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taegus pinnatifida BUNG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초

야생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가 이상지질혈증 흰쥐의 간 기능 대사효소의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al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on Hepatic Functional Enzyme Activity in Dyslipidemic Rats)

  • 성종환;김민아;;김한수;이영근;김동섭;정헌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6-182
    • /
    • 2014
  •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이상지질혈증에 있어서 간 조직 및 간 기능 대사효소의 활성 변화 등에 생리적 효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인 NND군, 대조군에 산사 추출물을 섭취시킨 NNDH 군, 이상지질혈증군인 CDD 군, 이상지질혈증군에 산사 추출물을 섭취시킨 DDH 군으로 나누어 5주간 실험 사육하였다. ALP(alkaline phosphatase), LDH(lactate dehydrogen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T(alanine aminotransferase) 활성은 모두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NND 군과 NNDH 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지질혈증군인 CDD 군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이상지질혈증군에 산사 추출물을 섭취시킨 DDH 군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조직학적 검사는 NND 군과 NNDH 군에서는 어떠한 이상 소견도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CDD 군에서 지방 세포의 수와 크기증가, 지방 변성 및 염증 세포 등이 관찰되었고, DDH 군에서 지방 세포의 수와 크기가 줄어들었으며, 지방 변성 등이 감소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산사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 분해 작용과 간 기능 개선 효과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간 보호 기능성 물질로서 활용 가능성이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산사 및 가자 에테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ether extract i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and Terminalia chebula Rets)

  • 김정숙;이기동;권중호;윤형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3호
    • /
    • pp.203-207
    • /
    • 1993
  • 탈지된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및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로부터 유리형, 용성 에스테르형 및 불용성 페놀성분을 추출하여 대두유 기질에서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BHA 및 BHT와 비교하고, HPLC에 의해 항산화성 물질의 패턴을 확인하였다. 과산화물가와 TBA가에 의해 측정된 항산화 효과 비교실험은 $45^{\circ}C$에서 25일간 실시되었는데, 산사와 가자 추출물은 BHA 및 BHT보다 아주 우수한 항산화성을 보였으며, 특히 가자는 산사보다 다소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추출 성분들 중에서는 산사는 유리형, 가자는 용성 에스테르형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 추출물에 대한 크로마토래피에서 산사의 유리형 페놀산은 3개의 성분으로, 용성 에스테르형 및 불용성 페놀산은 각각 2개의 성분으로 나타났으며, 가자의 경우에는 모든 추출물들이 각각 3개의 성분으로 분리되었다.

  • PD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root extract induces apoptosis of murine lung carcinoma cells in vitro

  • Minjeong Kwon;Jongbeom Chae;Ju-Ock Nam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99-304
    • /
    • 2023
  •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root extract (CPE) on murine Lewis lung carcinoma cells (LLC1) in vitro. CPE treatment (2.5, 5, 10 ㎍/mL, 24 h) of LLC cells led to a dose-dependent decrease in cell viability, while CPE treatment did not have a cytotoxic effect on non-cancer cells (NIH/3T3). CPE affects LLC by flipping the plasma membrane and making the membrane more permeable; by flow cytometry, CPE-induced annexin V and propidium iodide positivity, indicating induction of apoptosis in LLC cells. In addition, CPE enhanced the expression of apoptotic proteins caspase-3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1 (PARP-1). CPE upregulated the proapoptotic protein BCL-2-associated X while downregulating the anti-apoptotic protein B-cell lymphoma 2 (BCL-2), suggesting that CPE induces apoptosis via the mitochondrial pathway. Furthermore, CPE upregulated the phosphorylation of the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p38.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PE has an anticancer effect in LLC cells by inducing apoptosis via p38.

