25
    • /
    • 1984
  • 1. 14個月間 養豚과 養鷄를 主業으로 하는 한 農家의 豚舍에 誘蚊燈을 設置하여 誘引捕獲된 모기類의 總個體數는 1981年에 12,942, 1982年에는 118,061로서 1982年度 것이 新年度보다 約 9.1培 많았으며 性比는 1981年度에 암컷이 77%, 수컷은 23%였고, 1982年에는 암컷이 96%, 수컷은 4%였다. 2. 誘蚊燈으로 捕獲된 모기類는 Culex (Culex) pipiens pallens, C. (C.) tritaeniorhynchus summoro년, C. (C.) vagans, C. (C.) orientalis, C. (C.) bitaeniorhynchus, Aedes (Aedimorphus) vexans nipponii, Anopheles (Anopheles) sinensis 7種이었다. 3. 7種 中 季節消長이 뚜렷한 種으로는 Culex (Culex) pipiens pallens, C. (C.) tritaeniorhynchus summoro년, Anopheles (Anopheles) sinensis 3種으로서 捕獲成績順으로 配列하면 1981年에는 Culex (Culex) pipiens pallens가 全모기類의 44.9% (性比 : 0.85), Anopeles (Anopheles) sinensis 42.9% (0.05),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년 12.1% (0.01)였으며 1982年度에는 反對로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년 70.4% (0.00), Anopheles (Anopheles) sinensis 25.2% (0.05), Culex (Culex) pipiens pallens 4.4% (2.19)로 나타났다. 4. 全모기類의 月別 捕獲個體數에 對한 百分率은 다음과 같다. 5月 : 0.1% (1981年), 0.0% (1982年); 6月 : 3.5%, 1.3%; 7月 : 50.0%, 33.9%; 8月 : 37.1%, 52.1%; 9月 : 8.8%, 11.9%; 10月 : 0.5%, 0.8%; 11月 : 0.1%. 5. 모기類의 出現은 1981年과 1982年 모두 5月初로서 共通性을 지니고 있으나 增加勢를 보이는 것은 다르게 나타났다. 즉, 1981年은 6月 첫째 週이고 1982年은 前年度보다 3週 앞당겨진 5月 둘째 週였다. 6. 發生最大 peak는 1981年이 7月 다섯째 週이고, 1982年은 2週가 늦은 8月 둘째 週였다. 7. Culex (Culex) pipiens pallens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度에 7月 다섯째 週, 1982年度는 2週 앞당겨진 7月 셋째 週였다. 8.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년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 1982年 모두 8月 둘째 週였다. 9. Anopheles (Anopheles) sinensis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에 7月 다섯째 週, 1982年은 2週 앞당겨진 7月 셋째 週였다. 10. 重要 3種의 最大 peak를 比城하면 Culex (Culex) pipiens pallens와 Anopheles (Anopheles) sinensis는 1981年과 1982年 모두 最大 peak時期가 同一하였으며,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년는 2年間 모두 8月둘째 週에 나타났다.

  • PDF

韓國産 Culex trilaeniorhynchus (Diptera: Culicidae)의 分散에 관한 調査 (Dispersal Experiment on Culex tritaeniorhynchus in Korea)

  • 이한일;홍한기;이종수;화전의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9-66
    • /
    • 1978
  • 1974년 8월 포항시에서 표식-방사-재채집 방법에 의한 작은 빨간집 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의 비상 분포 및 분포 조사를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23,115개체의 Culex tritaneiorhynchus 암모기에 표식 방사하여 그중 120마리가 재채집되어 0.519%의 재채집율을 나타냈고 조사기간중 채집된 총 57,514마리의 암놈중 0.00208의 표식 모기 양성비를 나타냈다. 2. 방사지점으로 부터의 분산율은 0~2km에서 77.5%, 2~4km에서 11.7%, 4~6km에서 5% 그리고 6~8km에서 5.8%였다. 3. 1일간 최고 비상 거리는 7.5km였다. 1일 평균 분산거리는 1.55km였고, 방사후의 경과일수와 분산 거리와는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 PDF

한국에 있어서 일본뇌염의 역학적, 매개동물학적 조사 (Epidemio-entomological survey of Japanese encephalitis in Korea)

