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ity

검색결과 2,959건 처리시간 0.027초

일반 창의성(도형)과 수학 창의성과의 관련 연구 -TTCT;Figural A와 MCPSAT;A를 바탕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Creativity - Based on the TTCT; Figural A and the MCPSAT; A-)

  • 이강섭;황동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9
    • /
    • 2003
  • We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MCPSAT: Kim etl. 1997) and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Figural A (TTCT; adapted for Korea by Kim etl. 1999).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1 fifth-grade students. In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ies, percentiles, t-test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hav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originality of general creativity and the three elements--fluency, flexibility, and the total--of mathematical creativity (significant at p<.01). Second, We know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of general creativity and the three elements of mathematical creativity(significant at p<.05).

  • PDF

수학창의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Mathematical Creativity)

  • 이혜숙;민선희;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4호
    • /
    • pp.337-34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conception on creativity carried out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As results, first, most of teachers replied di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new creation as gener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creativity. Secondly, they showed that thinking process would be related to transfer and cognition in terms of mathematical creativity factors. Last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gender, teaching career, and age, even though most teachers expressed sympathy for need of creativity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on Creative Self-Efficac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신종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3-11
    • /
    • 2022
  • The effects and factors of th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on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students who took th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was improved, and th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arning contents factor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creative self-efficacy was 'creativity development attribute and creative attitude' and the learning activity factor was 'taking theoretical lectures' about creativity.

수학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과제와 수업 방향 탐색 (Review on Instrumental Task and Program Characteristics for Measuring and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

  • 성창근;박성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3-267
    • /
    • 2012
  • 본 연구는 창의성이 발현되는 인지적 과정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이를 토대로 수학적 창의성을 계발하고 측정하는데 바람직한 과제와 수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창의성에 대한 영역-특수적 관점과 영역-일반적 관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창의성 발현에 대한 이 두 관점은 이론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수학적 창의성을 계발하고 신장시키기 위해 고안된 과제와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친다. 창의성에 대한 교육학적 고찰에서는 수학적 창의성을 검사하고 계발하기 위한 과제와 수업 프로그램이 구비해야할 조건을 이론적으로 탐색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학 수업에서 활용가능한 과제와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적인 결론은 창의성의 발현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수학적 창의성 연구의 핵심이 되어야 하며, 아울러 확산적 사고는 수학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될 수 없으므로, 수학적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일반화, 추상화 등 다양한 수학적 추론과 수학적 지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 다중지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reativity, playfulness and multiple intelligence)

  • 이영환;임영옥;오가영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4
    • /
    • 2006
  • The early childhood is a pivotal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since creative imaginary is rich at the age from 4 to 4.5 years 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creativity, playfulness and multiple intelligence. 91 children(41 boy, 50 girls) attending preschool in jeon-ju c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age of children was 6 years(average 73.7 months), After collecting the data to find the connections between children's creativity, playfulness and multiple intelligence from the subjects' data using the SPSS WIN 10.0 program, along with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in this paper. 1.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ity. Intelligence spontaneousness the element of the playfulness has a correlation with Creativity strengths, Elaboration. In addition,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has a correlation with social spontaneity, And Originality has a correlation with the Expression of Pleasure the element of the playfulness, 2.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MI) and creativity, Fluency the element of creativity has a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intelligence the ele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Originality has a correlation with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element of MI. In addition, Abstraction of Titles has a correlation with Intrapersonal intelligence. 3. There was a littl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MI and playfulness. The Expression of Pleasure has a correlation with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Based on the current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ity, playfulness, and multiple intelligence could be identified. Especially, creativ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layfulness and multiple intelligence of early childhoo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creativity of toddler might be essential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oddler's cognitivity.

  • PDF

Human Capital as a Development Factor for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Horban, Yurii;Dolbenko, Tetiana;Yaroshenko, Tetiana;Sokol, Oleksandr;Miatenko, Nata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604-610
    • /
    • 2021
  • Human capital is the defining value of the national economy under market conditions. The manifestation of human capital is realized as an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ital, theoretically grounded and proven. The realization of intellectual capital is realized through the research creativity of scientists and researchers, and creative capital is manifested through artists and thinkers. Accordingly, creativity in market conditions forms a separate source of income and is an essential article in the formation of the GDP of the national economy.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human capital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Research methods: systematiz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individual indicators of advanced countries of the world on the training system; statistical, taking into account macroeconomic indicators to assess the level of national creativity potential; system and logical analysis; method of information synthesis. Research results. The structural and quantitative composition of the factors of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ital formation has been systematized. The article proves that the unique properties of human capital, knowledge, creativity, experience and professional skills are the push factors of creativity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nd provide the priority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ultural industry that allows generating the added value on the national scale. The functions of creativity in the sphere of cultural industries are highlighted. It is noted that education and creativity of both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ital are the forming basis. The research of the world's advanced countries on the creativity index has pointed out the Netherlands as the leading country i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reativity. The economic development factors of the Netherlands were analyzed from the position of economic creativity, which allowed the formation of a two-factor model providing priority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애착유형과 창의성을 높이는 인지적 경로 간의 상호작용 연구 (Cognitive Flexibility Promotes Creativity for Securely (but not Fearfully) Attached People)

