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brand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8초

남성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집단별 화장품 구매행동 비교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Males Based on the Fashion Life Style)

  • 홍성순
    • 복식
    • /
    • 제57권2호
    • /
    • pp.29-4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male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the fashion lifestyle, to examine characteristics, needs and wants of each group, and to find out differences of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mong each group segment. After surveying 19-50 year old males by making a visit to college, company and home, 584 sampl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7.0) package program.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crosstabs and $X^2-test$ were used to analys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wenty-two questionnaires using AIO fashion lifestyle variables produced seven factors; oriented fashion, flaunting brand preference, active preference, information intention, strong personality, reasonable economy and others directivity. Three groups based on oriented seven factors: personality, fashion and economy. 2. The Personality group had strong personal characters in their fashion. Men in this group prefer casual style and were represented by singles and professionals in their 30's. The fashion group pursued fashion trends, formal wears, and high-priced fashions. They were represented by singles with high-income managerial positions in their 19-29 age group. The economy group represented the largest sample in this study(54.5%). Men in this group tended to purchase fashion goods during of good fabrics at discount stores. This group represented married man with average incomes in their 40's. 3. Each of these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The personality group mainly purchased cosmetics on-line market because of price. The Internet tended to be their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s. They spent under 10,000won and pursued a simple and clear image. The fashion group purchased cosmetics at department stores to benefit from the knowledge of sales personal and their source of informations in the mass media. They spent over 70,000won monthly and pursued also a simple and clear image. The economy group purchased cosmetics at discount stores because of their wide assortment of products. They spent under 30,000won monthly and pursued a simple and clear image. Each of these groups currently consume different products and have a different concept of future cosmetic products.

국내외 기업의 멸종 위기 동물 보호 캠페인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Protection of Endangered Species Campaign i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 이수지;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85-390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외 기업의 멸종 위기 동물 보호 캠페인 사례를 분석하고 개선점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소기업 이상의 국내와 해외 기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멸종 위기 동물 보호 캠페인 사례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에는 규모가 큰 환경 보호 단체와 협력하여 진행하는 프로젝트 중심의 캠페인이 주류를 이루었고, IT 강국답게 통신사와 전자 브랜드의 캠페인 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다. 해외 기업의 경우 브랜드가 독립적으로 환경 보호에 참여하고, 패션이나 코스메틱 브랜드 캠페인 사례가 쉽게 눈에 띄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앞으로 동물 보호 캠페인의 개선점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제품태도에 대한 회복노력의 차별적 효과 (Differential Effects of Recovery Efforts on Products Attitudes)

  • 김천길;최정미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33-58
    • /
    • 2008
  • 본 연구는 서비스실패가 아니라 제품실패 이후, 회복노력의 효과를 실패심각성에 따라 확인하는 것이다. 회복노력은 보상노력, 장점노력 및 단점노력으로 구분되었다. 보상노력은 실패상황을 직접적으로 되돌리려는 의도로 구체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방안으로, 장점노력은 제품실패를 초래하는 이유가 특정한 장점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임을 언급하는 것과 같이 추가적인 상대적 장점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단점노력은 자사제품이 서비스실패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경쟁제품은 또 다른 측면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켜 소비자의 자사제품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회복시키려고 방안이라고 개념화되었다. 그러한 회복노력들이 실질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 회복노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황과 비교하여 소비자의 태도나 의향이 우호적인지 검토된다. 가설검증을 위해 화장품산업에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가상적인 시나리오를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회복노력들은 효과적인 전략임이 확인되었고, 보상노력은 장점노력이나 단점 노력보다 효과적이었다. 특히 심각성이 높은 실패조건에서 단점노력은 장점노력보다 긍정적인 제품태도를 유도하였다. 심각성이 낮은 실패조건에서 장점노력과 장점노력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 PDF

한.중.일 삼국여대생들의 화장품구매실태 연구 (Cosmetics Buying Patterns and Satisfac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Japan and Korea)

  • 최주영;김경희;김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72-178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외모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왕성한 한, 중, 일 세 국가의 여대생들의 화장품구매실태를 조사하고 화장품이용과 관련한 만족, 불만족이유에 대한 세 국가 간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국내 화장품업계의 국내외 진출시 마케팅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었다. 본 연구는 서울, 베이징, 도쿄에 거주하는 남녀공학대학에 재학중인 여대생 1,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세 국가의 여대생들의 화장품구매실태와 화장품과 관련한 만족, 불만족의 차이가 있었다. 중국여대생들은 구매처의 신뢰도와 브랜들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불만족 화장품에 대해서는 교환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불만족경험을 줄이고 고급스럽고 믿을 수 있는 품질의 제품으로 백화점에 진출하는 마케팅전략이 중국시장진출 시 필요하며, 일본여대생들은 광고와 잡지모델이 중국, 한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구매 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슈퍼마켓과 약국을 통해 저렴한 화장품구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본시장진출 시 광고를 통해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고 슈퍼마켓과 약국으로 유통망을 확대하고 품질대비 저렴한 가격전략이 필요하며 한국여대생들은 화장품구매시 친구나 동료 등과 같은 인적네크워크를 통한 구전과 저렴한 가격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 품질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긍정적인 구전효과를 통한 마케팅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CEO의 리더십과 전략적 정보화 시스템의 구축: 더페이스샵 코리아 사례를 중심으로 (The Leadership of CEO and the Building up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THEFACESHOP Korea Case)