아가위(Crataegus pinnatifida Bunge)로 부터 HS 68세포의 MMP-1에 대한 저해활성 물질의 분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MP-1 Inhibitor Peptide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in Fibroblast Cell Line HS68 Cells)

  • 이세영;전혁;조홍연;안정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60-65
    • /
    • 2003
  • 피부노화는 크게 생리적 노화(chmnological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나누어 진다. 진피세포와 표피세포에서 광노화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분비량이 증가하면서 MMP와 TIMP(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의 균형을 깨뜨려 진피층을 붕괴가 유도된다. 본 연구는 광노화 및 암 전이 과정, 관절염 등 여러 질병에서 주목받고 있는 MMP-1의 생성 억제활성물질을 120여종의 식용식물(edible plants)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정제물질의 일부 물리화학적 성질을 규명하였다. 표피세포(HaCaT)와 진피세포(HS68) 세포주를 이용하여 다양한 강도의 UVB를 조사하여 생성되는 MMP-1의 양과 감수성을 검토한 결과 HS68에서 UVB의 조사량에 비례하여 MMP 분비량이 증가되는 반면, HaCaT세포의 MMP 분비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MP-1 생성량이 가장 높은 UVB 조사량은 35 $mJ/cm^2$ 내외이었고, UVB조사 후 분비되는 MMP-1의 양은 36-48시간대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MMP-1의 생성 억제활성을 검색한 결과 아가위(Crataegus pinnatifida Bunge)의 냉수분획층(CP)에서 최대활성을 나타내었다. CP를 periodate 산화 처리에서는 변화가 없으나 pronase 처리시 활성이 감소되는것으로 단백질이 활성의 본체임을 확인하였다. 정제는 CP의 ultrafiltration처리, DEAE-Tayopearl 650c, Butyl-Tayopearl 650M의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프와 Bio-Gel P-30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프 통해서 MMP-1 억제 활성 분획층 CP-2Va-2를 정제하였다. CP-2Va-2의 MMP-1억제활성은 88.5%이었으며, 분자량은 HPLC로 확인한 결과 19kDa, SDS-PAGE에서는 20 kDa 확인됨으로써 monomer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야생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과육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Impa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Wild Haw(Crataegus pinnatifida Bunge) Pulp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 ;김민아;성종환;이영근;김동섭;정헌식;김한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92-399
    • /
    • 2014
  • 산사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의 특성을 알아보고 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methanol(CM, 2:1, v/v), n-butanol 및 ethyl acetate(EA)의 5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 활성 측정을 통하여 산사의 항산화 활성 및 천연 기능성 식품 재료로서의 가치를 검토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사 과육의 total phenol 함량은 70% methanol, 70% ethanol, CM, EA, n-butanol 추출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70% methanol 및 70% ethanol 추출물은 각각 71.46 mg/g, 70.41 mg/g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Total flavonoid 함량은 CM(1.63 mg/g), n-butanol(1.59 mg/g), 70% methanol(1.26 mg/g), 70% ethanol(1.26 mg/g) 및 EA(1.12 mg/g)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NO_2$ radical 소거 활성은 total phenol 함량과 동일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beta}$-carotene에서의 항산화 활성은 70% methanol, 70% ethanol, n-butanol, CM, EA 추출물,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은 70% methanol, 70% ethanol, CM, n-butanol, EA 추출물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70% methanol 및 70% ehtnaol 추출물에서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산사 속에 함유되어 있는 total phenol 및 flavonoid와 같은 항산화 성분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total phenol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산사는 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ruit)

  • 박성진;권성필;나영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158-116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아가위 열매(Crataegi fructus)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미백 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기능성 미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1.31 m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5.42 mg/g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1,000{\mu}g/mL$에서 85.80%,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7.3%, 환원력은 0.31로 나타났다. Melanoma 세포에 대한 아가위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최대 허용농도는 $100{\mu}g/mL$으로 확인되어 세포독성이 미약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저해능은 $50{\mu}g/mL$에서 8.5%,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은 $1,000{\mu}g/mL$에서 46.83 %를 나타내었다. 아가위 열매 추출물은 약재와 식용 및 약용식물로 이용되는 여러 천연물보다 다량의 페놀화합물 및 각종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추후 용매별 분획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지표성분의 확인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제품의 첨가제나 천연 항산화 소재 및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산사자 추출물의 트롬빈 저해활성 (Thrombin Inhibition Activity of Fructus Extract of Crataggus pinnatifida Bunge)

