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Model

검색결과 894건 처리시간 0.033초

AI 생성예술과 게임화 요소가 통합된 미술 교육 모델 개발 : 창의적 사고 향상 (Integrating AI Generative Art and Gamification in an Art Education Model to Enhance Creative Thinking)

  • 이준;김유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425-43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미술 전공 신입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해 게이미피케이션 개념과 AI 생성 예술 프로그램을 활용한 가상 예술가 놀이 수업 모델을 개발하였다. 중국 쓰촨영화&텔레비전대학교 디지털미디어아트과 1학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한 이 수업은 미술 창작에 대한 두려움 해소와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이교육 모델은 페르소나 설정, 창의적 글쓰기, 텍스트 시각화, 가상 전시 등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페르소나 설정을 통해 학생들은 예술가 정체성을 확립하였고, 게임적 요소를 도입한 글쓰기 체험으로 잠재적인 창의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AI 생성예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텍스트 시각화를 통해 창작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고, 가상 전시에서 다른 학생들의 작품 감상 및 평가를 통해 예술가로서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었다. 게이미피케이션과 AI 생성예술 프로그램의 융합을 통한 이 교육모델은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촉진하는 새로운 교육 방법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참여와 흥미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의 교육 환경에 적합한 창의적 사고를 기르는 교육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더 많은 학생들이 예술적 역량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는 이러한 교육 전략을 통해 미술 전공 학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학생들에게도 적용함으로써 예술적 역량과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에 기반한 초등로봇교육 프로그램 (The Robo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choolwide Enrichment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영준;서영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3-41
    • /
    • 2012
  • 초등학교에서는 폭넓은 체험과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소질과 능력을 찾아내는 기회를 제공하여 주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정보교육은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일부 학생들에게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수학이나 과학 교과에 비하여, 정보 분야에 재능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발견할 기회가 매우 제한되어 있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에 기반한 로봇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하여 현재의 초등학교 정보교육이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심화학습 위원회 구성과 교육과정 수정을 통하여 정규교육에서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로봇교육 실행 가능성을 도모하였다. 그 결과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에 기반한 로봇 학습은 창의적 잠재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by Creative Problem Solving)

  • 홍순원;이용섭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33-24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igher grades in elementary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by creative problem solving. To verify research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ix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two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 the experimental group is composed of thirty-two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Treffinger's CPS teaching model situation, and the other is composed of thirty-two students(control group) who were participated in teacher map based learning situation. During six weeks, the CPS teaming-based instruction was executed In th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teacher map based instruction in controled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compared 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compared th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reffinger's CPS teaching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eacher map based teaching model on science process skill.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c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curriculu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curriculum.

  • PDF

New Fashion Products Development through Consumer Co-Creation

  • Jaekyong Lee;Ho Jung Choo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75-491
    • /
    • 2023
  • New product development (NPD) is crucial for fashion brands as they are required to constantly innovate in product design and technology to remain competitive in the global fashion marke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creative new fashion product development (NFPD) process to understand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examined the components of this business model through case studies. Fashion companies frequently collaborate with consumers to create unique and innovative fashion items that both satisfy consumer demand and expand their economic potential. Base on case studied involving consumer participation in NFPD, our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creative NFPD process. Consequently, our investigation identified five key factors of the co-creative NFPD business model: co-value, co-creator, co-activity, co-platform, and co-partner. The co-creation approach established in this study will help advance research on new fashion strategies and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Korean fashion companies that are facing an increasingly competitive global market, thus making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1인 창조기업의 기호학적 분석 (Semiotics approach to one-person Creative Company)

  • 이지석;권종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70-479
    • /
    • 2013
  • 본 연구는 1인 창조기업에 대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이미지, 기호사각형 모델을 활용하여 1인 창조기업 육성정책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정부(중소기업청)는 청년 실업문제를 해결하고 청년창업을 유도하기 위해 최근 부각되고 있던 '1인 기업'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다. 이를 정책에 반영하여 2008년에 '1인 지식기업' 육성정책을 발표하였으나 현실적 비판에 직면하게 되면서, 2009년에 이를 변경하여 '1인 창조기업' 육성정책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기호학적 분석에 따르면 정책법안 내에서 기호학적으로 충돌을 일으키는 부분( i = 1, i = 5인 미만일 경우, 1 = 2~5)이 존재하고, 벤처생태계의 자연스러운 현상인 공동창업에 대한 부분을 정책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호학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의 '1인 창조기업' 정책에 대한 새로운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1) 1인 지식기업 ${\rightarrow}$ (2) 1인 창조기업 ${\rightarrow}$ (3) 1+1 창조기업으로 발전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창조경제혁신센터형 창조생태계 어떻게 할 것인가?: 실리콘 밸리 및 교토생태계와의 비교를 통한 시사점 (What Is to Be Done with Creative Ecosystem Based on Creative Economic Innovation Center: An Implication through Comparing Silicon Valley and Kyoto Eco-system)

