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pper bead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7초

고체상 추출제로서 Polyvinyl Chloride에 D2EHPA를 고정화한 PVC-D2EHPA의 제조와 Cu(II) 제거 특성 (Preparation of PVC-D2EHPA beads by Immobilization of D2EHPA on Polyvinyl Chloride as Solid Phase Extractant and Removal Characteristics of Cu(II))

  • 감상규;유해나;이동환;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157-1163
    • /
    • 2014
  • The solid phase extractant (PVC-D2EHPA bead) was prepared by immobilizing di-2-ethylhexyl-phosphoric acid (D2EHPA) with polyvinyl chloride (PVC). The prepared PVC-D2EHPA bead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removal experiments of Cu(II) by PVC-D2EHPA beads conducted batchwise. The removal kinetics of Cu(II) was found to follow the pseudo-second-order model. The equilibrium data fitted well with Langmuir isotherm model and the maximum removal capacity was 2.6 mg/g at $20^{\circ}C$. The optimum pH region was in the range of 3.5 to 6. and the standard free energy (${\Delta}G^{\circ}$) was between -4.67~-4.98 kJ/mol, indicating the spontaneous nature of Cu(II) removal by PVC-D2EHPA beads.

세종 합강리 유적 출토 고대 유리구슬의 특성 연구 (A Characteristics on the Ancient Glass Beads Excavated from the Site of Hapgang-ri in Sejong, Korea)

  • 김은아;김규호;강지원;윤천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05-420
    • /
    • 2020
  • 본 연구는 세종 합강리 유적을 중심으로 발굴 유적과 유물을 조사한 고고학적 접근과 주구토광묘 15호에서 유일하게 출토된 유리구슬의 표면, 단면, 조성 특성을 분석한 보존과학적 접근으로 구분하여 융합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묘의 형태와 출토유물을 통한 고고학적 연구에서 합강리 유적은 주구토광묘의 등장 시기가 2세기 후엽부터이고 유리구슬이 출토된 주구토광묘 15호 편년은 2세기 후엽~3세기 초엽으로 추정할 수 있다. 유리구슬 완형은 형태, 색상 및 제작기법을 파악하고 유리구슬편 16점은 단면관찰과 화학 조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청색 계통은 감청색과 자색으로, 적색 계통은 적갈색으로 구분되며 세부 색상에서 청색 계통은 광택과 명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하나 적색 계통은 균일도가 높게 나타난다. 제작기법은 표면의 줄무늬와 기포배열에서 늘인기법으로 확인되며 구슬 양 끝부분에서 열처리나 연마 흔적도 관찰된다. 유리구슬 편 16점의 화학 조성은 포타쉬유리군 3점과 소다유리군 13점으로 분류된다. 소다유리군 13점에 대한 안정제 특성은 청색과 적색 계통에 따라 구분된다. 이중에서 적색 계통의 안정제 특성은 지금까지 다른 지역에서 확인된 적갈색 유리구슬과 다른 조성으로 구분되는 점이 특이하다. 착색제는 청색 계통이 MnO 성분을 함유한 코발트(Co), 그리고 적색 계통은 구리(Cu)와 철(Fe)이다.

상부가열인 다공물질내의 열파이프 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the heat pipe phenomenon in porous media heated from above)

  • 이진호;김홍제;함윤영;남궁규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825-832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열흐름하에서 상부가 가열된 다공물질내의 열파이프 현 상과 관련하여 2상영역의 존재와 그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실험적으로 관찰, 조사하였다.

Removal of Cu(II) ions by Alginate/Carbon Nanotube/Maghemite Composite Magnetic Beads

  • Jeon, Son-Yeo;Yun, Ju-Mi;Lee, Young-Seak;Kim, Hyung-Il
    • Carbon letters
    • /
    • 제11권2호
    • /
    • pp.117-121
    • /
    • 2010
  • The composites of alginate, carbon nanotube, and iron(III) oxide were prepared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 in aqueous pollutant. Both alginate and carbon nanotube were used as an adsorbent material and iron oxide was introduced for the easy recovery after removal of heavy metal to eliminate the secondary pollution. The morphology of composites was investigated by FE-SEM showing the carbon nanotubes coated with alginate and the iron oxide dispersed in the alginate matrix. The ferromagnetic properties of composites were shown by including iron(III) oxide additive. The copper ion removal was investigated with ICP AES. The copper ion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greatly over 60% by using alginate-carbon nanotube composites.

Carbon bead-supported copper-dispersed carbon nanofibers: An efficient catalyst for wet air oxidation of industrial wastewater in a recycle flow reactor

  • Yadav, Ashish;Verma, Nishith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7권
    • /
    • pp.448-460
    • /
    • 2018
  • Copper nanoparticle-doped and graphitic carbon nanofibers-covered porous carbon beads were used as an efficient catalyst for treating synthetic phenolic water by catalytic wet air oxidation (CWAO) in a packed bed reactor over 10-30 bar and $180-230^{\circ}C$, with air and water flowing co-currently. A mathematical model based on reaction kinetics assuming degradation in both heterogeneous and homogeneous phases was developed to predict reduction in chemical oxygen demand (COD) under a continuous operation with recycle. The catalyst and process also showed complete COD reduction (>99%) without leaching of Cu against a high COD (~120,000 mg/L) containing industrial wastewater.

