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material

검색결과 593건 처리시간 0.028초

The Synthesis and Safety of 3-Aminopropyl dihydrogen phosphate, a New Anti-aging Agent

  • Pyun Young Hoon;K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4-181
    • /
    • 1996
  • The novel synthesis of 3-aminopropyl dihydrogen phosphate(3-APPA; 3-Aminopropane phosphoric acid), and its applicability to the skin as a cosmetic raw material in terms of its efficacy and toxicology were presented. The phosphorylation of 3-amino-1-propanol was carried out via cyclization into 6-membered 2, 6-oxaza-phosphoryl ring in the presence of phosphorous oxychloried and an organic base. The subsequent ring-opening hydrolysis and crystallization afforded the highly purified product in 90% isoloated yield. The method is much superior to the previous literature phosphorylation methodsm, as the procedure is simple and high-yielding. To confirm the efficacy of 3-APPA, several activities related to anti-aging capacity were measured. In-vitro human fibroblast, linear and 3-dimensional collagen matrix culture revealed that 3-APPA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nd enhanced the synthesis of collagen, which showed 3-APPA's potency for skin wrinkle reduction. The toxicolgical aspect of 3-APPA was also extensively examined. In vivo toxicity tests such as acute oral toxicity, eye irritation, human patch, and the repeat insult human patch test proved 3-APPA to be a safe material. Thus 3-APPA can be used as an effective anti-aging agent for various cosmetic formulations.

  • PDF

Cosmetic Grinding의 재조명 (Cosmetic Grinding Revisited)

  • 이동환;정운호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4-142
    • /
    • 2015
  • 전치부 심미에 대한 관심과 접근은 환자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 시작되어 다양한 재료와 술식을 통해 발전해 왔다. Esthetic dentistry의 선구자라 불리우는 Charles Pincus의 1967년 글에서 잘 묘사되어 있듯이 심미치료의 시작와 끝은 환자에 의해 결정되어진다는 전제 조건은 진단과 치료계획단계에서 늘 우선 되어지는 부분이기도 한다. 술자의 입장인 치과의사들은 이러한 환자의 필요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메뉴를 환자에게 제시하게 된다. Pincus의 글에서 Cosmetic Grinding라고 표현되어졌던 가장 보존적인 접근은 minimal invasion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하면 매우 효과적인 심미 향상의 한 술식이라 할 수 있다. 몇몇 개의 임상 증례를 통해 cosmetic grinding의 심미 개선의 치료 술식으로서의 가치와 한계에 대해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구기자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aging Activity on Lycium chinense Miller. Extracts)

  • 이용화;김나연;조일영;이용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7-33
    • /
    • 2022
  • 본 연구는 구기자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얻어진 추출물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3 mg/mL이었으며,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결과 1000 ㎍/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항산화 효능 실험으로 DPPH radical 소거 시험을 실시한 결과 1000 ㎍/mL의 농도에서 84.97%의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SOD 유사 활성 실험 결과 1000 ㎍/mL에서 80.54%의 결과로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mL에서 50.93%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구기자 추출물이 elastase 저해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구기자 70% ethanol 추출물은 항산화와 주름 개선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tudy on preparation of chitosan microcapsule

  • Jae-Don. Cha;Lee, Cheon-Il.;Lee, Geun-Soo.;Kim, Tae-Hu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294-302
    • /
    • 2003
  • Unstable cosmetic active ingredients could be degraded rapidly by chemical and photochemical process. Particularly, some of active ingredients like retinol are known to cause skin irritation when applied on the skin excessively. Therefore, it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o encapsulate cosmetic actives for the stabilization and skin prote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epare a chitosan microcapsule containing liposoluble cosmetic actives and to investigate the stabilization effect of actives when chitosan microcapsule was applied in cosmetic formulation. Chitosan, deacetylated form of chitin, has been of interest in the industrial applications due to its biocompatibility, biodegradability, non-toxicity, antimicrobial activity and also used as a wall material of capsule. Retinol was used as a core material and was stabilized by a wall of chitosan and antioxidants. The chitosan microcapsule containing retinol(CMR) was prepared by using coacervation method and W$_1$/O/W$_2$ emulsification techniques. The CMR has 0.5~10.0 ${\mu}{\textrm}{m}$ size distribution and a long-term stability of more than an year inside the cosmetic formulation(O/W). Remaining retinol percentages at 45$^{\circ}C$ after 8 weeks in the CMR dispersion were 15.6%(pH 4.0), 59.8%(pH 6.0) and 65.0%(pH 6.0 with antioxidant) respectively. Retinol stability when added CMR inside a ONV emulsion was better than that of ONV emulsion added non-capsulated retinol. As a result, remaining retinol at 45$^{\circ}C$ after 8 weeks in O/W emulsion added non-capsulated retinol and O/W emulsion containing CMR was 12.7%, 70.5% respectively. It appeared that chitosan treated microcapsule may be used for a potential encapsulation method of unstable active ingredients.

