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terfactual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초

과제특성에 따른 유아의 반사실적 연역추론 (Children's Counterfactual Reasoning According to Task Conditions)

  • 정하나;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1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ounterfactual reasoning which children undergo, based on mental model theory and dual process theory. The subjects were 120 four-year-olds and 120 five-year-olds from Ulsan. Counterfactual reasoning task conditions were created, including task type and content, which were type 1-specific, type 1-general, type 2-specific, type 2-general. There were two stories used for each task condition. Children's counterfactual reasoning score range was 0 to 8.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by mean, standard deviation, one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s of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counterfactual reasoning was above chance level regardless of the task condition. Second, children's counterfactual reasoning was lowest when type 1-specific or type 2-specific tasks were given, slightly higher when type1-general tasks were given, and the highest when type 2-general tasks were giv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year-old and 5-year-old children's counterfactual reasoning.

어머니의 반영기능과 유아의 상위수준 사고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실행기능과 반사실적 사고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Ser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s and Counterfactual Thinking on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 이윤정;임지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2호
    • /
    • pp.131-148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Participants included 293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n Daegu city and Gyeongsang province. Th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reflective functioning,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reative thinking.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preschoolers' critical thinking and caring thinking. Preschoolers' counterfactual thinking was measured by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25.0. Path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used with AMOS 25.0 program. Also, specific indirect effect were analyzed using AMOS user-defined estimand function.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critical thinking and caring thinking through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however,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had no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creative thinking through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This study revealed that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need to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o explain the level of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The results highligh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and counterfactual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higher-order thinking.

Counterfactual image generation by disentangling data attributes with deep generative models

  • Jieon Lim;Weonyoung Jo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30권6호
    • /
    • pp.589-603
    • /
    • 2023
  • Deep generative models target to infer the underlying true data distribution, and it leads to a huge success in generating fake-but-realistic data. Regarding such a perspective, the data attributes can be a crucial factor in the data generation process since non-existent counterfactual samples can be generated by altering certain factors. For example, we can generate new portrait images by flipping the gender attribute or altering the hair color attributes. This paper proposes counterfactual disentangled variational autoencoder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CDVAE-GAN), specialized for data attribute level counterfactual data generation. The structure of the proposed CDVAE-GAN consists of variational autoencoders and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Specifically, we adopt a Gaussian variational autoencoder to extract low-dimensional disentangled data features and auxiliary Bernoulli latent variables to model the data attributes separately. Also, we utilize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to generate data with high fidelity. By enjoying the benefits of the variational autoencoder with the additional Bernoulli latent variables and the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the proposed CDVAE-GAN can control the data attributes, and it enables producing counterfactual data. Our experimental result on the CelebA dataset qualitatively shows that the generated samples from CDVAE-GAN are realistic. Also, the quantitative results support that the proposed model can produce data that can deceive other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with the altered data attributes.

대학생이 지각한 전공에 대한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 전공 만족, 취업불안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년 간 차이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in Academic Majors, Academic Major Satisfaction, and Job-seeking Anxiety and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Differences between Grade Levels)

  • 김다인;안도희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3호
    • /
    • pp.355-37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전공에 대한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 전공 만족 및 취업불안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학년(저학년, 고학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소재한 A대학교 58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공에 대한 사후가정 사고(전공 관련 학업 측면, 전공 관련 취업 측면)는 전공 만족에 유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취업불안에는 전공 관련 취업 측면의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가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만족은 취업불안을 감소시키고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불안은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간 관계모형에서 전공에 대한 학업 측면의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가 전공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취업불안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에서 학생들의 행복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도예측모형에서 도메인 지식을 통합한 반사실적 예시 기반 설명력 증진 방법 (Domain Knowledge Incorporated Counterfactual Example-Based Explanation for Bankruptcy Prediction Model)

  • 조수현;신경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2호
    • /
    • pp.307-332
    • /
    • 2022
  • 부도예측모형은 여러 금융기관의 신용평가모형의 지식기반(knowledge base)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머신러닝 기법의 발전으로 이를 도입하여 고도화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실제 이러한 모형이 도입되기 위해서는 모형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설명제공 대상인 고객의 이해와 수용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설명이 현실적 타당성(feasibility)이 결여되어 있다면 모형의 신뢰성과 수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도메인 지식을 설명 생성 알고리즘에 통합하여 현실적으로 타당한 설명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반의 부도예측 모형에 설명력을 더하는 방법으로 반사실적 예시(counterfactual example) 기반의 로컬영역에서의 설명을 제공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모형에 이용된 재무변수의 특성을 설명력 생성 알고리즘에 통합하여 설명의 현실적 가능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해와 수용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반사실적 예시기반 설명을 위해 유전알고리즘(GA)를 이용하며 다목적함수를 목적함수로 설정하여 반사실적 예시의 주요 기준이 되는 항목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머신러닝 기법인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부도예측모형을 학습시킨 뒤, 사후적 방법(post-hoc)으로 설명을 위한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기존의 모형 설명 알고리즘인 LIME과 현실적 가능성이 결여된 반사실적 예시 기반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제안방법의 금융/회계 분야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진행하여 제안 방법의 설명의 질을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Assessing the Economic Impact of Covid-19 through a Counterfactual Analysis

