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demio-entomological survey of Japanese encephalitis in Korea

한국에 있어서 일본뇌염의 역학적, 매개동물학적 조사

  • 백두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주종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91.03.01

Abstract

In order to determine the seasonal prevalence and population dynamics of Culex tritaeniorhynchus in relation to the epidemics of Japanese encephalitis, and ecology of these vector mosquito in Kyungpook Province, Korea, studies were con- ducted during the Period of 7 years from 1984 to 1990. Cx. tritaeniorhynchus first collected in June between 4th and 28th, and trapped in large numbers during the period from mid-August to early September, showed a simple sharply pointed one-peaked curve. There was a gradual decrease from mid-September, with a very small number of them collected until early October in every year. The average number of Cx. tritaeniorhynchus rapidly decreased after 1985, and the number became particularly low in 1989.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which was observed in August during the initial three years, was found to be delayed in the following year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the number of mosquitoes. In the trend of nocturnal activity of Cx. tritaeniorhynchus, with oncoming darkness they become very active, gradually decreasing in activity toward mid night, but slightly increasing toward dawn. The immature stages of Cx. tritaeniorhynchus were first found in rice fields contributing to peak adult densities in mid-July. The highest average densities of Cx. trisaeniorhynchus was 14,900 per m2 on mid-August 19th. The larval Cx. tritaeniorhynchus showed high resistance levels and resistance ratios against 5 organophosphorus compounds. In the adult horisontal life table characteristics of Kyungsan colonies of Cx. tritaeniorhynchus under insectary condi- tions, life expectancy was 28.3 days for males and 59.8 days for females. The net reproductive rate was 7.8 and generation time was 25.6 days.

경북지역에서의 뇌염매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의 계절적 출현 소장과 군집변동이 일본뇌염 발생과 유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서 1984년부터 1990년까지 경산군 1 개소에 유문등으로 1주일에 한번씩 성충을, 1990년 4월부터 9월까지 경북농촌진흥원 부속농장에서 모기유충을 채집하였다. 1984년부터 1990연까지 유문등에 처음으로 작은빨간집모기가 채집되는 날짜는 연도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6월 4일부터 28일 사이에 채집되었고, 가장 높은 군집밀도를 보인 것은 8월 중순에서 9월초였고, 그 후 점점 감소하여 10월 말에는 채집되지 않았다. 작은빨간집모기의 채집되는 수는 1985년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1989년에는 가장 적은 수가 채집되었다. 첫 3년 동안은 최고 군집밀도가 8월에 관찰되었고, 그 이후해에서 모기수의 감소와 함께 늦어지는 것을 알았다. 야간활동성은 저녁 8∼9시 사이에 가장 왕성하며, 그 후 점차 감소하다가 새벽 4∼5시 다시 약간 증가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 유충은 7월 중순에 논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고, 그 밀도는 8월 중순에 가장 높았으며, 최고 군집밀도는 1m2당 평균수는 14,900마리였다. 9월 하구 이후부터는 그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작은빨간집모기 유충은 5종의 유기린제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곤충 사육실내에서 작은빨간집모기, 경산 종의 생명표 특성에서 평균수명은 암컷은 59.8일이었고, 수컷은 28.3일이 었으며, Net reproductive rate는 7.8, Generation time은 15.5일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