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rse-based assessment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2초

Course Embedded Assessment 기반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체제 개발 (Development of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Nursing Education)

  • 남성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5-14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nursing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the developmental research method. Resul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rogram outcom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2) The Course Embedded Assessment matrix was made according to program outcomes' weight, the curriculum-organizing principle, and achievement levels. 3) The Course Embedded Assessment rubric was developed in logical process, and consisted of a performance criterion, and rating scale. The content validity index of the Course Embedded Assessment rubric was 0.85. 4) An evaluation guideline and 12 documents were developed to facilitate the performance of the assessment system. 5) The average content validity index of the Course Embedded Assessment-based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was as high as 0.89. Conclusion: A Course Embedded Assessment-based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is more suitable for accreditation of nursing education than previous studies. Because this system evaluates the process of achievement as well as program outcomes, the results can also serve as immediate feedback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ocess. Above all, this system facilitates that students check their achievements and strive to acquire core competencies in nursing.

교과기반평가를 위한 성과중심 교과목 평가설계모형 개발 (Development on the model of outcome-based course evaluation design for Course-Embedded Assessment)

  • 김혜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6호
    • /
    • pp.24-3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del of course evaluation design for CEA(Course-Embedded Assessment), which is focused on course level for assessment relia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process of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according to Richey & Klein(2007)'s model development methodology. The model of this study was comprised with the three steps of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course outcome, assessment design and goal achievement analysis of course, which were explained by specific design principles. Also, this model was validated by two steps, which one was on the inner validation and the other was the outer validation(Richey & Klein, 2007).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the model of course evaluation have been suggested and a few implications were discussed.

공학교육인증을 위한 정보보호학 프로그램의 교과 기반 학습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urse-Embedded Assessment for Program Outcomes of Information Security Program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 정원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83-19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육인증제를 운영하는 정보보호학 프로그램에서 교과 기반의 학습성과 평가 체계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재학생들이 졸업 시점에 갖추어야 하는 핵심 성과인 프로그램 학습 성과에 대한 달성도를 평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교과 기반 학습 성과 평가 사례에서는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학습 성과를 설정하고, 교과 기반 평가 자료를 포함한 직간접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학습 성과 평가 체계를 기술한다. 그리고 교과기반 프로그램 학습 성과 평가를 위한 루브릭 및 평가 절차, 수행 준거의 설정, 이수 체계에 따른 프로그램 학습 성과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탐침(Probe) 교과목의 선정, 탐침 교과목에 대한 교과목 학습 목표의 설정 및 성취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 도구별 루브릭을 설명한다. 이어 탐침 교과목의 학습목표별 필기시험 및 프로젝트 평가 도구의 문항을 기초로 교과기반 학습 성과 평가를 수행하고, 평가 결과로부터 성취도 수준의 분석과 개선 사항 도출하는 과정을 보임으로써 제안하는 교과 기반 학습 성과 평가 방안의 효용성을 입증한다.

컴퓨터·정보공학 분야의 교과기반 학습성과 평가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Course-Embedded Assessment for Program Outcomes in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Engineering)

  • 조수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3-8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정보공학 분야의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교과기반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한 경험과 교훈을 소개한다. 최근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은 정부로부터 몇 가지 조건의 충족을 전제로 공학교육 분야의 프로그램 인정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다. 그 조건들 중 하나는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교과기반 평가를 실행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정보공학 분야의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교과기반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사례연구는 기초 프로젝트 교과목에서 실시되었고, 프로젝트 교과목에서의 특별한 평가 기법들이 포함되었다. 기초 프로젝트에서의 교과기반 평가 사례연구는 해당 교과목과 밀접히 연관된 학습성과의 설정, 지필고사 및 프로젝트기반 평가와 같은 평가도구의 선택, 평가기준의 설정, 교과기반 평가의 실행 및 평가결과에 대한 분석과 같은 각 단계를 고려하여 제안된다. 제안된 방법은 컴퓨터 정보공학 분야의 교과기반 평가 전략을 세우기 위한 좋은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역량기반 학습성과 평가 시스템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링 및 알고리즘 설계 (Data modeling and algorithms design for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System)

  • 정현숙;김정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35-344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교과기반 학습성취평가 시스템 구현을 위한 교과 데이터 모델 및 학습 성취도 산출 알고리즘 개발이다. 현재 대학 교육의 방향인 역량기반 교육을 위해서는 교과기반 학습성취 평가가 필수적이지만 기존 연구들은 교육학적 관점으로서 컴퓨터 시스템 관점의 해결책이 매우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코스맵 데이터 구조 분석을 통해 계층 구조의 학습성과 모델, 학습모듈 및 학습활동 모델, 학습성과와 학습활동 연계 매트릭스 모델 및 자동화된 성취도 산출 및 성취수준 평가를 위한 성취도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교과기반 학습성취 평가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으며 시스템 활용을 통해 학습자의 역량 성취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안된 모델과 알고리즘의 평가를 위해 실제 운영중인 자바프로그래밍 교과목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과기반 학습성과 성취평가 시스템 구현의 핵심요소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는 학습성과 성취도 산출을 기반으로 적응형 학습 피드백과 개인화된 학습 추천 알고리즘 개발 및 시스템 구현이다.