  • PDF

유채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apeseed Meal)

  • 김선미;나명순
    • KSBB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92-98
    • /
    • 2013
  •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apeseed meal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Seventeen kinds of amino acid at rapeseed meal were found and glutamic ac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28.4 mg/g), followed by glycine, proline, arginine, isoleucine, and aspartic acid. Among various vitamins, cloline content was the highest (459.1 mg/kg), followed by niacin, tocopherol, and pantothenic acid. Among various fatty acids of rapeseed meal, oleic acid was the highest (36.7%), followed by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ethanol and acetone extract of rapeseed meal at 2.0 mg/mL were 80.4 and 78.9%, respectively. The methanol and acetone extracts of rapeseed meal were a stable at the range of pH 3-9 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maximum reducing powers of methanol and acetone extract of rapeseed meal at 4.0 mg/mL were 0.7 and 0.68 OD 700 nm, respectively. The maximum superoxide inhibition activities of hot water, acetone, and methanol extract of rapeseed meal were 70.2, 75.2, and 81.4%,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ethanol and acetone extract of rapeseed meal can be used as a new source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안정화 시스템의 연구 (The Study of Emulsion System Containing with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 최봉기;조희원;김효정;이주동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9-243
    • /
    • 2007
  • PFCs는 독특한 사용감과 특성으로 인하여 화장품에 응용되어질 때 많은 특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제형에 적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즉, 물과 오일에 불용성, 높은 비중, 높은 증기압 등과 같은 원료의 특징으로 인하여 PFCs는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특별한 안정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 PFCs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gel network, spherulite lamellar, nanostructure 이상의 세 가지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세 가지 시스템 중 nanostructure system이 가장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양하(Zingiber mioga)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검증을 통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유효성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Zingiber mioga extract as a Cosmetic Material through Verification of Cosmeceutical Activations)

  • 엄미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088-1099
    • /
    • 2020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양하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양하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리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실험을 하기 위해, 양하꽃 추출물 (ZMF)과 양하잎 추출물 (ZML)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acrophage (Raw 264.7)를 이용해 시료의 세포독성 평가와 nitric oxide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ZMF과 ZML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ZMF는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측정 결과 ZML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NO 저해능 측정 결과에 따르면 ZMF는 농도 의존적으로 NO가 저해되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냈다. ZMF의 pro-collagen type-1 합성량은 25 ㎍/ml에서 110%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MP-1 저해능은 25 ㎍/ml에서 20%의 활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ZMF는 주름개선용 화장품 소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평가 결과, 양하의 생리 활성 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남아시아지역의 천연 미백제의 연구 현황 (Potential Skin Whitening Agents of Natural Origin from South Asian Region)

  • 스마시 바비타;신정현;김은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
    • /
    • 2009
  • 남아시아 지역은 문화적, 사회적으로 흰 피부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이로 인해 미백화장품에 대한 요구가 크다. 합성물에 대한 우려 및 거부감으로 천연물중심의 원료가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도를 포함하는 남아시아 지역의 미백소재에 관한 문화, 사회적 배경과 최근 연구 개발 현황을 조사하였다.

RHEOLOGY - TEXTURE ANALYSIS: new keys for access to cosmetic formulation texture.

  • Roso, Alicia;Brinet, Riva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286-293
    • /
    • 2003
  • In cosmetic formulations, texture plays a key role in ingredient choice and formulation optimization. But texture parameters are often measured by sensorial analysis in the last stages of formulation development. Rheology or texture analysis, used separately, has the benefit of characterizing the behavior of raw materials (e.g. polymers) and controlling and predicting the stability of formulations. SEPPIC has developed rheology and texture analysis protocols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raw materials on the cosmetic texture of formulations. When used in combination, these two methodologies are complementary and provide useful data regarding the impact of raw material choice on all the development steps: manufacturing procedure, formulation stability, skin feeling.

  • PDF

후코이단의 분자량이 화장품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coidan Molecula Weight on Cosmetic Function)

  • 차성한;안명원;이정식;김영숙;김동욱;변태강;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4호
    • /
    • pp.604-609
    • /
    • 2012
  • 기능성화장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후코이단의 특성 및 후코이단 분자량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후코이단은 미역 포자엽에서 추출하였고 접촉글로우방전 전기분해(CGDE)방법에 의해 후코이단 분자량(35~160 kDa)을 조절하였다. 후코이단의 tyrosinase inhibition, 보습력, elastase 활성저해 효과와 항산화력(DPPH assay, radical scavenging)을 측정하여 화장품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후코이단의 보습력은 최고의 보습제 중의 하나인 히아루론산의 보습력보다 높았고, 분자량이 감소함에 따라 보습력이 약간 증가하였다. 주름개선 효과실험인 elastase 활성저해 효과 실험결과 표준 비교물질인 adenosine 보다 높은 elastase 활성저해 효과를 보였다. 최고의 tyrosinase 저해효과, elastase 활성저해 효과, 항산화력(DPPH assay, radical scavenging)을 갖는 후코이단의 분자량은 100 kDa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