이차이온질량분석기의 깊이 분포도를 이용한 동선의 열적 확산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rmal Diffusion in the Copper Wire Using SIMS Depth Profiling)

  • 박종진;홍태은;조영진;서영일;문병선;박종찬;박혁규;이정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3-47
    • /
    • 2008
  • 최근에 이차이온질량분석기(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1 2차 용융흔 구별에 관한 연구가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동선의 깊이 분포에 따른 $^{12}C^-$, $^{63}Cu^-$, $^{18}O^-$, $^{35}Cl^-$ 이차 이온을 검출하기 위해 Cs+ 일차 이온빔을 사용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과전류에 의한 동선의 열적 확산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VC 절연피복이 덮인 동선이 보다 더 깊이 탄소와 염소가 확산함을 보였으나, 산소는 절연피복이 덮이지 않은 동선이 더 깊이 확산된 것을 보였다.

Study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lowing Particles in a Cold Water Tube

  • Park, Ki-Won;Kim, Myoung-Jun;Jung, Sung-Cha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243-251
    • /
    • 200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les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fluids flowing in a cold water tube. Plastic beads with 3 different sizes were used as flowing particles with cold water. An experimental test section was composed of concentric double tubes having diameters of 25mm for the inner tube and 50mm for the outer tube. The materials for the inner and outer tubes are copper and PVC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particles enhanced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by random and vortex motion in the fluid. Hence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for the fluid with 2mm, 5mm and $2{\times}6mm$ particles were $7%{\sim}37%$ higher than the fluid without the particles.

구리 용융흔 미세조직 관측을 위한 연마/미세연마 프로세스 개발 (Development of Grinding/Polishing Process for Microstructure Observation of Copper melted Beads)

  • 박진영;방선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108-116
    • /
    • 2018
  • 구리 용융흔(Melted bead) 미세조직(Microstructure)은 변형층(Deformed layer)과 원조직(Undeformed layer)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변형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측정오류가 발생되어 연마/미세연마(Grinding/Polishing)를 통하여 변형층을 제거하고 원조직을 관측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구리 용융흔의 미세조직 분석을 위한 연마/미세연마 절차(Process)를 제시하였다. 변형층 제거를 위해 연마재 종류/크기, 연마시간, 연마율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변형층의 두께를 $1{\mu}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실리콘카바이드 연마재 $15{\mu}m$ (SiC P1200) 2 min, $10{\mu}m$ (SiC P2400) 1 min, 다이아몬드 연마재 $6{\mu}m$ 8 min, $3{\mu}m$ 6 min, $1{\mu}m$ 10 min, $.25{\mu}m$ 8 min 실시하는 새로운 연마/미세연마 절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최종 단계에서 3 min 동안 콜로이달 실리카 $.04{\mu}m$로 화학적 미세연마를 실시함으로써 미세조직의 선명성을 증대시키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연마/미세연마 시간은 총 38 min이 소요되며, 기존에 제시된 시간, 절차보다 단순화 하였다.

알긴산칼슘 비드 상 흡착에 의한 흔적량 구리(II)와 납(II)의 동시 농축 및 정량 (Preconcentration and Determination of Trace Copper(II) and Lead(II) in Aqueous Solutions by Adsorption on Ca-Alginate Bead)

  • 최종문;최선도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90-598
    • /
    • 2004
  • 수용액 중 흔적량 Cu(II)과 Pb(II)을 알긴산칼슘 비드에 흡착 농축시켜 정량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알긴산칼슘 비드는 시료용액에 일정량의 Ca(II)과 알긴산을 첨가하여 용액 내에서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흡착농축을 위해서 검토해야 할 수용액의 흡착 pH, Ca(II)의 농도, 알긴산의 양, 겔화 방지를 위한 에탄올의 농도, 흡착 평형시간과 탈착을 위해 사용하는 산의 종류 및 농도 등의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흔적량 Cu(II)과 Pb(II)이 포함된 시료 용액에 Ca(II)과 에탄올을 가한 후 용액의 pH를 5.0으로 고정하고, 알긴산을 첨가하여 알긴산칼슘 비드가 용액 내에서 형성되도록 하였다. 흡착 평형이 이루어지면 막 필터로 용액을 거르고, 걸러진 알긴산칼슘 비드를 소량의 완충용액으로 세척한 후 질산용액을 가하여 초음파 세정기에 넣고 역 분산시켰다. 역 분산을 위해 사용하는 탈착제로는 질산이 가장 좋았고, 이때 질산의 농도가 1.0 mol/L 이면 정량적으로 탈착되었다. 공존이온에 대한 방해효과를 Na(I), K(I) 및 Mg(II)에 대해 검토한 결과 Pb(II)에 대해서는 방해효과가 없었으나 과량 존재할 때 Cu(II)에 대해서는 흡광도를 감소시키는 방해를 야기하였다. 2가지 물 시료에 본 방법을 적용한 결과 $90.4{\sim}104.3%$의 회수율을 얻었으므로 수용액 중 흔적량 존재하는 Cu(II)과 Pb(II)을 분리 흡착 농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SEM-EDS를 이용한 경남 김해 양동리 출토 유리구슬의 분석 고찰 (SEM-EDS Microanalysis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Yangdong-ri Remains, Kimhae)

  • 김규호;허우영;김동원
    • 보존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30
    • /
    • 1998
  • 고대 유리제품에 대한 과학적 분석 조사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중에서 조성 분석을 통하여 사용 원료, 제작 방법, 시대, 그리고 지역으로 그룹화하여 문화 수준과 유입 경로등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나 도자기의 유약 등으로 이루어진 문화재 시료에 대한 SEM-EDS의 정량분석 조건들을 설정하였고, 경남 김해 양동리에서 출토된 유리 구슬 조각 62점을 정량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지역의 유리구슬은 알칼리계 유리로써 칼리계 유리는 AD 1세기, 소다계 유리는 AD 2세기 말~3세기 초부터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리의 색상은 전이금속 구리, 철, 그리고 망간의 함유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이 분석결과는 고대 유리구슬의 성분 함유량이 원료, 색상, 유구편년, 그리고 지역에 따라 그룹이 형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