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Prevalence of the Vector Mosquitoes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Kyungpook Province, Korea

경북지역에서의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출현 소장

  • 주종윤 (선명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화전의인 (일본국립예방위생연구소 위생장충부)
  • Published : 1985.06.01

Abstract

In order to determine the seasonal prevalence and population density of vector mosquitoes in Kyungpook Province, a survey based on average numbers of female mosquito per trap-night, were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November in 1984. Among the 34, 571 mosquitoes collected in Kyungsan county in animal shelters and human dwellings by light traps, approximately 45.0 per cent were Culex tritaeniorhynchus, 34.0 per cent Culex pipiens pallens, and 19.0 per cent Anopheles sinensis. By comparison, distribution of mosquito species in Ankang town, in which Japanese encephalitis had been reported in the past, were quite different and A. sinensis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being constituted in 75.8 per cent, followed by C. tritaeniorhynchus(23.2 per cent), and C. pipiens pallens(O.6 per cent). In the general pattern of seasonal prevalence, C. tritaeniorhynchus first appeared in mid-June, and trapped in large numbers during the periods from mid-August to early September, showing a simple sharply pointed one-peaked curve, while C. pipiens pallens was found to be active through almost the entire season showing irregular curves with several peaks. The trend of seasonal distribution of A. sinensis was similar to that of C. tritaeniorhynchus, but the earliest dates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differed from that of C. tritaeniorhynchus. The results of hourly catches of mosquitoes by human baited traps have clearly shown the differences in the biting rhythm among the vector mosquitoes of this Province, such as the facts that C. tritaeniorhynchus and A. sinensis are rather constantly active all through a night with more or less inconspicuous peaks twice a night, while C. pipiens pallens exhibits an irregular curve, and the numbers of A. vexans nipponii, C. vagans and Armigeres subalbatus are very small and are not sufficient for estimating the biting rhythm. Four genera and fourteen species of larval mosquitoes collected from eighteen kinds of habitats which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followed by Bates (1949). The main breeding sites contributing to peak C. tritaeniorhynchus adult densities in this surveyed areas were evidently ricefields, ground pools, puddles and swamps and marshes, etc. Summarizing the results,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of C. tritaeniorhynchus was encountered in late August and early September, showing a simple sharply pointed one-peaked curve.

1984년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 경북지역에서 출현하는 모기의 종류와 그 생태를 조사함과 아울러, 유문등에 의한 매개모기의 계절적 출현 소장을 관찰하였다. 조사 기간중에 채집된 모기의 종류는 4층 14종이었으며, 기중 Culex tritaeniorhynchus Giles(작은 빨간집모기), Anopheles sinensis Wiedemann(중국얼룩날개모기), Culex pipiens pallets Coquillett(빨간집모기), 3종이 우점종으로 전 채집수의 95.5%를 차지하였다. 지역별로는 경산군에서 채집한 모기 34,571마리 중 C. tritaeniorhynchus가 44.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34.3%를 나타내는 분. pipiens pallens였으며, A. sinensis는 18.9%로 중간치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하여 뇌염환자의 다발성 지역인 안강읍에서 채집한 모기 13,075마리 중, A. sinensis가 75.8%로 가장 많았고, C. tritaenorhynchus는 23.2%, C. pipiens pallens는 0.6%였다. 조사지역에서 C. tritaeniorhynchus를 처음으로 채집할 수 있는 시기는 6월 중순이었으며, 이 기간중 기온은 $21.9^{\circ}C~25.0^{\circ}C$, 습도는 60~80%, 그 밀도(Average number of female mosquito/trap.night)는 1.2마리였다. C. tritaeniorhynchus의 최대 밀도시기는 8월 하순에서 9월 초순 사이었으며, 그 기간중 기온은 $23.0^{circ}C~27.9^{\circ}C$, 습도는 64~88%였고, 최대밀도는 1,008.4마리였다. 매개모기의 야간 흡혈 활동성을 알아보기 위해 7월 17~18일과 8월 3~4일 2회에 걸쳐 저녁 19시부터 그 다음 날 아침 6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모기를 채집하였다. C. tritaeniorhynchus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간은 21시에서 22시, 24시에서 1시 사이였으며, 아침 5시 이후에는 한마리도 채집할 수 없었다. 조사 지역에서 채집한 유충은 사육실로 옮겨 종을 동정 하였던 바, 4층 14종이었으며, 매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뇌염 매개종인 C. tritaeniorhynchus의 유충서식처는 답, 옹덩이, 작은 연못, 늪, 미나리논 및 소택지 등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뇌염 매개 모기, C. tritaeniorhynchus는 6월 중순에 처음으로 출현하며, 8월 하순과 9월 초순에 최대 밀도를 나타내였고, 10월 중순 부터는 채집할 수 없음을 알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