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rdinate System

검색결과 2,200건 처리시간 0.024초

지적좌표계의 세계좌표 변환 연구 (A Study on Converting Cadastral Coordinate System into Global Coordinate System)

  • 박춘수;홍성언;박종오;정택승;성백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5-11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적좌표체계의 세계좌표체계로의 변환 실험연구를 통하여 위치 및 면적의 변화량과 이로 파생되는 문제점들을 검토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개선점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의 좌표변환 결과, 모든 필지경계점(총 478점)에 대한 좌표변환의 표준편차가 X=0.0079m, Y=0.0153m로 나타나 매우 양호하게 산출되었다. 면적의 차이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0.062$m^2$정도의 차이를 보여, 이는 현행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면적허용오차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대상지역에 한정하여 본다면 위치나 면적부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아 세계좌표계로의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직교좌표계에 대한 P-1 근사법 및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주유동 중의 원형실린더 주위의 복사열전달 해석 (Analysis of Radiative Heat Transfer about a Circular Cylinder in a Crossflow by P-l Approximation and Finite Volume Method in Non-Orthogonal Coordinate System)

  • 이공훈;이준식;최만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806-819
    • /
    • 1995
  • A study of radiative heat heat transfer has been done in the non-orthogonal coordinate system utilizing the finite volume method and the P.1 approximation. Radiation of absorbing, emitting and scattering media in a concentric annulus has been solved using the non-orthogonal coordinate and the calculations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using the finite volume method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isting calculations for all optical thicknesses. It was also shown that for only optically thick cases, P-1 approximation can be used in a non-orthogonal coordinate. Convective heat transfer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obtain the temperature fields in a cross flow around a circular cylinder and the finite volume method was applied in the non-orthogonal coordinate system to analyze radiative heat transfer. Effects of the optical thickness, the ratio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ylinder tot he free stream temperature, and the scattering albedo on radiation have been presented.

Fast Coordinate Conversion Method for Real-time Weather Radar Data Processing

  • Jang, Bong-Joo;Lim, Sanghun;Kim, Wo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5권1호
    • /
    • pp.1-8
    • /
    • 2018
  • The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of weather radar data is a basic and important process because it can be a factor to measure the accuracy of radar precipitation rate by comparison with the ground rain gauge. We proposed a real-time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ethod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the interpolation masks of SPRINT and REORDER to use tables of predetermined radar samples for each interpolated object coordinate and also distance weights for each precomputed sampl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computation speed more than 20~30 tim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and shows that th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is hardly ignored.

피복구성학적 인체계측방법에 관한 연구 - 평면사진계측방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 Photogrammetry for Clothing Design)

  • 박찬미;서미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5권1호
    • /
    • pp.151-164
    • /
    • 1997
  • This study pursues the problems of plan photogrammetry which is widely used in somatotyping at present, and find out a method which can improve accuracy of measurement on the basis of principles and mechanisms of photography-the basic foundation of the photographic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method and perspective coordinate system. And the test measurement was operated to compare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and the method based on reference grid screen method and perpendicular coordinate system which is commonly used at present. The result of this test measurement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higher accuracy. Two reasons can be pointed out for the improvement of measuring accuracy.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proposed perspective coordinate system reduces the perspective distortion of photography. And second reason is that measuring points can be closely placed to the scale and coordinate reference plan of measurement by the proposed reference point method which make possible to place measuring object (or person) at the center of scale and coordinate reference plan by utilizing reference points of measurement in the three dimensional space not on screen.

