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cifer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9초

Virulence Differentiation of Eight Turnip mosaic virus Isolates Infecting Cruciferous Crops

  • Choi, Hong-Soo;Sohn, Seong-Han;Yoon, Moo-Kyoung;Cheon, Jeong-Uk;Kim, Jeong-Soo;Were, Hassan Karakacha;Cho, Jang-Kyung;Kim, Kook-Hyung;Takanami, Yoich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69-376
    • /
    • 2005
  • Turnip mosaic virus (TuMV) is an infectious viral pathogen on the cruciferous crops, predominantly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subsp. pekinensis) and radish (Raphanus sativus). On the basis of the symptom development in selective differential hosts from indicator host species, Chinese cabbage and Korean radish inbred lines, the representative eight isolates of TuMV were divided into two major groups/or six types. Group I includes Th 1, Ca-ad7, and Cj-ca2-1 isolates, while group II includes the other isolates (rg-pfl, r 9-10, Rhcql-2, Stock and Mustard). According to the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these isolates, however,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wo independent isolates.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four isolates (Tu 1, r9-10, Stock and Rh-cql-2) formed a distinct phylogenetic group, and the other two isolates (Ca-ad7 and Cj-ca2-1) also formed another group. Mustard and rg-pfl isolates did not seem to have any relationship with these two group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virulence differentiation on host plant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nucleotide and the deduced amino acid of TuMV coat protein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The multi-resistant lines, Wonyae 20026 and BP058 in Chinese cabbage represent valuable genetic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crucifer breeding programs on TuMV resistance, but not in Korean radish.

염산/에탄올로 유도된 급성 위염 동물모델에서 십자화과 생즙 발효물의 위점막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Brassica Puree on HCl/Ethanol-Induced Acute Gastritis via Prevention of Gastric Mucosal Injury)

  • 박양규;조정휘;최진영;김영필;이상엽;박주헌;오홍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68-476
    • /
    • 2021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morbidity of gastritis in Korea due to lifestyle factors mostly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stress. Gastritis is more likely to progress to gastric cancer,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and manage gastritis through lifestyle adjustment and treatment at an early stage. In this study, cabbage, which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gastritis, was mixed and fermented with other crucifer plants such as kale and broccoli to evaluate the overall efficacy of fermented brassica puree on alcoholic acute gastritis. Based on our results, fermented brassica puree alleviated gastric injury induced by 150 mM HCl/60% ethano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GE2, a gastric mucosal protective factor, was increased, and other positive effects such as an increase of MUC1 and regulation of PKC were obser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ermented brassica puree can relieve acute alcoholic gastritis by regulating PGE and the expression of MUC1, a gene related to mucus secretion, and activating PKC, which is related to mucosal cell activity.

관주 접종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 (Convenient Screening Method of Chinese Cabbage for Resistance to Plasmodiophora brassicae Using Soil-Drenching Inoculation)

  • 조수정;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9-284
    • /
    • 2010
  • Plasmodiophora brassicae에 의한 배추 뿌리혹병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주 접종을 이용한 효율적인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레이스 9인 GN-1 균주를 사용하여 토양 종류, 접종원 농도, 배추 생육시기, 접종 후 배양 기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뿌리혹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혼합토양(원예용 상토:밭 토양=1:1, v/v)과 달리, 원예용 상토에서는 P. brassicae 접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추 뿌리혹병 발생도 증가하였다. 접종원 농도는 폿트 당 $4.0{\times}10^8$개의 포자로 접종하였을 때 그리고 접종을 위한 배추는 파종 후 10일 유묘가 적합하였다. 안정적인 발병을 위해서, 접종한 배추 유묘는 3일 동안 $20^{\circ}C$ 생육상에서 하루에 12시간 광을 처리하며 배양한 후 온실($25{\pm}5^{\circ}C$)에서 5주 동안 재배한 후에 병조사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확립한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을 이용하여, 시판 중인 뿌리혹병 저항성 품종 25종과 감수성 품종3종의 P. brassicae GN-1 균주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실험한 결과, 모든 저항성 품종들은 뿌리혹병에 대하여 뚜렷한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감수성 품종들은 발병도 3.5 이상의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 방법은 배추의 뿌리혹병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검정법임을 알 수 있었다.

