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Convergence

검색결과 855건 처리시간 0.029초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외부 광추출층을 위한 롤투롤 마이크로컨택 방식으로 인쇄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Roll-to-roll microcontact-printed microlens array for light extraction film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화수빈;성백상;이재현;이종희;김민회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205-21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광추출 향상을 위한 롤투롤 마이크로컨택(mCP)방식으로 인쇄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LA)를 제시하였다.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템플레이트로 사용하여서 polydimethylpolysiloxane(PDMS)를 롤스탬프로 제작하였다. 낮은 끓는 점을 가지는 불소화 잉크로부터 PDMS 롤스탬프에 고분자 박막을 형성하고 이를 OLED의 하부면에 고압·고온 처리 없이 인쇄하였다. 최적화된 농도를 찾아서 템플레이트로 사용된 MLA와 거의 동일한 모양의 패턴을 성공적으로 인쇄하였다. 마이크로컨택 방식으로 인쇄된 MLA의 구조와 소재의 낮은 흡수도로 인해서 OLED의 외부양자효율이 18% 향상되었다.

성막 공정 정밀도 향상을 위한 실시간 성막 속도 측정 시스템 (In-situ Deposition Rate Measurement System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Film Formation Process)

  • 박소미;백승요;김현빈;이종희;이재현
    • 공업화학
    • /
    • 제34권4호
    • /
    • pp.383-387
    • /
    • 2023
  • 범용적으로 고진공 성막 장비에서 사용되는 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는 두꺼운 필름이 quartz 위에 성막되는 경우, 크리스탈 고유의 진동에 영향을 주어 사용이 어려워진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필름 증착 공정 중에 센서의 손상이 없는 광학적 계측 방식을 통해 필름의 성막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기체 이동 경로로 지나가는 페럴린 가스 중 다이머에 의한 레이저의 산란 정도를 측정하여, 페럴린 공정의 분해부 온도가 감소할수록 페럴린 가스 중 다이머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성막된 필름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 분해부 온도가 감소할수록 필름의 두께와 haze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연구 결과를 통해 개발한 안정적인 실시간 성막 속도 계측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진공 공정을 통해 성막하는 페럴린 필름의 정밀한 성막 속도 제어에 활용하고자 한다.

Strategic Model Design based on Core Competencies for Innov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 Seung-Woo LEE;Sangwo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41-148
    • /
    • 2023
  • As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connection and convergence between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academia is emerging to foster creative tal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ompetency of learning outcomes in order to develop a strategic model for innovation in engineering teaching-learning. In this paper, as a study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a creative innovation teaching method support system was establish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Firstly, a plan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computing thinking. Secondly, it presented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linkage and convergence learning. Thirdly, we would like to present educational appropriateness and ease based on convergence learning in connection with curriculum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skills. Finally, we would like to present a strategic model development plan for innovation in engineering teaching-learning that applies the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program.

탄소나노튜브/아교 접착제를 이용한 돌침대용 목재 샌드위치 복합재의 계면, 열적 및 방수특성 증가 (Improvement on Interfacial, Thermal, and Water Resistance Properties of Wood Sandwich Composites for Stone Bed using CNT-Animal Glue Adhesive)

  • 김종현;권동준;신평수;백영민;박하승;문선옥;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235-240
    • /
    • 2017
  • 아교는 수용성을 띄는 접착제로, 이 특징에 의해 물에 약하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고가구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에 따른 아교의 계면특성 및 열적특성 그리고 방수특성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탄소나노튜브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아교를 이용하여 접착한 돌침대용 목재 샌드위치 판 상부의 실시간 온도측정을 진행하였다. 나무와 아교접착제 간의 계면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랩 전단 실험을 실시하였고,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물성이 약해지는 아교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에 따른 아교의 방수특성이 개선되는지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랩 전단시편을 물에 담근 후 랩 전단 실험을 진행하여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여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물과의 정적 접촉각을 이용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아교접착제의 소수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아교 접착제에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으로 계면특성, 열적특성 및 방수특성이 개선되었다.

