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 Compounds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6초

안드로이드 기반의 유증기 액화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liquefaction equip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Android)

  • 박만규;탁한호;김관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83-589
    • /
    • 2016
  •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대부분은 유해물질로 대기 오염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의 원인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VOCs는 국가마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정책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특히,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는 발암물질인 벤젠 등 인체에 유해하며 환경부에서 연료 주유 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유증기 회수장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유증기 처리 방식을 발전시켜 폭발이나 화재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증기를 냉각시켜 현장에서 바로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액화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유증기 액화장치에 센서를 부착하여 액화기 측정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버 및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니터링 앱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원격관리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단인근 주택가를 대상으로 환경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과 황계열 성분의 연속측정 (An On-line GC Analysis of Odorous VOC and S Gas in Ambient Air from a Residential Area at Ansan City, Korea)

  • 김기현;주도원;최여진;흥윤정;전의찬;최청렬;구윤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29-939
    • /
    • 2006
  •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major odorous compounds including reduced sulfur compounds (DMS, $CS_2$, and DMDS) and aromatic VOC (benzene, toluene, xylene, etc.) were measured continuously using an on-line GC analytical system. Our measurements were made from a residential area of Ansan city during about two weeks period of October, 2004.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s of reduced S and VOC were recorded as 56.9 ppt of DMS and 21.7 ppb of toluen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generally show that the pollution levels for both types of chemicals are significant relative to previous measurement results reported from comparable sites, if the results are compared simply in terms of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data. Moreover, when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fferent compounds is compared in terms of the odor strength, it indicates that the contribution of reduced S compounds may be much more important than that of VOC in the study area.

도시의 환원 황 화합물의 이산화황으로의 광화학적 변환 (Photochemical Conversions of Reduced Sulfur Compounds to SO2 in Urban Air)

  • 손장호;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47-654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the local oxidation chemistry of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in the urban air. The chemical conversion of RSC (such as DMS, $CS_2,\;H_2S,\;DMDS,\;and\;CH_3SH)\;to\;SO_2$ was modeled using a photochemical box model. For our model prediction of the RSC oxidation,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from an urban monitoring station in Seoul (37.6$^{\circ}$N, 127.0$^{\circ}$E), Korea for three separate time periods (Sep. 17~18; Oct 23; and Oct. 27~28, 2003). The results of our measurements indicated that DMS and $H_2S$ were the dominant RSC with their concentrations of 370${\pm}$140 and 110${\pm}$60 pptv, respectively. The conversion of DMDS to $SO_2$ can occur efficiently in comparison to other RSC, but it is not abundant enough to affect their cycles. The overall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the photochemical conversion of the RSC can contribute ≶ 20% of the observed $SO_2$.

천연물 지표성분들의 세포독성 및 AP-1 활성 평가를 통한 암예방 기능성 탐색 (Screening of Natural Compounds for Cancer Prevention by Cytotoxicities and AP-1 Reporter Gene Activities)

  • 최부영;조석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89-95
    • /
    • 2017
  • 암을 유발하는 PMA는 세포를 자극하여 전사인자 C-Jun/C-fos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핵 내의 AP-1의 활성을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각종 암이 발생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지표성분의 안전성을 보기위한 세포독성과 암예방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Activator protein(AP-1) 활성억제를 관찰하였다. 천연물 지표성분 38종을 대상으로 세포독성과 AP-1 활성억제를 관찰한 결과 섬수의 지표성분인 Bufogein 과 Cinobufagin에서는 세포독성을 보이며 AP-1 활성 억제와 비교 시 5배 정도 차이를 보임을 알 수가 있다. 반면에 Arctigenin, Manassantin A, B에서는 AP-1 활성 억제 농도는 $2{\mu}M$ 이하이면서 세포독성과의 비율은 15배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우방자와 삼백초의 지표성분인 Arctigenin, Manassantin A,B는 암 예방 연구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참당귀 유효 성분의 추출 및 생리활성 효능 (Extraction of Active Compounds from Angelica giga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y)

  • 박수인;허수현;이진서;신문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6-212
    • /
    • 2021
  • 본 연구는 참당귀에서 유효 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찾아 참당귀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열수, 에탄올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으로 참당귀를 추출한 후,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량 분석, 총 폴리페놀 함량 정량, 그리고 항산화, 미백, 항균에 대한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의 함량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에서 38.65%로 매우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 순으로 높았지만, 그 차이가 비교적 적었다. 항산화 효능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경향이 일치하였고, 항균 효능은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량과 경향이 일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참당귀에서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임을 확인하였다.

