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competencies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35초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자아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A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 Facilitation and Self Efficacy toward Core Competencies)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15-232
    • /
    • 2018
  •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과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웹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이 느끼는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은 5점 중 3.72점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6가지 핵심역량에 대해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의사소통 역량이 4.07점으로 가장 높게, 창의적 사고 역량은 3.6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 이용자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핵심역량 자아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6개 핵심역량 모든 영역에서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방향 설정과 학교도서관 교육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의 실천을 가속화시켜줄 바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e Competency of Beginning Childhood Teacher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67-2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직 중인 주임교사, 원감, 원장 2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임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및 개발, 직업윤리, 감성지능 등 5개 역량의 7개 하위역량이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초임 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에서 현장중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NCS 직업기초능력 교육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설계 및 개발 :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Design and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for the NCS Vacational Core Competencies: Focusing on Interpersonal Competency)

  • 구양미;정미강;정영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43-25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된 직업기초능력 중 대인관계능력 교육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구성요소 및 설계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대인관계능력 교육과정 및 내용은 표준화를 위해, NCS 개발 및 운영을 주관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개발한 NCS 직업기초능력프로그램을 준용하였다. 표준화된 내용을 토대로 이러닝 콘텐츠 구성요소 및 설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및 이러닝 사례 분석, 교수자 및 전문가 대상 설문과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이러닝 콘텐츠의 설계 전략의 타당성과 교육적 효과 분석을 위해 학생, 교수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적용한 이러닝 콘텐츠의 설계 전략이 적절하며, 개발한 이러닝 콘텐츠가 NCS 직업기초능력의 대인관계능력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와 학생 인식 (A Study on Core Competencies of Science-Gifted Students Based on Teachers' and Students' Perspectives)

  • 김환남;이영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241-1250
    • /
    • 2012
  •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미래의 과학자로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고, 높은 성취를 달성하기 위해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에 대해 과학영재 학생들과 교원들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학교에서 요구되는 16가지 핵심역량 항목을 도출하고 각 항목에 대해 중요도와 학생의 현재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적 요구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핵심역량 수준에 대해 교사는 사고력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지만 학생들은 연구 및 탐구능력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교사는 협동능력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지만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을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사고력, 교과에 대한 흥미, 학습동기가 과학영재 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지각하였으며, 자기조절능력, 협동정신,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대한 교육적 요구 수준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끝으로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카드소팅을 활용한 디지털 신기술 과정 핵심역량 군집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ustering of Core Competencies to Deploy in and Develop Courseworks for New Digital Technology)

  • 이지운;이호;권정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65-572
    • /
    • 2022
  • 카드소팅(Card sorting)은 항목 간의 관계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카드소팅은 사용자 조사 및 평가에 매우 유용한 직관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분야 직업별 핵심역량들은 코스 개발을 위하여 다음 단계인 카드소팅 단계에서 활용되는 역량카드로 사용하고, 결과를 군집화 하기 위해 K-평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군집화 결과를 도출하였다. 카드소팅 결과 각 분야 직업별 핵심역량들에 대한 역량 군집화는 Participant-Centric Analysis (PCA)를 바탕으로 검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에 따른 직업별 코스 및 역량 분류 결과와 클러스터링에 의한 카드 유사성 정도는 각 직업별 핵심 역량 카드수에 대해 소팅 참여자 수 대비 군집화에 적합하게 동의한 참여자의 수와 카드 유사성 정도를 도출하였다.

현장근로자 핵심역량의 의식구조에 대한 퍼지분석 (Fuzzy Analysis for Consciousness Structure of Core Competency of Manufacturing Workers)

  • 기종대;황승국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78-38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제조업에 종사하는 현장근로자의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이 핵심역량에 대한 의식구조를 분석한다. 의식구조의 분석방법으로 일반적으로는 ISM과 FSM을 각각 사용하여 층을 분류하고 그 연결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데이터에 따라 각 층의 요인들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은 기본적으로 구조는 정해져있고 그 연결고리가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ISM을 통하여 먼저 구조모델을 결정하고, 연결고리는 FSM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업의 현장관리자의 핵심역량에 대한 의식구조를 분석하는데 전문가의 확인을 통해 보다 객관성 있는 구조모델을 제시하였다.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역량, 기능, 성취기준 연계성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improvement of curriculum on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between competencies,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357-371
    • /
    • 2020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이 '기능'과 '성취기준'으로 구체화되어 제시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 기능, 성취기준의 연계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섯 가지의 수학과 역량은 '기능'으로 고르게 제시되었으나, '기능' 중 일부는 성취기준으로 제시되지 않았으며, '이해하기'와 같은 기능에 치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차기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구현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한국의 환자중심 의사 역량 연구 (Patient-Centered Doctor's Competency Framework in Korea)

