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주둔한 미군지역내에서의 모기 성충과 유충 채집(1979~1983)

Collection of Adult and Larval Mosquitoes in U.S. Army Compounds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1979~1983

  • ;
  • R.K (Entomology Section, 5th Preventive Medicine Unit, U.S. Army, Seoul, Korea)
  • 발행 : 1984.06.01

초록

본 논문은 1979∼1983년에 걸쳐 한국내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지역에서 5월부터 10월간 유문등(New Jersey)에 의한 모기 성충 채집과 그리고 유충 채집을 실시한 것이다. 성충 채집수는 연평균치로 나타냈으며 유문등당 1일 채집수를 표시하여 미군영내에 출현하는 모기 종과 출현시기 및 그 밀도를 파악하여 모기 구제대책을 강구하는데에 기본자료로 이용하였다. 모기 구제를 위한 살충제의 살포 기준은 자충의 탐집수가 2단 계속 10마리를 초과하거나 매개근로 알려진 자충이 5마리 이상 채집될 때 그 주변에 살포작업을 실시하도록 건의하였다(미륙단규정 TM 5-632 p.7-3참고). 1. 모기 탐집을 실시한 지역은 5개도내의 12개지역으로 39개의 유문등이 설치되었으며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종은 3속 17종으로 분류되었으며, 그중 개체군의 밀도가 높아 구제대상으로 생각되는 종은 다음의 3속 4종으로 나타났다. 1) Anopheles sinensis (40.2%, 2) Culex tritaeniorhynchus (31%), 3) Aedes vegans nipponii(19%, 4) Culex pipiens pallens (10%). 2. 유준등 설치지역은 경기도내 5개지역, 강원도 2개지역, 충남 1개지역 경북 3개지역 경남1개 지역으로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중요 모기종은 공통적으로 같은 종류였으며 출현시기도 대체로 일치하였다. 특히 매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뇌염매개종인 Culex tritaeniorhynchus는 출현시기가 7∼9월간이었으며 그중 8월이 나정기로 나타났다. 3. 미군험둔지역에서 체사된 유충서식지는 16개 형태로 구분되었으며 그곳에서 채집된 유충은 4속 15종으로 분류되었다. 확인된 유충서식처는 일반적으로 우기에 존재하는 일시적인 장소가 많았다. 4. 경기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종과 높은 채집률을 보인 것은 유문등설치장소가 주로 논과 접해 있는 농촌지역내에 속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dult female mosquito and larval collection in U.S. Army Installations in Korea from 1979 to 1983. New Jersey light traps were operated for adult collection from May to October. The primary concern of this surveillance is to determine when to recommend insecticide spraying for mosquito control in the Army areas. The 5th Preventive Medicine Unit have developed an "index" level of female mosquitoes in a light trap similar to other U.S. Army Agencie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When 10 female mosquitoes are reached on two consecutive trap-night, or 5 known vector females are collected, fogging is recommended in the trap areas. 1. Mosquito collections were conducted in 12 U.S. Army areas by operating 39 New Jersey light traps. Mosquitoes collected from the areas were identified to be 17 species comprising 3 genera. Anopheles sinensis (40%), Culex tritaeniorhynchus (31%), Aedes vexans nipponii (19 %) and Culex pipiens pallens (10%) appeared to be the most common species in the areas. 2. The species, population density and monthly appearance of adult mosquitoes were found to be almost the same in the all provinces involved. And Japanese Encephalitis vector mosquitoes, Culex tritaeniorhynchus, showed their seasonal fluctuation from July to September with a peak in August each year. 3. Larval habitats confirmed in the Army areas were categorized into 16 types as shown in Table 3. The mosquito larvae collected in those habitats were identified to be 15 species representing 4 genera. Most breeding sites in the Army areas were those which are activated during the wet season. 4. More mosquitoes were collected from the Kyungki Province than from the other Provinces. The reason for more collection of mosquitoes from military installations in the Kyungki Province appears to be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surrounded by rice fields, marshes and other stagnant water area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