  • PDF

Research on a Multi-level Space Vector Modulation Strategy in Non-orthogonal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s

  • Zhang, Chuan-Jin;Wei, Rui-Peng;Tang, Yi;Wang, Ke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7권5호
    • /
    • pp.1160-1172
    • /
    • 2017
  • A novel space vector modulation strategy in the non-orthogonal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for multi-level three-phase four-wire inverters is proposed in this paper. This new non-orthogonal three-dimensional space vector modulation converts original trigonometric functions in the orthogonal three-dimensional space coordinate into simple algebraic operations, which greatly reduces the algorithm complexity of three-dimensional space vector modulation and preserves the independent control of the zero-sequence component. Experimental results have verified the correct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hree-dimensional space vector modulation in the new non-orthogonal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색채교육의 기초확립을 위한 시스템배색체계의 설계 및 색지 제작 (Planning of Systematic Color Coordinate System and Manufacture of Color Paper for Establishment of Basic Color Education)

  • 이경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709-719
    • /
    • 2009
  • Since the beginning of time people had been using color to mark territory and decorate their surroundings. Color was taken for granted today as an intrinsic part of every waking moment. In modern age, color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curriculum of art and design. In general, color expressed by hue, value and chroma but used the tone on the design spot, therefore the tone concept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to color education. In this study I planned the usable "Systematic Color Coordinate System 180" for general color education on hue and tone color system and manufactured the color papers, color chart and color code based on the system. "Systematic Color Coordinate System 180" was attached the Munsell notation and common color names which could reappear the colors when needed.

물리탐사 실무자를 위한 측지 좌표계와 지도 투영의 이해 (Summarized Reviews on Geodetic Coordinate System and Map Projection for Practitioners in Exploration Geophysics)

  • 이성곤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4호
    • /
    • pp.236-248
    • /
    • 2016
  • 이 해설에서는 물리탐사 및 지구물리 분야 실무자들의 측지 좌표계와 지도 투영에 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개념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지구 타원체, 지오이드, 지심 위도, 측지 위도, 경도, 항정선, 대원 등의 기본 개념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또한 현재 대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심 직각 좌표계, 경위도 좌표계에 대한 설명과 함께 좌표계 간의 좌표 변환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역 측지 데이텀 변환 및 직각 좌표 투영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고 우리나라 측지 좌표계에 대하여 요약하여 물리탐사 실무에서 좌표 체계를 더 잘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나라 기본지리정보 좌표계(UTM-K) 도입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the Plane Coordinate System for Framework Data(UTM-K) in Korea)

  • 최윤수;김건수;박홍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3-321
    • /
    • 2004
  • 정부에서는 위성측위시스템(GNSS)의 보급에 따라 2007년부터 세계측지계 적용을 결정하였으며, LBS, 텔레메틱스 산업계에서도 CPS/IS활용에 적합한 좌표계 도입을 요청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파일기반이 아닌 단일DB기반인 기본지리정보의 효을적 구축과 유지관리, 사용자의 편의성 제고를 고려하여 한반도 전역을 포괄하는 단일평면좌표계를 기본지리정보좌표계(UTM-K)로 정의하고, 도로분야 기본지리정보구축에 적용하여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기본지리정보좌표계(UTM-K)는 한반도 전역을 포괄하는 단일평면좌표계가 되도록 투영법은 TM투영법, 원점축척계수는 0.9996, 투영원점(경도: $127^{\circ}$30'00", 위도: $38^{\circ}$00'00"), 원점좌표(N=2,000.000m, E=1,000.000m)를 적용하였다. UTM-K는 기관별 지리정보구축과정에서 발생한 오류수정과 다양하게 제작된 지도데이터를 연계 $.$활용에 적용할 수 있고, 상당한 비용절감이 기대된다. 다만, 도입과정에서 복수 좌표계 사용에 따른 혼란은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으로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Isometric Motion Recognition in Computer Animation

  • 이명원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55-63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그룹 이론을 기반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두 물체의 모션으로부터 동량모션을 검출해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동량모션을 그룹 이론으로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해결책으로는 물체의 모션에 따라 결정되는 새로운 개념의 좌표계를 이용한다. 이 좌표계는 물체의 모션을 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며 본 논문에서 Motion Specific Coordinate System(MSCS) 으로 명명한다. 그리고, 이 좌표계를 이용하여 두 물체의 모션이 같은지를 검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3차원 좌표계에서 물체의 시작 위치나 물체의 모션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두 물체의 모션을 비교하여 두 모션이 같은 모션인지를 알아낼 수 있다. 본 알고리즘은 물체가 여러 관절을 가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알고리즘에서 모션의 양적 측정은 MSCS 상에서의 이동 거리와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