효율적인 무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 확립 (Development of Convenient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t Radish to Plasmodiophora brassicae)

  • 조수정;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61-168
    • /
    • 2011
  • Plasmodiophora brassicae Woron.에 의해 발생하는 무 뿌리혹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GN-1 균주를 사용하여 접종원 농도, 무 생육 시기 및 접종 후 배양 기간 등 발병 조건에 따른 무 뿌리혹병발생을 조사하였다. 종자를 파종하고 10일 동안 재배한 무 유묘에 뿌리혹병균을 포트 당 $1.0{\times}10^9$개의 포자 농도가 되도록 관주하여 접종하였을 때 뿌리혹병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뿌리혹병 발생을 위해서, 접종한 무 유묘는 $20^{\circ}C$ 생육상에서 하루에 12시간 동안 광을 처리하며 3일 동안 배양하고, 그 후 온실($20{\pm}5^{\circ}C$)에서 6주 동안 재배한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확립한 무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을 이용하여, 시판 중인 무 품종 46개의 P. brassicae GN-1 균주(저항성 배추 품종을 침입할 수 없는 균주)와 YC-1 균주(15개 저항성 배추 품종에 뿌리혹병을 일으키는 균주)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실험한 결과, 실험한 무 품종 중 35개 품종은 두 균주 모두에 대하여 저항성을, 그리고 1개 품종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나머지 10개 품종은 균주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확립한 뿌리혹병 저항성 검정법은 뿌리혹병균에 대한 무의 저항성을 조사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양배추 검은썩음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 (Development of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ce of Cabbage Cultivars to Black Rot Disease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 이지현;김진철;장경수;최용호;안경구;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19권2호
    • /
    • pp.95-101
    • /
    • 2013
  •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Xcc)에 의한 검은썩음병은 세계적으로 배추과 작물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주요 식물병이다. Xcc에 대한 양배추의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해, Xcc에 대한 저항성 정도가 서로 다른 '루비아', '오조라', '그린핫', 'Saint', 'Joeun-ACE', 'Wonderball' 및 'XCCR 500' 등 7개 양배추 품종을 대상으로 접종 방법, 접종 위치, 재배 기간 그리고 재배 온도에 따른 검은썩음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양배추 품종들의 저항성은 18핀이나 가위를 사용하여 접종하는 것보다 핀셋(mouth-tooth forceps)을 사용하여 접종하였을 때 가장 큰 차이를 보이며, 직접적으로 엽맥에 접종하는 것보다 엽맥 주변에 접종이 더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접종한 유묘를 $30^{\circ}C$ 보다 $22^{\circ}C$에서 재배하였을 때에 감수성과 저항성 반응이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양배추 검은썩음병에 대한 효과적인 저항성 검정법으로 4주 재배한 유묘의 엽맥 주변을 핀셋(mouth-tooth forceps)으로 상처 접종한 후 $22^{\circ}C$ 생육상에서 재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양배추 및 브로콜리 뿌리혹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 확립 (Development of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t Cabbage and Broccoli to Plasmodiophora brassicae)