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위한 STEAM 기반 쓰기 활용 전략 (A Strategy using Writing based on STEAM Instruction for Information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 전수련;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81-18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정보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STEAM 기반 쓰기 활용 전략을 제안한다.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을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의 복합적이며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실세계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융합교육을 통해 다양한 학문을 아우르는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교과에서 이미 교육적 효과가 검증된 쓰기는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고 문제해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문제인식을 도와 창의적 문제해결에 긍정적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과정과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쓰일 수 있다.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자판기, 휴대전화 같은 첨단기술 제품을 사용한 경험을 쓰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알고리즘을 찾고 실생활에 쓰이는 여러 학문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학습하면서 다양한 사고의 융합과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함양할 수 있다.

Development of Creative Convergence Tal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Self-Directed Mathematical Competency

  • Seung-Woo, LEE;Sangwo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86-93
    • /
    • 2022
  • To combine the science and technology creativity necessa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alents who can discover new knowledge and create new values by combining various knowledge with self-directed mathematical competencies. This research attemp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curriculum for fostering future creative convergence talent by preparing, executing, and reflecting on the learning plan after learners themselves understand their level and statu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Firstly, We would like to present a teaching-learning plan based on the essential capabilities of the future society, where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based on mathematics curriculum and intelligent informatization are accelerated. Secondly, an educational design model system diagram was presented to strength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athematics subjects in the electronic engineering curriculum. Consequently, through a survey,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ystem necessary for the 4th industry by analyzing learning ability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teaching methods of subjects related to mathematics, probability, and statistics.

Radioiodination strategies for carborane compounds

  • Rajkumar Subramani;Abhinav Bhise;Jeongsoo Yoo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9-44
    • /
    • 2022
  • The development of methods for the inert and stable radiohalogenation of targeted radiopharmaceuticals is a prerequisite for real-time diagnosis and therapy using radiohalogenated radiopharmaceuticals. Radiohalogenated carboranes demonstrate superior stability in vivo and versatile applications compared with directly labeled tyrosine analogues or synthetically modified organic compounds. Herein, we focus on the most common approaches for the radioiodination (123l, 124l, 125l, and 131l) of carborane derivatives.

아이디어 창작을 위한 융합 교육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for Idea Creation)

  • 장지연;이근호;윤성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571-576
    • /
    • 2014
  • 융합(Convergence)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요소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현재 융합 영역은 이종기술간 결합이라는 개념에서 산업, 교육 분야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성공적인 융합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도출이다. 그러나 기업에서 진행되는 아이디어 도출은 기획 전문가 등의 전문 인력을 채용하여 신제품 기획 및 기업 혁신을 이끌어 낸 사례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융합 산출물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의 아이디어 창작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 모델은 1) 내적 역량 강화를 위한 창의적 사고 능력, 2) 수요자에 맞는 교육과정, 3) 융합 기술에 대한 이해, 4) 아이디어 창작 및 기획 능력 4가지의 개념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교육 모델을 융합 교육에 적용하는 경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갖는 융합 인력이 양성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공학설계의 교수·학습적 개념 고찰 (An Investigation on the Concep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Engineering Design)

  • 이영태;정재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1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heory behind creat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review to der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hree primary characteristics: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activities,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nteractions, and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creat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bas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engineering design and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models.

기술융합에 기반한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vertising Creative Based on the Technology Convergence)

  • 정창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35-241
    • /
    • 2015
  • IT기술 기반으로 방송통신을 비롯한 미디어 기술이 발전하고 인터넷부터 모바일까지 미디어가 다양하게 분화된다. 광고 크리에이티브에서는 과거 전통 미디어 운용시 활용되었던 일방향성에 바탕을 둔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에서 일대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것은 다양한 미디어의 분화 뿐만 아니라 미디어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미디어 행태도 수동성에서 벗어나 적극적 미디어 소비자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즉 광고 메시지를 받는 것에서 부터 적극적 검색과 행동, 참여, 체험 그리도 자신들의 의견을 적극 유포시키는 확산과정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훨씬 복잡해진 광고환경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하나의 3차원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5가지 광고 크리에이티브를 적용하여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설명을 시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