  • 백두현;주종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67-86
    • /
    • 1991
  • 경북지역에서의 뇌염매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의 계절적 출현 소장과 군집변동이 일본뇌염 발생과 유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서 1984년부터 1990년까지 경산군 1 개소에 유문등으로 1주일에 한번씩 성충을, 1990년 4월부터 9월까지 경북농촌진흥원 부속농장에서 모기유충을 채집하였다. 1984년부터 1990연까지 유문등에 처음으로 작은빨간집모기가 채집되는 날짜는 연도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6월 4일부터 28일 사이에 채집되었고, 가장 높은 군집밀도를 보인 것은 8월 중순에서 9월초였고, 그 후 점점 감소하여 10월 말에는 채집되지 않았다. 작은빨간집모기의 채집되는 수는 1985년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1989년에는 가장 적은 수가 채집되었다. 첫 3년 동안은 최고 군집밀도가 8월에 관찰되었고, 그 이후해에서 모기수의 감소와 함께 늦어지는 것을 알았다. 야간활동성은 저녁 8∼9시 사이에 가장 왕성하며, 그 후 점차 감소하다가 새벽 4∼5시 다시 약간 증가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 유충은 7월 중순에 논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고, 그 밀도는 8월 중순에 가장 높았으며, 최고 군집밀도는 1m2당 평균수는 14,900마리였다. 9월 하구 이후부터는 그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 유충은 5종의 유기린제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곤충 사육실내에서 작은빨간집모기, 경산 종의 생명표 특성에서 평균수명은 암컷은 59.8일이었고, 수컷은 28.3일이 었으며, Net reproductive rate는 7.8, Generation time은 15.5일였다.

  • PDF

Cry11Aa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Synechocystis PCC6803의 작은빨간집모기와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에 대한 살충효과 (Mosquito Larvicidal Activity of Synechocystis PCC6803 Transformed with the cry11Aa gene to Culex tritaeniorhynchus and Anopheles sinensis)

  • 이대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5-41
    • /
    • 2004
  • Bacillus thuringiensis는 포자형성기 동안에 위생해충이나 농업해충에 독성을 보이는 내독소 단백질을 생성한다. 내독소 단백질의 모기 유충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해, 광합성에 관여하는 psbA promoter로 모기 살충성 cry11Aa유전자를 발현하는 pSyn4D벡터를 제작하고, 모기 유충이 먹이로 이용하는 Synechocystis PCC6803에 형질 전환시켰다. 형질 전환체들은 kanamycin이 포함된 배지에서 선발되었으며, 정상적인 생물검정을 통해 형질 전환체 Tr2C를 선발하였다. cry11Aa 유전자는 형질전환체의 genomic DNA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체 Tr2C는 약 72-kDa크기의 Cry11Aa 단백질을 발현하였으며,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 3령 유충과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3령 유충에 75%가 넘는 살충력을 보였다. 모기 유충에 대한 형질전환체의 반수치사시간(LT$_{50}$)은 작은빨간집모기 유충과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에 대해 각각 2.1일과 0.7일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형질전환체 Tr2C가 모기 유충방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경북지역에서의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출현 소장 (Seasonal Prevalence of the Vector Mosquitoes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Kyungpook Province, Korea)

  • 주종윤;화전의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39-150
    • /
    • 1985
  • 1984년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 경북지역에서 출현하는 모기의 종류와 그 생태를 조사함과 아울러, 유문등에 의한 매개모기의 계절적 출현 소장을 관찰하였다. 조사 기간중에 채집된 모기의 종류는 4층 14종이었으며, 기중 Culex tritaeniorhynchus Giles(작은 빨간집모기), Anopheles sinensis Wiedemann(중국얼룩날개모기), Culex pipiens pallets Coquillett(빨간집모기), 3종이 우점종으로 전 채집수의 95.5%를 차지하였다. 지역별로는 경산군에서 채집한 모기 34,571마리 중 C. tritaeniorhynchus가 44.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34.3%를 나타내는 분. pipiens pallens였으며, A. sinensis는 18.9%로 중간치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하여 뇌염환자의 다발성 지역인 안강읍에서 채집한 모기 13,075마리 중, A. sinensis가 75.8%로 가장 많았고, C. tritaenorhynchus는 23.2%, C. pipiens pallens는 0.6%였다. 조사지역에서 C. tritaeniorhynchus를 처음으로 채집할 수 있는 시기는 6월 중순이었으며, 이 기간중 기온은 $21.9^{\circ}C~25.0^{\circ}C$, 습도는 60~80%, 그 밀도(Average number of female mosquito/trap.night)는 1.2마리였다. C. tritaeniorhynchus의 최대 밀도시기는 8월 하순에서 9월 초순 사이었으며, 그 기간중 기온은 $23.0^{circ}C~27.9^{\circ}C$, 습도는 64~88%였고, 최대밀도는 1,008.4마리였다. 매개모기의 야간 흡혈 활동성을 알아보기 위해 7월 17~18일과 8월 3~4일 2회에 걸쳐 저녁 19시부터 그 다음 날 아침 6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모기를 채집하였다. C. tritaeniorhynchus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간은 21시에서 22시, 24시에서 1시 사이였으며, 아침 5시 이후에는 한마리도 채집할 수 없었다. 조사 지역에서 채집한 유충은 사육실로 옮겨 종을 동정 하였던 바, 4층 14종이었으며, 매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뇌염 매개종인 C. tritaeniorhynchus의 유충서식처는 답, 옹덩이, 작은 연못, 늪, 미나리논 및 소택지 등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뇌염 매개 모기, C. tritaeniorhynchus는 6월 중순에 처음으로 출현하며, 8월 하순과 9월 초순에 최대 밀도를 나타내였고, 10월 중순 부터는 채집할 수 없음을 알았다.

