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Nursing Skill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9초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인식유형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by Clinical practice Recognition typ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 전미경;장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97-305
    • /
    • 2018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한 주관성 연구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인식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34개의 Q표본을 이용하여 임상실습을 경험한 졸업 학년의 간호대학생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PC-QUAN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1유형 '행위중심형'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 상황에 따라 정확히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2유형 '미래준비형'은 핵심기본간호술을 전문적 간호사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3유형 '의존적학습형'은 정확한 간호술 수행을 위해서는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에 대한 분석은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의 효율적인 교육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 김선옥;심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4-43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search for factors influencing the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CC)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P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L) and CC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208) given to seni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NOVA and Scheffe's test. Moreover,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tems. Results: Proving Solving a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in SC.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SL)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academic performance of last semester, support for nursing, and SC. Moreover, PS was found to have a normal relationship with SL and CC, and SL was found to have a normal relationship with CC. Conclusion: Education strategy should include methods of increasing the PS of student to improve CC in nursing education. Moreover, SL education should be used to increase nursing tasks and effective adaptation to their circumstances as a clinical nurse after graduation.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수행능력, 자율실습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ETTLEP Model-based Image Training on Nursing Student' Confidence and Competency in Core Basic Nursing Skills,Participation in Self-Practice)

  • 구희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56-1069
    • /
    • 2021
  • 본 연구는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을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하여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수행능력, 자율실습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도 소재 U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74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배정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정규성검정은 왜도와 첨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처치의 효과측정을 위한 종속변수 검정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은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t=4.18, p<.001),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지식(t=2.241, p=.032), 간호술기(t=8.402, p<.001)), 자율실습 참여도(t=6.822,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은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핵심기본간호술 중 난이도가 높은 항목의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중요성인식과 수행 빈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erceived Importance and Frequency of Core Nursing Skills between General and Special wards)

  • 장은희;모문희;최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264-1272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핵심기본간호술의 중요성과 실제 빈도가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 조사연구로 2011년 10월 1일에서 2011년 10월 30일까지 D광역시 소재 Y 대학병원 간호사 1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한 핵심기본간호술 20개 문항에 대해 자가 보고식으로 작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일반병동이 특수병동에 비해 피내주사(p=.011), 수혈요법(p=.028), 단순도뇨(p=.047), 배출관장(p=<.001), 수술 전 후 간호(p=.035), 입원관리하기(p=.027)와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산소 요법(p=.002)이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실제 수행 빈도는 일반병동이 특수병동에 비해 수혈요법(p=.002), 간헐적 위관영양(p=.032), 단순도뇨(p=<.001), 배출관장(p=<.001), 수술 전 간호(p=.001), 수술 후 간호(p=<.001), 입원관리하기(p=.001), 격리실 출입시 보호장구 착용(p=.021)과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p=<.001)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병동에서 중요하고, 실제로 특수병동보다 많이 수행하는 일반병동에서의 핵심기본간호술과 특수병동에서 중요하고, 일반병동에 비해 많이 수행하는 특수병동에서의 핵심기본간호술을 분류할 수 있었다. 이는 핵심기본간호술 학습을 체계화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초석이 되리라 사료된다.

휴대폰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교육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성취도, 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Education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 김묘경;이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8-137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education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modified and non-synchronized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n=60) or control group (n=67). During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raining for 10 selected core basic nursing skills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 The control group, also for one semester, received training with traditional practices.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practice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chievement was evaluated by professors at the conclusion of the semest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ain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t=7.94, p<.00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t=2.39, p=.018) and achievement (t=2.40, p=.01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in practice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 Reflective Practice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Self-efficac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s Achievement among Nursing Students)

  • 김애경;김래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65-67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중재에 참여한 실험군 43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43명으로 총 8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2일부터 5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는 2명의 연구자에 의한 관찰평가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chi}^2$-test 및 independen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실습 자신감(t=2.170, p=.033), 학업적 자기효능감(t=3.096, p=.033), 핵심 기본 간호술 성취도(t=2.817, p=.007)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실습만족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 교육현장에 도입되어 간호교육의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임상실습 전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er Mentoring Learnings-based Preclinical OSCE program on Self-Confidence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Nursing Student)

  • 윤매옥;주연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285-295
    • /
    • 2017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전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객관적 구조화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의 실험연구로 연구대상은 J도 소재 일개 4년제 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68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6년 2월부터 2017년 2월까지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전 동료 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객관적 구조화 임상시험)이 핵심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중재 후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 간에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실습 전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므로 이를 토대로 동료멘토링 학습을 적용한 OSCE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학습성과 기반 성인간호 임상실습 운영을 위한 임상시나리오 및 루브릭 개발 (Development of Clinical Scenarios and Rubrics for a Program Outcome-based Evaluation for Students' Adult Health Nursing Practice)

  • 양희모;황선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3-66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frequently-used clinical scenarios and scoring rubrics to assess core basic nursing skills in adult health nursing clinical practice for clinical evaluation based on program learning outcomes (PO). Methods: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research combin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o select and construct scenarios. Data were collected from clinical practitioners, adult health nursing professors, and new nurses from November, 2013 to April, 2014. The developed scenarios and rubrics were applied to nursing students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Results: The 12 frequently-used clinical scenarios were developed. The proportion of the evaluation rubrics were 30% for clinical instructors where as 70% for college instructors. In order for students to achieve the important learning outcomes from the courses for clinical practice, four program outcomes (POs) were selected as well as a rubric for each POs was developed. Students who had situation-based clinical practices show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on mastery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Conclusion: This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e strategies for complementing pitfalls in clinical setting and achieving PO during students' clinical practicum.

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of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and Direction)

  • 김증임;강희선;박소미;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3-183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um and identify necessary core nursing skills in this practicum area. Moreover, one syllabus and evaluation sheets for women's health nursing clinical practicum at one university were reviewed. Methods: A survey design was used with 81 educators who were teaching maternity or women's health nursing and its practicum. Results: Most clinical sites for practicum were university hospitals (43.0%), women's hospitals (32.7%), or general hospitals (17.3%); but the majority (77.8%) of educators expressed difficulty in finding appropriate practicum places. Comm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clinical guides for practicum (44.6%), e-learning content (30.2%), and simulation (23.6%). Core nursing skills for this practicum included assessment of stages of labor, preparation of uterine-fetal monitoring devices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monitoring uterus and fetal activity, and performing Leopold's maneuver. For postpartum care, the following were included; postpartum fundal massage, assessment of breast engorgement, fundus height, and episiotomy sites, inserting urinary catheter, and teaching the use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Con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um, development of a clear course syllabus, standardized clinical guidebook, and core nursing skills is required and should be shared with all relevant nurse educators.

간호대학생의 간호기록 작성 지식의 중요도, 비판적 사고성향, 핵심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portance in the Knowledge of Nursing Record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confidence of Core Nursing Skills on Clinical Competence with Nursing Students)

  • 오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627-63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기록 작성 지식의 중요도, 비판적 사고성향, 핵심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기록 작성 지식의 중요도, 핵심간호술에 대한 수행 자신감(β=.43, .31, .24)순이었고, 설명력은 61.9%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본 연구에서 확인된 주요요인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해볼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