  • 조수정;심선아;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18권2호
    • /
    • pp.86-92
    • /
    • 2012
  • Plasmodiophora brassicae Woron.에 의한 뿌리혹병은 배추과 작물에 발생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식물병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Brassica oleracea에 속하는 양배추와 브로콜리의 뿌리혹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레이스 9인 GN1 균주를 이용하여 접종원의 농도와 P. brassicae 접종 후 배양 기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양배추와 브로콜리 뿌리혹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접종원의 농도는 14일 재배한 유묘에 포트 당 $2.5{\times}10^9$개의 포자를 접종하는 것이 적당하였으며, 안정적인 발병을 위하여 접종한 유묘는 3일 동안 $20^{\circ}C$ 생육상에서 하루에 12시간 광을 처리하며 배양하고, 그 후 온실($20{\pm}5^{\circ}C$)에서 5주 동안 재배한 후에 발병 정도를 조사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위의 검정법을 이용하여 레이스가 다른 P. brassicae 4개 포장 균주에 대한, 시판 중인 양배추 16종과 브로콜리 17종 품종의 저항성 정도를 실험한 결과, 레이스 9인 GN1, GN2 그리고 GS 균주에 대해서는 중도저항성을 보이는 몇 가지 품종이 있었다. 그러나 레이스 2인 YC 균주에 대해서는 실험한 모든 품종이 고도의 감수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양배추와 브로콜리 뿌리혹병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검정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에 의한 브로콜리의 검은썩음병 (Black Rot of Broccoli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 이승돈;이정희;김선이;김용기;이용훈;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134-138
    • /
    • 2006
  • 2003년부터 2004년 평창 지역의 브로콜리 포장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유묘 감염이 되었을 때 떡잎의 주위로부터 검게 변색되기 시작하여 결국 떡잎이 떨어지고 유묘는 죽었다. 성체에서는 잎 가장자리로부터 엽맥을 타고 진전되어 V 자 또는 U 자형의 노란색 병반을 형성하였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균을 순수 분리하였을 때 Xanthomonas 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 cfu/ml$로 현탁 한후 3 주 동안 자란 브로콜리, 양배추, 배추, 케일, 무에 가위 접종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조성 및 함량,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 및 16S rDNA 염기서열를 이용하여 분리세균 SL4797 과 SL4800 을 대조균주 X. campestris pv. campestris NCPPB528 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유사하였다. 이 논문은 국내에서 브로콜리의 검은썩음병 최초 보고이다.

배추 품종들의 검은썩음병에 대한 저항성 특성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Cultivars to Black Rot)

  • 이수민;이진주;최용호;김헌;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58-167
    • /
    • 2023
  •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Xcc)에 의한 검은썩음병은 배추 재배에서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Xcc에 대한 배추의 저항성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먼저, Xcc 8개 균주의 병원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감수성인 배추 4개 품종에서 이들 균주에 의한 배추 검은썩음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Xcc 균주들은 균주들 간에 서로 다른 병원력을 보였다. 그리고 Xcc에 대한 저항성 및 중도저항성 22개 배추 품종을 선발하고, Xcc 8개 균주를 사용하여 이들 배추 품종의 검은썩음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배추 품종들의 평균 검은썩음병 병반면적률은 Xcc 균주들의 병원력에 따라 증가하였다. 게다가 실험한 각 배추 품종들의 검은썩음병 발생은 실험한 균주들의 병원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Xcc 균주들에 대해 저항성인 배추 품종의 수는 균주들의 병원력에 반비례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Xcc에 대한 배추의 저항성은, 병원균의 레이스 분화가 아니라 병원균의 병원력에 영향받는다고 생각되었다.

뿌리혹병 및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양배추와 브로콜리 유전자원 탐색 (Evaluation of Cabbage- and Broccoli-genetic Resources for Resistance to Clubroot and Fusarium Wilt)

  • 이지현;조은주;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35-244
    • /
    • 2014
  • Brassica olerace의 주요 병해인 뿌리혹병과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로부터 제공받은 양배추(B. oleracea var capitata) 유전자원 60개와 브로콜리(B. oleracea var italica) 유전자원 6개의 뿌리혹병과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유전자원의 뿌리혹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을 위해서, 분양 받은 유전자원들의 유묘에 뿌리혹병균 Plasmodiophora brassicae의 포자현탁액을 접종하였다. 실험한 유전자원 중 양배추 유전자원 4개는 중도저항성을 보였으며, 이들 중 양배추 유전자원 'K166220'는 가장 높은 저항성을 나타냈다. 나머지 유전자원들은 감수성을 보였다. 한편, 유전자원의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분양 받은 유전자원 유묘의 뿌리를 Fusarium oxysporum f. sp. conglutinans 포자 현탁액에 침지하여 접종하였다. 실험한 유전자원 중 양배추 유전자원 17개와 브로콜리 유전자원 5개는 저항성, 양배추 유전자원 16개는 중도저항성 그리고 나머지 유전자원은 감수성이었다. 특히 양배추 유전자원 3종('IT227115', 'K161791', 'K173350')과 브로콜리 유전자원 2종('IT227100', 'IT227099')은 시들음병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뿌리혹병과 시들음병 저항성 유전자원들은 뿌리혹병과 시들음병 저항성 육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한 농작물(農作物)의 피해생리(被害生理) 감수율(減收率)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Sulfur Dioxide on Crops - Physiology of Lesion, Yield Loss, and Preventive Measures)