  • 류희영;김영관;권인숙;권정숙;진익렬;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35-539
    • /
    • 2007
  • 식용 및 약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산사자의 유용 생리활성 검토를 목적으로 산사자 추출물 및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내의 혈전 생성에 직접 관여하는 인간 트롬빈의 thrombin time(TT) 및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 증가 활성을 측정하여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산사자의 항혈전 물질은 물 추출보다는 메탄을 추출이 적합하며(추출효율 40.4%), butanol 분획에서 가장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사자의 butanol 분획물은 1.25 mg/ml의 농도에서 835%의 TT 증가, 315%의 aPTT 증가를 보여 아스피린보다 2.9배 이상의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혈전 활성은 기존의 보고된 quercetin, kaempferol, myricetin 및 rutin과는 무관하였다. 또한 산사자의 활성물질은 0.5 N HCl 처리시 120분 이상 안정하였으나, $100^{\circ}C$, 30분 열처리에는 85% 이상의 활성소실이 나타나 열에 매우 민감한 물질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비열 처리와 적합한 가공 공정이 가능하다면 산사자 추출물이 혈액순환 장해 및 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산 식물의 항균활성 검색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from Korean Plants)

  • 최원균;김용성;조규성;성창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0-306
    • /
    • 2002
  • 한국에서 자생하는 125종의 식물에서 추출한 141가지 메탄을 추출물들에서 식품부패미생물인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aerogenes 그리고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Bacillus subtilis에 대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보인 것은 오미자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대황이,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서는 산사가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금은화는 Bacillus subtilis를, 산사는 Staphylococcus aureus를, 모과와 황금은 Pseudomonas aeruginosa를, 모감주나무꽃, 밤나무꽃, 장미꽃과 파꽃은 Enterobacter aerogenes를, 오미자는 Escherichia coli를 제외한 나머지 4가지 균주에 모두 항균력이 있었다.

Fruit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the Fruit of Hawthor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Selected from Korea and Chinese Cultivars

  • Park, Young-Ki;Hwang, Suk-In;Lee, Moon-Ho;Jang, Yong-Seo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3-227
    • /
    • 2010
  • In order to select superior tree from Korea, five major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epicatechin(EC), chlorogenic acid (ChA), hyperoside (HP), isoquercitrin (IQ), and procyanidin B2 (PC-$B_2$) in hawthorn fruit were evaluated. We also compared these hawthorn fruits of five clones with Chinese hawthorn cultivars. HPLC with a diode-array detector was us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the individual compounds. Hawthorn fruits of five clones (selected from different area of Korea), and four Chinese hawthorn cultivars grown in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uwon) were utilized. With their high functional components, Jungsun is the clone including the highest contents of EC (11.26 mg/g) and PC-$B_2$ (24.46 mg/g). The clone of Chuncheon 15 had highest HP (0.53 mg/g) and IQ (0.41 mg/g). From the results, the clone of Jungsun and Chuncheon 15 can be evaluated to be selected breeding material for cultivar development.

산사 분획의 혈관이완 활성과 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Vasodilatory Effect of the Fractions from Crataegus pinnatifida and Isolation of the Active Component)

  • 최호정;신동훈;김길훤;신흥묵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235-1242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investigation of vasodilatory effect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and for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the constituent from the active fraction. The fruits of this herbal drug were extracted with 80% methanol, then fractioned successively with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and n-butanol. Among the fractions, ethyl acetate fraction exhibited the most effective vascular relaxation against phenylephrine-induced arterial contraction. In order to isolate the active constituent by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this fraction was chromatographed on silica gel to yield seven subfractions. Among the subfractions, the active one showing the most potent vascular relaxation activity was further separated by prep. HPLC with reversed phase Microsorb C-18 column using 1 % acetic acid and methanol gradient solvent system to afford one pure compound, which revealed a potent vasodilatory effect. Instrumental analyses (NMR and mass spectrometry) of the isolated constituent indicated this compound to be (-)-epicatechin. The vasodilatory action mechanism of this compound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