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8108/jeer.2021.24.3.3

An Investigation on the Concep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Engineering Design  

Lee, Youngta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Jung, Jaew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24, no.3, 2021 , pp. 3-1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heory behind creat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review to der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hree primary characteristics: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activities,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nteractions, and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creat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bas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engineering design and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instructional models.
Keywords
Design; Engineering design; Learner-centered; Interaction; Converg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윤나리(2012). 공학설계 강의에서 활용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측정.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 이종수(2008).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공학교육연구, 11(2), 32-41.   DOI
3 Simons, K. D., & Klein, J. D.(2007). The impact of scaffolding and student achievement levels in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science, 35(1), 41-72.   DOI
4 Thomas, R. E.(1997). Problem-based learning: measurable outcomes. Medical education, 31(5), 320-329.   DOI
5 Yang, K., Basem, S., & El-Haik, B.(2003). Design for six sigma (pp. 184-186). New York: McGraw-Hill.
6 Schon, D. A.(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s. San Francisco: Jossey-Bass.
7 박철수.박수홍.정선영(2010).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방법의 대학수업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3(1), 23-37.
8 신행자 외(2009). 공학설계 교과목에서 문제 중심 교수-학습과 프로젝트 중심 교수-학습 전략 비교 분석. 공학교육연구, 12(4), 142-149.
9 이대석.임영대.김진수(2020). 일반계고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을 위한 아두이노 기반 STEAM 수업자료 개발과 적용. 공학교육연구, 23(1), 3-9.   DOI
10 임규연(2011). 집단탐구 협동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성과의 관계. 교육의 이론과 실천, 16(2), 19-36.
11 노혜란.최미나(2016). 팀학습에서 팀메타인지가 팀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28(1), 151-170.   DOI
12 김성봉.홍효정(2010). 공학설계수업에서의 PBL 모형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1(11), 4310-4319.
13 김인숙.강태욱.최정우(2011). 공학 기초설계 교과목에서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 결과 분석. 공학교육연구, 14(5), 3-9.
14 김인숙.김동철(2013). 종합설계 교과목의 교수-학습 결과 분석. 공학교육연구, 16(2), 31-36.
15 박상태.김제도.윤성호(2020). 비판적 사고를 활용한 공학 설계 교육. 공학교육연구, 23(6), 51-59.   DOI
16 박세호(2012).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을 활용한 공학입문설계 교육내용 모형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해양대학교.
17 신선희(2009). 공학교육에서의 개념학습을 위한 탐구활동 지원도구 설계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8 박수홍.정주영.류영호(2008).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Capstone Design) 교수활동지원모형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20(2), 184-200.
19 백윤수 외(2006). 대학 신입생 공학설계과목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성과. 공학교육연구, 9, 1-16.
20 송신철.한화정.심규철(2017).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공학 설계 과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835-846.   DOI
21 Anwar, S., & Granlund, E.(2003). Enhancing a Freshman level engineering design course through project based learning. In Proceedings of the 2003 ASEE Annual Conference and Exposition: Staying in Tune with Engineering Education (pp. 9545-9554).
22 신창범.권오성(2014). 캡스톤 디자인의 디자인 교육 응용 사례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33-42.
23 유선중(2020). 사례기반학습법을 적용한 기계공학 교과목 설계:라미네이터 장비 제작. 공학교육연구, 23(5), 61-67.   DOI
24 이건상.김강(2012). 창의적 공학설계방법론 교육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5(4), 94-100.
25 이상원(2010). 다학제 융합 종합설계 교육.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4524-4527.
26 이영태.박진석(2014). 공학교육인증에서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표 평가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7(1), 42-49.   DOI
27 김문수(2011). 문제기반학습모형에 근거한 공학회계의 웹기반 실습시스템 개발. 공학교육연구, 14(14), 55-63.
28 유경현(2020). 6-sigma 방법론을 적용한 종합설계 교육모델 개발. 공학교육연구, 23(4), 28-36.   DOI
29 권성규(2019). 개념설계에 치중하는 기초설계 과목 개발. 공학교육연구, 22(2), 16-27.   DOI
30 김대수(2016). 창의공학설계. 생능출판사.
31 김민웅 외(2016). 창의적 공학 설계 활동에서 팀 규모에 따른 팀 상호작용 분석. 공학교육연구, 19(4), 14-23.
32 강소연 외(2005). 공학교육에서의 PBL 수업의 효과 연구. 공학교육연구, 8(2), 24-34.
33 김태훈(2015). 전문가 인식 조사에 의한 공학 설계 능력의정의 및 하위 영역과 요소 도출. 공학교육연구, 18(3), 24-32.
34 김혜영(2013).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고 설계에 대한 제언. 교양교육연구, 7(2), 11-38.
35 김희목.지찬수(2019). 창의적 설계 기반의 수업 설계 및 적용. 현장과학교육연구, 13(3), 319-338.
36 조연순(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7 유지원(2014).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89-110.
38 윤린.김인선.최병욱(2011). 융합교육의 현황 및 향후 방향: 한밭대학교 사례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3), 55-60.   DOI
39 장용철.김건국.김민철(2013). 창의설계입문의 PBL (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충남대학교 환경공학분야 사례. 공학교육연구, 16(2), 78-85.
40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6). 공학인증기준 2005 (KEC 2005), ABEEK-2006-AB-020.
41 ABET - Criteria for Accrediting Engineering Programs, 2011 - 2012 http://www.abet.org/eac-current-criteria/(accessed Jan. 21, 2012).
42 Archer, J. S.(1965). Consistent matrix formulations for structural analysis using finite-element techniques. AIAA journal, 3(10), 1910-1918.   DOI
43 Asimow, M.(1962). Introduction to desig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4 Dym, C. L. et al.(2005). Engineering design thinking,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4(1), 103-120.   DOI
45 Ford, R. M., & Coulston, C. S.(2009). 공학 설계상의 원리와 실제. 장준호 외 역. 한티미디어.
46 Reswick, J. B.(1965). Prospectus for engineering design centre. Cleveland. OH: Case Institute of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