  • 김예강;심소현;서성지;김태현;이수진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159-175
    • /
    • 2022
  • 창의성이 조직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하다는 점에서, 많은 기업들이 조직원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Dual pathway to creativity model 에 관련된 기존 연구에 따르면, 창의성은 두 가지 경로(인지적 유연성 혹은 인지적 지속성)를 통해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경로가 어떻게 활성화 되는지 이해하는데 있어서 조직원의 개인적 특질이 고려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유연성과 지속성 중 어느 경로가 특정 성격에 더 효과적 인지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애착 이론에 근거하여, 개인이 가진 애착 유형이 두 가지 인지적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안정 애착을 가진 개인이 (인지적 지속성이 아닌) 인지적 유연성 경로를 사용했을 때, 창의성이 향상된다고 예측하였다. 미국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실험은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내 창의성 향상에 있어서 안정 애착이 (인지적 지속성이 아닌) 인지적 유연성과 더 적합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잠재집단분석방법을 통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공학인증제 프로그램 선택에 따른 공학 창의성 유형 탐색 (Exploring the Pattern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ngineering-Related Creativity by Gender, Academic Year, and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 이준기;신세인;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16-35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공과대학생들의 공학 창의성이 성별, 학년, 공학교육인증 참여 여부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살펴보면 첫째, Rasch 분석을 사용하여 연구에 사용된 공학 창의성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둘째, 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성별, 학년별, 공학교육인증 참여 유부별로 공학 창의성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셋째, 공학 창의성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넷째, 잠재집단분석(poLCA)을 활용하여 공학 창의성에 따라 구분되는 잠재집단들을 규명하고, 규명된 잠재집단과 성별, 학년별, 공학교육인증 참여가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에는 2098명의 공과대학 재학생이 참여하였으며, 4개의 하위 구인으로 이루어진 공학 창의성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라쉬 분석결과 공학 창의성 검사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삼원분산분석 결과 공학창의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년의 경우 창의적 인지 외의 모든 구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은 공학 창의성의 선택 여부는 유의미한 차이가 타나나지 않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공학 창의성 요소들은 상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공학 창의성 요소를 근거로 잠재집단을 확인한 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에게는 3가지의 공학 창의성 잠재집단이 발견되었으며, 1학년과 여학생일수록 공학 창의성이 가장 낮은 잠재집단에 소속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과대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창의성의 본질적 관점에서 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An Analytical Study on the Studie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Korea: Focusing on the Essence of Mathematical Creativity)

  • 하수현;이광호;성창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51-56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수학적 창의성 관련 연구들이 수학적 창의성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적 창의성 관련 논문 101편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와 관련된 창의성을 일컫기 위하여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지, 수학적 창의성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있는지, 정의하고 있다면 영역 특수적 정의를 하는지, 수학적 창의성을 보는 관점, 범주, 수준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관련 연구들은 수학 교과에서의 창의성을 가리키기 위해 '수학적 창의성'이란 용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해 명시적으로 정의한 연구가 59.4%였고, 명시적 또는 암시적 정의를 한 연구 중 영역 특수적 정의를 한 연구가 54.4%였다. 수학적 창의성 관련 연구들은 창의성을 보는 4가지 관점에 대해 골고루 접근하고 있었으며, 창의성의 범주 중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연구가 드물었다. 창의성의 수준에 대해, 관련 연구들은 학교 수준에서의 작은 창의성에 집중되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명확한 관점 및 개념화의 필요성, 창의성의 다양한 관점 및 범주를 아우르는 총체적 접근의 중요성, 학생들 개개인의 해석과 지식의 구성 과정을 강조하는 미니 창의성 수준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연구의 필요성 등의 결론을 제기할 수 있었다.

  • PDF

창의적인 게임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Game Design Framework)

  • 최동성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9-59
    • /
    • 2011
  • 게임 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첫 번째 능력은 창의력이다. 따라서 게임 기획과 관련된 연구의 시작은 창의력에 대한 정의와 게임 디자인을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에 대한 연구에서부터 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이 무엇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법에 게임 기획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제안하고자 했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창의성을 전에 없던 새로운 것을 만드는 혁신적 창의와 기존의 것을 새롭게 만드는 발전적 창의, 즉흥적 창의로 구분하고, 각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법이라고 하는 타 분야의 창의성 기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게임아이디어 발상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게임 디자이너의 창의성 향상 및 창의적인 게임 아이디어 발상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