  • 이미영;박양규;김우봉;안지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183-207
    • /
    • 2009
  •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정부의 지원정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도 중소기업에서 정보기술의 성공적 도입이 이루어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 성공의 주요한 요인으로 고려되는 것이 CEO의 정보화에 대한 축적된 지식과 강력한 리더십이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 정보화의 성공적 사례 중의 하나인 더페이스샵에 대한 심층적 사례분석을 시도한다. 더페이샵의 CEO는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해 정보화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토대로 CEO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였고 의사결정 기구로서 이사회가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종업원들의 주도적인 참여로 성공산화를 이루었다. CEO의 강력한 리더십하에 모든 정보시스템의 구축이 만족화되고 효율화되었으며 현업과의 연계를 통해 조직과 시스템의 경쟁력 강화를 이끌었다. 특히, 더페이스샵은 경쟁력을 강화하기위해 세 가지 단계로 접근하였다. 첫째, 업무효율성과 사무자동화를 위한 ERP와 같은 기본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둘째, 고객지향성과 마케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분석 CRM 시스템을 완성하였으며, 셋째, 타켓 마케팅의 반응률 향상과 점주들의 수익개선을 위한 운영 CRM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런 체계적인 노력을 통해 기업의 성과가 크게 개선되었다. 결과적으로 더페이스샵은 자기만의 차별점, "Natural Story"와 가격경쟁력이라는 매력을 가지고 화장품 업계에서 장사 2년 만에 국내 화장품업계 3위, 브랜드삽 화장품 업계 1위라는 성과를 일구었다. 그 바탕에는 여타 중소기업에서 엄두를 못내고 있는 체계적인 정보시스템에 대한 투자 있었고 이를 가능하게 한 전문지식에 입각한 CEO의 강력한 리더십이 있었다.

헤어디자이너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직무몰입의 매개 효과 및 직무소진의 조절 효과 (The Effects of Hair Designer's Protean Career Orientation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 Mediating Effect of Job Commit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Job Burnout )

  • 김종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48-759
    • /
    • 2022
  • 본 연구는 헤어디자이너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의 매개효과와 직무소진에 있어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적인 A브랜드 헤어살롱에서 근무하고 있는 163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통계패키지 SPSS 21.0과 매크로 프로그램인 SPSS PROCESS Macro의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은 자신의 직무와 관련된 모든 측면에 자신을 집중하는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자신의 경력에 만족하는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둘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직무소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헤어디자이너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경력성공에 있어서 직무몰입의 매개 및 직무소진의 조절 역할에 대한 실증적 구명을 통해 본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헤어디자이너 프로티언 경력지향성 및 폭 넓게는 헤어살롱 조직문화에 대한 이해를 다루어 봄으로써, 서비스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이직률이 높은 헤어살롱 종사자의 경력성공 방안을 제안하는 데 의의가 있다.

베이비화장품의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 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pensity to Purchase Babies' Cosmetics)

  • 이경화;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9-177
    • /
    • 2005
  • 본 연구는 베이비 화장품의 구매 행태를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국내 및 수입 베이비 화장품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 현실 가운데 응답자의 $68.0\%$가 제조원 또는 브랜드 명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자녀의 피부가 희고 민감하며 아토피 피부인 경우는 베이비 화장품의 선택에 신중한 편이나 정상 피부인 경우에는 영유아기를 벗어나 초등학생으로 갈수록, 그리고 어머니의 연령이 높을수록 베이비 전용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고 성인 화장품을 같이 쓰는 경우가 많았으며 응답자의 $7.6\%$는 베이비 화장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특히 샴푸나 바디클렌저 등 목욕용 제품의 사용에 있어서 성인용 제품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베이비 화장품 구입 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품질' 이었다. 국산보다는 수입품의 품질을 더욱 더 신뢰하고 선호하였으며 베이비 화장품을 구입하는 비용은 1만원 미만으로,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베이비 화장품의 가격이 비싼 편이라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베이비 화장품의 개선점으로는 '제품의 안전성'이 $56.5\%$로 가장 많았으며 베이비 화장품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경오염과 식습관의 변화주거 환경의 변화로 새집증후군과 아토피 피부 질환의 증가 등 베이비의 피부가 위협을 받고 있는 현실 속에서 연약하고 민감한 베이비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베이비 화장품이 개발되어야 하며, 소비자는 베이비 피부와 베이비 화장품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정보를 가지고 올바른 선택을 하며 효능, 효과가 우수한 베이비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베이비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며 건강한 베이비 피부로 가꾸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