  • PDF

갑천 유역의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 평가 (Evaluation of Surface water-Groundwater Interaction for the Kap-Stream Basin)

  • 홍성훈;김정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3-507
    • /
    • 2007
  • 지하수 유동 모델에 반영되는 유역의 수리지질학적, 수문학적 특징들은 지하수 유동 특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현장 특성들이다. 상기 특징들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438개의 관정자료를 토대로 갑천 유역(유역 면적 $648.3km^2$)의 대수층 구조 특성을 분석하고, 24개의 하천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 유동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검 보정된 준분포형 유출모형(SWAT)의 22개 소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결과를 3차원 지하수 유동 모델(MODFLOW)과 연계하여 갑천 유역의 광역 지하수 유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모의된 지하수위와 86개 지하수 관측정의 지하수위 비교에서 결정계수는 0.9918, 유역 전체의 물교환량의 상대오차율이 약 0.57%로 갑천 유역의 지하수 유동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갑천 유역의 지하수는 지형 및 대수층 특성과 하천의 영향에 의하여 전반적으로 유역 남쪽에서 북쪽으로 유동하는데 산지 지역에 존재하는 하천들은 손실과 이득 하천의 형태를 반복하는 반면, 갑천 중 하류 부분과 갑천-유등천 합류 부근은 이득하천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소유역별 지하수 물교환량 분석한 결과, 상기 지역을 포함하는 소유역의 하천 공급원이 해당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보다 지하수 유동 체계에 따라 인근 소유역에서 공급되는 지하수 유입량 비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유등천 중 상류 지역의 소유역을 제외한 산지 지역의 경우는 하천 공급원이 지하수 유동 체계에 의한 유입량보다 해당 유역 내에서 공급되는 지하수 함양량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표수와 지하수의 상호작용 및 하천 유출에 지하수 유동 특성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ens 4.4% (2.19)로 나타났다. 4. 全모기類의 月別 捕獲個體數에 對한 百分率은 다음과 같다. 5月 : 0.1% (1981年), 0.0% (1982年); 6月 : 3.5%, 1.3%; 7月 : 50.0%, 33.9%; 8月 : 37.1%, 52.1%; 9月 : 8.8%, 11.9%; 10月 : 0.5%, 0.8%; 11月 : 0.1%. 5. 모기類의 出現은 1981年과 1982年 모두 5月初로서 共通性을 지니고 있으나 增加勢를 보이는 것은 다르게 나타났다. 즉, 1981年은 6月 첫째 週이고 1982年은 前年度보다 3週 앞당겨진 5月 둘째 週였다. 6. 發生最大 peak는 1981年이 7月 다섯째 週이고, 1982年은 2週가 늦은 8月 둘째 週였다. 7. Culex (Culex) pipiens pallens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度에 7月 다섯째 週, 1982年度는 2週 앞당겨진 7月 셋째 週였다. 8.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년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 1982年 모두 8月 둘째 週였다. 9. Anopheles (Anopheles) sinensis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에 7月 다섯째 週, 1982年은 2週 앞당겨진 7月 셋째 週였다. 10. 重要 3種의 最大 peak를 比城하면 Culex (Culex) pipiens pallens와 Anopheles (Anopheles) sinensis는 1981年과 1982年 모두 最大 peak時期가 同一하였으며,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년는 2年間 모두 8月둘째 週에 나타났다.osterior to manubrium and anterio