  • 전우택;정한나;김영전;김찬웅;윤소정;이건호;임선주;이선우
    • 의학교육논단
    • /
    • 제24권2호
    • /
    • pp.79-92
    • /
    • 2022
  • With increasing demands for medical care by society, the medical system, and general citizens and rapid changes in doctor's awareness,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doctors are also changing.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octor's competency framework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and to make it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milestone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ach period of medical student education and resident training. To this end, a big data analysis using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papers (2011-2020), domestic newspaper articles (2016-2020), and domestic social networking service data (2016-2020) related to doctor's competencies.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with 28 medical education expert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doctor's competencies among 1,000 citizens, 407 nurses, 237 medical students, 361 majors, and 200 specialists. Through the above process, six core competencies, 16 sub-competencies, and 47 competencies were derived as subject-oriented doctor's competencies. The core competencies were: (1) competency related to disease and health as an expert; (2) competency related to patients as a communicator; (3) competency related to colleagues as a collaborator; (4) competency related to society as a health care leader (5) competency related to oneself as a professional, and (6) competency related to academics as a scholar who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edicine.

치과병의원에서 요구하는 치위생과 졸업생들의 직업능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occupational ability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required of the dental clinics)

  • 김정;엄준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33-643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is aimed to help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to improve their adaptive ability to the field work by letting them know the performing levels required of the job world, by renovating the knowledge-centered curriculum, and by finding out the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successfully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asks in the work field. Methods : The survey tool was recompos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preceeding studies on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skills, and the survey has been done to 200 dentists in Seoul and Gyunggi provice. Results : 1. As for the job-getting routs, 35.1% of them finds their jobs through the job portal sites, and 21.3% through the recommendation by professors. So we can see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ways. 2. Dental hygiene clinics think that the purpose of their cooperation with the colleges is mainly to secure human resources by requiring the colleges to give field-centered education the colleges through. 3. The clinics for dental hygienic students' field learning have a great power for hiring the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set up a good management system of the clinics for dental hygienic students' field learning in order to reinforce the students' competitive power in getting jobs. 4. The priorities in basic working abilities needed for the task performance are in the order of vocational responsibility, self-managing & developing ability, interpersonal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5.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of those who graduate from dental hygiene school show the following scores by Likert measurement; good personality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2.16(${\pm}.677$), understanding power of major-related knowledge 2.19(${\pm}.723$), field adapting ability 2.31(${\pm}.748$), get-along-with ability 2.32(${\pm}.799$), interpersonal skill 2.42(${\pm}.768$), and self-development ability such as getting certificates 2.43(${\pm}.729$).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e only meaningful factor which influences on their satisfaction measurement has been identified as the professional ability related to the major.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knowledge and skill related to the major are core competencies of able human resources and closely related with the professionality of the job, and so they are very important. However, job basic abilities are also proved to be important, which reinforce the students' activeness, self-regulation, and creativeness, and help them to pursue their lasting growth in their abilities.

  • PDF

과학영재를 위한 ICT 핵심역량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G/T Experts' Recognition on Educating ICT Core-competencies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 이재호;진석언;신현경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43-1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에게 ICT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과학영재들에게 필요한 ICT 핵심역량은 무엇이며, 과학영재들에게 ICT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인 미래인재에게 필요한 ICT 역량에 대한 기존 연구[6]를 기반 모델로 설정하여, 해당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 등에 대해 영재교육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특성상 대규모의 영재교육 담당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가 필요하다는 점과 이러한 전문가들이 지리적으로 전국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는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온라인 의견조사지를 제작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로 빈도분석에 의해 요약, 종합하는 방법으로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확인하는데 활용되었다. 일부 ICT 역량 수준별 비교 등의 집단비교를 위해 x2검증 또는 변량분석(ANOVA)이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 ICT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내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지식기술역량, 통합창의역량, 인성역량의 3대 핵심역량이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으로서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각 핵심역량별로 제시된 하위교육목표들을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 강화 교육의 교육목표로서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 강화 교육의 교육 형태로서 '산출물 제작 중심 교육'과 '정보기기 활용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