Hexahydroxybenzene Triscarbonate($C_9O_9$)와 유사화합물들의 ab initio 연구 (Ab Initio Studies of Hexahydroxybenzene Triscarbonate ($C_9O_9$) and Analogous Compounds ($C_9S_9,\;C_9O_6S_3,\;C_9O_3S_6$))

  • 권영희;구민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9-228
    • /
    • 1996
  • ab initio 방법을 이용하여 hexahydroxbenzene triscarbonate($C_9O_9$)와 이와 유사한 화합물($C_9O_9,C_9O_6S_3,C_9O_3S_9$)들의 평형구조(equilibrium geometry)와 에너지를 HF와 MP2 level에서 구하였다. 계산결과 이들 화합물은 모드 $C_{3v}$ bowl형 구조보다는 $D_{3h}$ 평면형구조가 더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HF/3-21G^*$ level에서 조화진동수(harmonic vibrational frequency)를 계산하였고 각각의 진동방식(vibrational mode)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HF/63G^*$ level에서 구한 Mulliken population과 natural population을 이용하여 화합물들의 결합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이들 화합물들의 열분해 의해서 생성되는 $C_6O_6$$C_6S_6$의 전자구조와 결합특성에 대한 연구를 HF와 MP2 level에서 하였다. 그리고 화합물들이 열분해하여 $C_6O_6,\;C_6S_6$, CO, 그리고 CS로 분리될 때의 필요한 에너지를 $HF/3-21G^*$ level에서 계산하여 열분해에 필요한 대략적인 에너지 장벽을 예상하여 보았다.

  • PDF

Complex Chalcogenides as Thermoelectric Materials: A Solid State Chemistry Approach

  • 정덕영;Lykourgos Iordanidis;최경신;Mercouri G. Kanatzidis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12호
    • /
    • pp.1283-1293
    • /
    • 1998
  • A solid state chemical approach to discover new mateials with enhanced thermoelectric properties is described. The aim is to construct three-dimensional bismuth chalcogenide framework structures which contain tonically interacting alkali or alkaline earth atoms. The alkali atoms tend to have soft "rattling" type phonon modes which result in very low thermal conductivity in these materials. Another desirable feature in this class of compounds is the low crystal symmetry and narrow band-gaps. Several promising materials such as BaBiTe3, KBi6.33S10, K2Bi8S13, β-K2Bi8Se13, K2.5Bi8.5Se14, Ba4Bi6Se13, Eu2Pb2Bi6Se13, Al1+xPb4-2xSb7+xSe15 (A=K, Rb), and CsBi4Te6 are described.

$Poly{\cdot}Si-SiO_2$를 통한 저농도 붕소확산 (Boron Diffusion of Low Concentration through Poly $Poly{\cdot}Si-SiO_2$)

  • 김정회;주병권;김철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48-253
    • /
    • 1987
  • Boron diffusion into silicon through poly\ulcorneri-SiO2 was carried out for the diffusion with low concentration using CVD-BN. The result of direct boron diffusion from BN into silicon and that of boron diffusion through SiO2 from BN into silicon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boron diffusion through poly-Si-SiO2 from BN into silicon. In the case of boron diffusion through poly Si-SiO2, the low concentration diffusion was obtained, that is the boron surface concentration in silicon Cs=10**16 Cm**-3, and the glassy compounds were not seen.

  • PDF

Serratia marcescens로부터 추출한 적색 색소의 정제와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upon the Red Pigments Exracted from the Serratia Marcescens)

  • 민슬기;박희억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9-605
    • /
    • 2016
  • Serratia marcescens (S. marcescens)는 Gram-음성 박테리아로 soytone과 에탄올이 함유된 Cang's soytone (CS) 배지에서 $28^{\circ}C$, pH 7.5의 조건으로 배양할 때 가장 많은 붉은 색소를 생성하였다. S. marcescens 균주로부터 붉은 색소를 분리, 정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유기용매를 사용하였다. 분리 정제한 붉은 색소는 가시광선 영역의 537 nm에서 ${\lambda}_{max}$를 가지고 있었고, HPLC-Mass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537과 565 g을 가지는 두 가지 물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온과 pH 6 이하의 산성조건에서는 태양광에도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광촉매 활용을 위한 실리케이트 기반 표면 침투제를 적용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평가 (Mechanical Performance Evaluation in Concrete Impregnated with Silicate for TiO2 Utilization)

  • 김혁중;김영기;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08-114
    • /
    • 2018
  • 콘크리트 구조물은 사용기간 동안 표면 열화 및 오염으로 인해 미관의 저하 및 내구성 저하가 발생된다. 최근 들어 광촉매(photocatalyst)를 이용하여 유기산화물을 제거하고 표면자기정화(self cleaning) 성능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실리케이트 기반 광촉매 함침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CS와 SC 두 가지 함침 용액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리케이트 기반 용액의 점성과 표면장력을 평가하였으며 콘크리트에 적용하여 부착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실리케이트 용액에 침지된 콘크리트에 대하여, 광촉매 용액의 침지 및 분무를 한 후 콘크리트 강도 평가와 SEM을 통한 표면상태를 조사하였다. 실리케이트 용액의 침지 후 30분간 기건 상태를 유지하고 분무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광촉매의 표면 흡착을 유도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강도 개선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