  • PDF

VLSI 설계와 CAD 기술개발 연구 전략 -다음 세대 컴퓨터 개발을 위한-

  • 이문기
    • 전자공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2-50
    • /
    • 1984
  • 국내의 다음세대 컴퓨터 개발을 위한 VLSI 설계와 CAD 분야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의 목표는 국제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VLSI 설계능력과 백만개 정도의 트랜지스터로 자성된 회로를 경제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CAD 기술과 System의 확립이다. ·새로운 회로 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 CAD 도구와 언어의 개발에 관한 첨단 CAD 기술개발연구 · VLSI 설계에 필요한 CAD 도구 이용과 개발에 필요한 표준 인터페이스, 네트워킹, 컴퓨팅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대한 연구등의 부분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용 가능한 CAD system을 평가하고 개선하며 첨단 CAD에 대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대해 · 컴퓨팅 하드웨어 · 프로그램 분위기 · 네트워킹 능력 ·자료 교환을 위한 표준인터페이스 등에 관해 조사분석도 병행한다. CAD에 관한 세부적인 연구 과제는 · 시스템 사양언어 · 설계 검증 ·시스템시뮬레이션· 설계 합성 · 설계 해석· 설계 방법론·디바이스와 공정 모델링 프로그램 등이다. 고속 계산용 VLSI에 관한 구조와 알고리즘은 행렬 계산을 위한 ·분산 배열 처리 회로 ·시스토릭 (Systolic) 배열 회로 ·셀률라(Cellular) 논리 회로 · 3차원 배열 회로 와 · 비규칙적 계산 알고리즘을 갖는 VLSI가 있다. VLSI설계훈련과 CAD 기술 축적을 위해 CAD enter를 설립하여 전국적인 CAD 네트워킹을 관계 연구소와 여러 대학에 가설하며, MPC 계획을 추진한다. VLSI설계 가능성이 입증되면 VLSI 설계능력을 더욱 향상 시키기 위해 0.5∼1.0mm기술의 silicon faundary를 설립한다. 연구 개발 조직은 대학, 산업체. 연구소가 삼위일체가 되어 수행될 수 있도록 연구 개발 위원회를 설치 운영하며 경쟁적이며 경제적으로 연구 업무를 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았다.형질에 관여하는 귀전자에 미치는 기구에 대하여 검토할 여타가 있다고 보여진다. 분해능의 특징으로 미루어 앞으로는 레이저를 이용한 계측 방법이 그 주류를 이룰 것으로 사료된다. 우선 본 해설은 기체의 온도 및 농도의 광학적 측정방법중 Raman산란광 검출법에 대하여 실제로 측정하는 입장에서 간단히 소개한다.lity)이, 높은 $GA_3$함량에 기인된다'는 주장은 본실험(本實驗)으로 부인(否認)되었다. 따라서, 응용학적(應用學的) 측면에서 고려해 볼 때, 리베스식물(植物)의 육종기간 단축을 위한 모든 화아분화(花芽分化) 촉진 조치는 P.J.-식물(植物)이 20. node이상 생육하였을 때 취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결론 지어진다.앞당겨진 7月 셋째 週였다. 8.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년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 1982年 모두 8月 둘째 週였다. 9. Anopheles (Anopheles) sinensis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에 7月 다섯째 週, 1982年은 2週 앞당겨진 7月 셋째 週였다. 10. 重要 3種의 最大 peak를 比城하면 Culex (Culex) pipiens pallens와 Anopheles (Anopheles) sinensis는 1981年과 1982年 모두 最大 peak時期가 同一하였으며,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년는 2年間 모두 8月둘째 週에 나타났다.osterior to manubrium and anterior to aortic arch) replacing the normal mediastinal fat. (2) In benign thymoma, the marging of the mass was smooth and the normal fat

  • PDF

Late season commercial mosquito trap and host seeking activity evaluation against mosquitoes in a malarious area of the Republic of Korea

  • Buekett, Douglas-A.;Lee, Won-Ja;Lee, Kwan-Woo;Kim, Heung-Chul;Lee, Hee-Il;Lee, Jong-Soo;Shin, E-Hyun;Wirtz, Robert-A.;Cho, Hae-Wol;Ckaborn, David-M.;Coleman, Russel-E.;Kim, Wan-Y;Klein, Terry-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45-54
    • /
    • 2002
  • Field trials evaluating selected commercially available mosquito traps variously baited with light, carbon dioxide, and/or octenol were conducted from 18-27 September 2000 in a malarious area near Paekyeon-ri (Tongil-Chon) and Camp Greaves in Paju County, Ky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The host-seeking activity for common mosquito species, including the primary vector of Japanese encephalitis, Culex tritaeniorhynchus Giles. was determined using hourly aspirator collections from a human and propane lantern-baited Shannon trap doting hours when temperatures exceeded $15^{\circ}C$. The total number of mosquitoes and number of each species captured during the test was compared using a block desig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total number of mosquitoes collected, such that, the Mosquito MagnetTM with octenol > Shannon trap > ABC light trap with light and dry ice > Miniature Black Light trap (manufactured by John W. Hock) $\geq$ New Jersey Trap > ABC light trap with light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mbers collected among trapes were noted for several species including: Aedes vexans (Meigen), Anopheles lesteri Baisas and Hu. An. sinensis Weidemann, An. sineroides Yamada, An. yatsushiroensis Miyazaki. Culex pipiens pallets Coquillett L., Cx. orientalis Edwards and Cx. tritaeniorhynchus. Host-seeking activity for most common species showed a similar bimodal pattern. Results from these field trap evaluations can significantly enhance current vector and disease surveillance efforts especially for the primary vector of Japanese encephalitis, Cx. tritaeniorhunchus.