  • Hongjai Rhee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8권1호
    • /
    • pp.69-94
    • /
    • 2024
  •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unprecedented disruptions across industries worldwid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conomic impact of the pandemic on the sales performance of basic commercial areas in Seoul, Korea. Using a regression analysis with credit card transaction data, the study underscores the critical nature of determining the reference point for comparison. Firstly, in comparison to the revenue in the same quarter before the onset of the pandemic, a significant decrease in revenue was observed across most categories during the pandemic periods. Secondly, when compared to the counterfactual revenue in the same period, extrapolated by an exponential smoothing forecasting, the overall revenue decrease during the periods was less pronounced, except in a few categories. Interestingly, certain categories appeared to witness marginal increases in sales after the pandemic. The paper discusses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양(quantity), 정도(degree), 가능세계 - 부사 '거의'의 어휘의미를 중심으로 - (Quantities, Degrees, and Possible Worlds - Lexical Semantics of Korean Adverb '거의(geoui)')

  • 김신회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5권2호
    • /
    • pp.47-65
    • /
    • 2011
  • A Korean adverb '거의(geoui)' modifies predicates to generate complex predicates which have meanings of 'nearly' complete or typical properties of the modified predicates in quantities, degrees, and frequencies. The modified predicates 'complete' or 'typical' properties are referred counterfactually as standards for the generated predicates' meanings of deficiencies. These counterfactual standards can be formalized by a counterfactual conditional operator of the intensional semantics in Cresswell(1990). The deficiencies in the quantities, degrees, or frequencies of the properties can be expressed formally introducing a world-independent measure of comparison. The measure can be manufactured out of relations between intensional things at indices and their equivalence classes. The world-independent measure of comparison has a semantic structure under-specified in quantity, degree, and frequency, and seems very well-suited in describing lexical meaning of '거의(geoui)'. The lexical-semantic analysis of '거의(geoui)' shows explicitly the plausibility of the indispensable existence of the comparing measure which works across real and counterfactual worlds in natural language meaning. On the other hand, we examined Kim, young-hee(1985)'s proposal of a transition of quantificational meaning for Korean degree adverbs, where he tried to explain the quantificational meaning of Korean degree adverbs in general including '거의(geoui)' with several syntactic and semantic constraints of 'contextual deletion'. But it is shown that the quantificational meanings of the degree adverbs which Kim(1985) discussed are also explained better by their under-specified meanings in quantities, frequencies and degrees with the world-independent measure of comparison applied to their paradigmatic lexical constraint rather than Kim(1985)'s transition of meaning.

  • PDF

피고인의 성격증거로 유도된 편향 감소 방안 (Debiasing the biases induced by defendant's character evidence)

  • 고민조;박주용
    • 한국심리학회지:법
    • /
    • 제11권1호
    • /
    • pp.63-87
    • /
    • 2020
  • 판단과 의사결정 연구에서 사람들이 판단 대상과 무관한 정보에 의해 영향을 받아,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편향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런 편향은 법적 판단에서도 나타난다는 연구도 많다. 그 중 하나는 피고인의 성격증거에 의해 유도된 편향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증거로 편향을 유도한 다음, 판단자의 사고를 촉진하는 활동을 통해 편향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실험 1에서는 대학생 121명을 대상으로 하여 토론, 반사실적 사고와 토론, 그리고 반사실적 사고와 동료평가를 한 경우로 나누어 어떤 방법이 피고인의 성격증거로 유도된 편향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탈편향 활동을 한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편향이 줄어들었지만, 세 가지 다른 탈편향 활동을 한 집단들 간에는 감소량에서 차이가 없었다. 동일한 설계와 절차로 일반인 1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 2에서는, 대학생 집단과는 달리, 반사실적사고와 토론을 병행한 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편향이 줄어들었다. 종합 논의에서는 대학생과 일반인 간에 왜 이런 차이가 나타났는지에 대한 탐색과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다루었다. 본 연구는 탈편향 전략이 피고인의 성격증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판을 축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김성수 교수의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한 변호와 그에 대한 반론 (Objections to Sungsu Kim's Defense of the Active Route Account)

  • 김세화
    • 논리연구
    • /
    • 제18권1호
    • /
    • pp.133-153
    • /
    • 2015
  • 김성수 교수는 최근 논문 "반사실적 인과론과 인과 구조식 접근법: 활성 경로 이론의 재검토"에서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한 변호를 펼친다. 활성 경로 이론은 반사실적 인과론의 핵심적 직관을 유지하면서 '실제로 벌어진 정황'에 주목함으로써 반사실적 인과론에 제기된 반례들을 극복하고자 제시되었다. 그러나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해서도 반례가 제기된 바 있다. 김성수 교수는 이 반례를 반박함으로써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한 변호를 펼치는데, 본 논문에서 필자는 김성수 교수의 반박이 성공하지 못했음을 밝힌다.

  • PDF

김세화 교수의 반론과 활성 경로 이론의 제한 및 확장 (The Active-Route Account Restricted and Expanded: A Reply to Seahwa Kim's Criticisms)

  • 김성수
    • 논리연구
    • /
    • 제18권2호
    • /
    • pp.265-289
    • /
    • 2015
  • 인과 관계가 결과와 원인 간의 반사실적 의존 관계로 분석될 수 있다는 직관은 설득력이 있다. 활성 경로 이론은 단순한 형태의 반사실적 인과 이론의 문제점을 피하면서도 이 직관을 유지하기 위해 제안된 이론이다. 하지만 이 이론 역시 심각한 반례에 직면한다. 김세화 교수는 최근의 논문에서 이러한 반례를 반박하고자 제시된 기존의 해결책이 갖는 문제점을 설득력 있게 비판하였다. 이 논문은 김세화 교수의 비판을 논의하고 더 나아가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한 반례를 극복할 수 있는 또 다른 해결책을 논의한다. 특히 활성 경로 이론의 적용 범위를 제한하고 이렇게 제한된 이론을 다시 확장하는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활성 경로 이론을 그 반례로부터 방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