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in Academic Majors, Academic Major Satisfaction, and Job-seeking Anxiety and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Differences between Grade Levels

대학생이 지각한 전공에 대한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 전공 만족, 취업불안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년 간 차이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in academic majors, academic major satisfaction, and job-seeking anxiety on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along with the grade levels(the lower and upper grades). The participants were 581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in academic majors (related to schoolwork and job-seeking) ha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major satisfaction.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in academic majors related to job-seeking had positive effects on job-seeking anxiety. Academic major satisfaction decreased job-seeking anxiety, and promoted happiness. Job-seeking anxiety had negative effects on happiness. In the path model between variables,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ade were found in the influence of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in academic majors related to schoolwork on major satisfaction and in the influence of job-seeking anxiety on happines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select interventions that would foster happi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전공에 대한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 전공 만족 및 취업불안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학년(저학년, 고학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소재한 A대학교 58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공에 대한 사후가정 사고(전공 관련 학업 측면, 전공 관련 취업 측면)는 전공 만족에 유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취업불안에는 전공 관련 취업 측면의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가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만족은 취업불안을 감소시키고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불안은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간 관계모형에서 전공에 대한 학업 측면의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가 전공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취업불안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에서 학생들의 행복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