A Study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design courses-Based on PJBL(Project Based Learning) - An analysis of a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in China -

  • WANG LEI;Choi Wonjae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5호
    • /
    • pp.88-101
    • /
    • 2023
  • As the definition and role of design changes over time with the times and society, design education needs to update teaching methods to match it. The course design in this study began with an optimisation of the learning model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analysis,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the application of the interview results to the final curriculum design, and finally a questionnaire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s of this teaching model. This teaching model has been applied to teach a pilot class in a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in China.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design are Project-Based Learning (PJBL) oriented, team cooperation centric, and an educational model developed based on peer assessment. In every stage of the UI design course, realistic project simulations are adopted, enhancing students' abilities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teamwork, and peer assessment. The innovation lies in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and advantages of this model at every stage of the UI design course, innovating existing teaching methods, optimizing learning models, and combining practice with evalu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a project-oriented team course design based on PJBL has a high degree of effectiveness and relevance in each stage of the UI design course, significantly improving students' overall compete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to the course design of the courses that similar to design majors.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기반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Program Outcomes Based on Capstone Design Course)

  • 이희원;김성환;박근;김정엽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43-151
    • /
    • 2010
  • 본 논문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구 서울산업대학교) 기계설계자동화공학부에서 16년간의 캡스톤디자인 운영경험과 개선을 바탕으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기반의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평가 사례에 대해 서술하였다. 우선, 캡스톤디자인 교과목과 관련된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소개하였고, 평가 방법 및 항목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2008년도의 학습성과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를 분석한 후 개선 전략을 수립하였다. 전략으로서 학생들에게 심사 기준과 모범사례를 온라인상에 미리 공개하였고, 그 결과 2009년도에는 전반적으로 약 3.3% 개선된 학습성과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코스 임베디드 평가 개념 측면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이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의 타당성, 효율성, 내실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교과목 성취도에 근거한 학습성과의 평가 -시험과 보고서를 위주로 (Course Embeded Program Outcome Assesment-Based on the Exams and the Reports)

  • 박윤국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62-66
    • /
    • 2006
  • 공학인증을 시행한 지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인증에 가장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하나인 학습성과의 평가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은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가지는 어려움들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한 방편으로 교과목과 학습성과의 연관성에 근거하여 해당 교과목이 어떤 학습성과를 성취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정한 후, 한 학기동안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 치룬 시험과 제출한 보고서를 근거로 하여 학습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또한 학기말에 해당 교과목 담당교수가 작성하여야 할 CQI보고서의 작성 예를 통하여 이에 대한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학습성과의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서 개인 능력을 반영하는 공정한 평가 방법 (Fair Assessment Method Reflecting Individual Ability in Capstone Design Course)

  • 김종완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6-45
    • /
    • 2019
  • Capstone design is a subject taught in a setting where students gather in a team, decide on their own selected topic, and collaborate with one another to perform a project. A fair assessment is very important in a team project-based capstone design course for students. Many instructors agree that harmonizing creative evaluation and outcome assessment is hard in capstone design class. In also, it is not easy to assess students' individual efforts and achievements fairly in accordance with team-based assessment practices. To resolve this issue in this paper, we have surveyed various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methodologies, and have modelled existing evaluating elements into a modified creative process and outcome assessment framework for team project assessment. In particular, we focused on a method of fairly assigning credits by combining team based and individual-level assessments. Analyzing students' achievement and grade evaluation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performed.

Comparing the Use of Self and Peer Assessment: A Case Study in a Statistics Course

  • Han, Kyung-Soo;Mun, Gil-Seong;Ahn, Jeong-Yo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6호
    • /
    • pp.979-987
    • /
    • 2009
  •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assessments made by self, peer and instructor in a statistics course. The goal is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two questions: (1) Is it reasonable or fair to expect students to be responsible for assessing the work of their colleagues and themselves? (2) What are students' opinions about the learning effect after they participate in the assessment process? As part of the study investigating these questions, we designed a prototype for a Web-based assessment tool and a procedure to apply the assessment techniques in a statistics course. In addition,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produced in the assessment processes from students and the instructor.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 assessment was not accord with instructor assessment, but peer assessment was similar to the assessment by instructor. This result reflected that it is reasonable or fair to expect students to be responsible for assessing the work of their colleagues. Second, peer assessment of their colleagues successfully helped students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urse, and the students increased their skills in the actual assessment process by assessing the work of their colleagues. Finally, many students indicated a high interest level on the assess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