Seasonal Prevalence and Abundance of Mosquitoes at the Busan Port (2001~2006)

  • Kim, Mi-Kyeong;Lee, Eun-Ju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99-20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mosquito specie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related to vector mosquitoes to manage the possible epidemic diseases. During a 4-year investigation (2001, 2002, 2004, and 2006), we collected the specimens of the mosquitoes at pier no. 1, 3 and 5 of Busan port with light traps from sunset until the next day morning from April to October each year. Through the research, we collected 5,985 mosquito specimens in total and found 7 mosquito species belonging to 3 genera. A total of 1,575, 1,473, 1,478 and 1,459 mosquito specimens were collected in 2001, 2002, 2004 and 2006, respectively. Among them, 5,568 (93.0%) specimens were Culex pipiens pallens, the West Nile virus infection vector, which showed the highest density among the specimens. The population densities of the other species were: 295(4.9%) Culex tritaeniorhynchus, 94(1.5%) Aedes togoi, 12(0.3%) Aedes albopictus, 10(0.2%) Anopheles sinensis, 4(0.1%) Aedes vexans nipponii, 2(0.1%) Culex inatomii. The monthly abundance of mosquitoes from July through September showed the highest values. Although it was a general mosquito monitoring study, this study could provide a base for securing the statistical data on spreading epidemic diseases by people infected outside Korea.

  • PDF

한국에 주둔한 미군지역내에서의 모기 성충과 유충 채집(1979~1983) (Collection of Adult and Larval Mosquitoes in U.S. Army Compounds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1979~1983)

  • 이관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102-108
    • /
    • 1984
  • 본 논문은 1979∼1983년에 걸쳐 한국내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지역에서 5월부터 10월간 유문등(New Jersey)에 의한 모기 성충 채집과 그리고 유충 채집을 실시한 것이다. 성충 채집수는 연평균치로 나타냈으며 유문등당 1일 채집수를 표시하여 미군영내에 출현하는 모기 종과 출현시기 및 그 밀도를 파악하여 모기 구제대책을 강구하는데에 기본자료로 이용하였다. 모기 구제를 위한 살충제의 살포 기준은 자충의 탐집수가 2단 계속 10마리를 초과하거나 매개근로 알려진 자충이 5마리 이상 채집될 때 그 주변에 살포작업을 실시하도록 건의하였다(미륙단규정 TM 5-632 p.7-3참고). 1. 모기 탐집을 실시한 지역은 5개도내의 12개지역으로 39개의 유문등이 설치되었으며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종은 3속 17종으로 분류되었으며, 그중 개체군의 밀도가 높아 구제대상으로 생각되는 종은 다음의 3속 4종으로 나타났다. 1) Anopheles sinensis (40.2%, 2) Culex tritaeniorhynchus (31%), 3) Aedes vegans nipponii(19%, 4) Culex pipiens pallens (10%). 2. 유준등 설치지역은 경기도내 5개지역, 강원도 2개지역, 충남 1개지역 경북 3개지역 경남1개 지역으로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중요 모기종은 공통적으로 같은 종류였으며 출현시기도 대체로 일치하였다. 특히 매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뇌염매개종인 Culex tritaeniorhynchus는 출현시기가 7∼9월간이었으며 그중 8월이 나정기로 나타났다. 3. 미군험둔지역에서 체사된 유충서식지는 16개 형태로 구분되었으며 그곳에서 채집된 유충은 4속 15종으로 분류되었다. 확인된 유충서식처는 일반적으로 우기에 존재하는 일시적인 장소가 많았다. 4. 경기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종과 높은 채집률을 보인 것은 유문등설치장소가 주로 논과 접해 있는 농촌지역내에 속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