  • 한기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3호
    • /
    • pp.146-165
    • /
    • 1973
  • 대기오염물질중(大氣汚染物質中) 가장 중요(重要)한 아황산(亞黃酸)가스가 농작물(農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얻고자 아황산(亞黃酸)가스가 작물(作物)에 미치는 피해생리(被害生理)와 동(同)가스의 농도별(濃度別) 및 작물(作物)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농작물수량(農作物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이들 피해(被害)로 부터 작물(作物)을 보호(保護)하기 위(爲)한 방법(方法)을 모색(摸索)하기 위(爲)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피해(被害) 생리(生理) 가. 아항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는 작물(作物)(배추)조직(組織)의 pH및 Eh에는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나. 작물(作物)(배추)중(中) peroxidase 의 활성(活性)은 아황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로 저하(低下)되었으나 경시적(徑時的)으로 회복(回復)되어처리(處理) 10시간(10時間) 후(後)에는 무처리(無處理)와 대등(對等)하였다. 다. 용액중(溶液中)의 엽록소(葉綠素)는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하여 순간적(瞬間的)으로 또 불가역적(不可逆的)으로 퇴색(褪色)된다. 그러나 pheophytin의 생성(生成)은 관찰(觀察)되지 않았으며 엽록소(葉綠素)의 퇴색(褪色) 생성물(生成物)은 아황산(亞黃酸)가스의 부가화합물(附加化合物) 또는 그 환원(還元) 생성물(生成物)인 것같다. 라. 엽록체중(葉綠體中)의 엽록소(葉綠素)도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하여 용액중(溶液中)의 엽록소(葉綠素)와 같은 현상(現像)으로 퇴색(褪色)되었으나 다만 그 속도(速度)가 완만(緩慢)하여 $1{\sim}2$시간(時間)이 소요(所要)되었다. 마. 아황산(亞黃酸)가스의 식물(植物)에 대(對)한 가장 큰 가해작용(加害作用)의 하나는 엽록소(葉綠素)의 파괴(破壞)인것 같다. 2. 농작물(農作物)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가. 아황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 농도(濃度)에 비례(比例)하여 증가(增加)함을 확인(確認)하였다. 나. 아황산(亞黃酸)가스가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작물수량(作物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개화기(開花期)에 가장 심(甚)하였으며 다음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신장기(伸長期), 유숙기(乳熟期), 최고분얼기(最高分蘖期)의 순위(順位)였다. 다.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대(對)한 작물별(作物別) 저항성(抵抗性)은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다소(多少) 상이(相異)하나 일반적(一般的)으로 소맥(小麥)이 가장 강(强)하였으며 다음이 수도(水稻), 대맥(大麥), 파, 무, 배추의 순위(順位)로 십자화작물(十字花作物)은 화본(禾本) 과작물(科作物) 및 두과작물(豆科作物)보다 감수성(感受性)이 컸다. 3. 피해(被害) 경감(輕減) 효과 가.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한 작물피해(作物被害)는 가리(加里), 규회석(珪灰石), 및 석회시용(石灰施用), 그리고 석회유(石灰乳)의 엽면(葉面) 살포(撒布)로 수도(水稻), 대맥(大麥), 대두(大豆)에 그 효과(?果)가 인정(認定)되었다. 나. 석회유(石灰乳)의 살포(撒布)는 가장 우수(優秀)한 피해경감효과를 보였다. 다. 수도(水稻)에 대(對)한 석회유(石灰乳)의 살포(撒布)는 탄소동화작용(炭素同化作用)을 현저(顯著)히 증가(增加)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