  • 이홍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4호
    • /
    • pp.145-164
    • /
    • 2017
  • 본 연구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향후 활용에 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단순한 활용은 의미가 없다. 새로운 방식으로 탈바꿈 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에 관심을 가지면서 창조경제혁신센터형 생태계의 변화방향에 대한 단서를 얻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다음의 과정을 거쳤다. 첫째, 창조생태계 비교를 위한 기준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기준을 중심으로 실리콘 밸리, 교토생태계 및 창조경제혁신센터형 생태계를 비교하였다. 셋째, 이런 분석을 통하여 창조경제혁신센터형 생태계 변화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변화방향으로는 교토생태계가 적합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단, 정부의 역할은 직접적 통제에서 환경조성, 예로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형 생태계가 살아날 수 있도록 자극하는 규제완화와 시장형성을 돕는 것 등에 국한되어야 할 것으로 제시하였다.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교수활동지원모형 개발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Activity Support Model for Capstone Design to Creative Engineering Education)

  • 박수홍;정주영;류영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184-20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instructional activity support model for capstone design in order for improving creative engineering education. To do this, having extracted the core idea of capstone design, and elicited core learning activity process, and grasped core supportive factors according to each core learning activity process that elicited, an improv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apstone design was then developed through formative evaluation with respect to the draft of the instructional system development model for capstone design. As to major research methods, case analysis, requirements analysis through interview, and formative evaluation by experts were employed, and then research studies were undertaken. The formative evaluation by experts was carried out for two hours in 2007, and the experts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consisted of total 6 persons: two specialists of capstone design contents, two professionals in field works, and two expert instructional designers in education engineering. Interview results had been reflected in this research when developing fin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apstone design. The core learning activity process of the fin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aption design, which developed in this research, comprises following stages: (1) Team building $\rightarrow$ (2) Integrated meeting between industry and academy $\rightarrow$ (3) Analysis of tasks $\rightarrow$ (4) Clarification of tasks $\rightarrow$(5) Seeking solutions for issues $\rightarrow$ (6) Eliciting priority of solutions $\rightarrow$ (7) Designing solutions and construction $\rightarrow$ (8) Exhibiting outcomes and presentation $\rightarrow$(9) Gaining comprehensive insights Also, in the core learning activity process, supportive factors that support implementation of each step were presented having been categorized into facilitator (teacher, and professionals in field works), learner and tool, etc.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 on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3-71
    • /
    • 2006
  • 본 연구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독서방식에 따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교육 기간에 따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2005년 4월부터 12월까지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한 반은 쓰기 중심 독서프로그램 모형인 'Author-Reader-Inquirer Cycle'을 실시하고, 다른 한 반은 말하기 듣기 프로그램중심 독서프로그램 모형인 'Literature Circles'를 실시하였다.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1회차 검사, 7월에 단기 교육 사후검사. 2학기말인 12월에 장기 교육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교육은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쓰기 중심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말하기 듣기 프로그램에 비해 효과적이고, 단기 독서교육 보다는 장기 독서교육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서 방식 중에서는 음독, 묵독, 다독, 통독, 발췌독에 비해 정독을 통한 독서방식이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창의척 문재해결을 위한 온라인 지원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Online Support System for Cooperativ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 이유나;이상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9-32
    • /
    • 2008
  • 창의적 문제해결에 대한 연구들은 온라인 환경에서나 면대면 환경 모두 대부분 개인적 측면에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어 협동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온라인 환경은 면대면 환경보다는 협동적 상호작용 촉진과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협동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온라인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기존의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으로부터 온라인 환경에서 적합한 창의적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통합된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을 토대로 협동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의 온라인 지원 시스템을 위한 설계 원리를 개발하고 이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시스템의 향상을 위해서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협동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온라인 학습 환경을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게임·애니메이션·영상 기획 프로젝트 수업을 위한 PBSL(Project based Self Learning) (PBSL(Project based Self Learning) for Pre-production of Game·Animation·Visual Images)

  • 이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467-474
    • /
    • 2019
  •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핵심 요소인 게임 애니메이션 영상은 그 수요의 확대에 따라 관련 인력 양성이 갈수록 전문화되고 있다. 게임 애니메이션 영상 분야의 교육은 창의적 사고와 융합적 태도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시 되는 창의 융합 참여형 인재양성에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게임 애니메이션 영상 분야 창의융합 참여형 인재 양성을 위한 프리프러덕션 중심의 PBSL(Project based Self Learning) 수업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전개는 창의융합 인재의 구성요소와 프로젝트 수업의 특성, 그리고 관련 직무 역량에 대해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이에 따른 PBSL수업모형의 핵심요소는 창의성, 융합적 태도, 자율성으로 분류 하였다. 이를 기초하여, 창의적 사고와 융합적 태도 그리고, 학생들의 자율성이 실현될 수 있는 프로젝트 형의 'Project Based Self Learning' 수업모형을 개발한다. PBSL을 적용한 D대학교 <콘텐츠워크?> 수업에 대해 사례분석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자율성 측면이 창의성과 융합적 태도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이는, 학생 스스로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자율성과 동기부여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만족도가 낮게 분석된 융합적 측면에 대한 추후 보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