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t intervent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7초

LTE-A 네트워크 환경에서 MTC를 위한 효율적인 접근관리 기법 (Efficient Access Management Scheme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in LTE-A Networks)

  • 문지훈;임유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87-295
    • /
    • 2017
  • 최근 들어,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는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는 사람의 개입 없이 MTC 단말들에게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짧은 시간 내에 많은 MTC 단말들이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제한된 통신 자원으로 인하여 자원 경쟁이 심화되고, 이로 인하여 단말의 접속 실패가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말들의 통신 자원 접근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LTE-A 환경에서 MTC 단말들의 효율적인 접근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특정 시간구간 동안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 개수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음 시간구간 동안 접속을 시도할 단말 개수를 예측한다. 이러한 예측 개수를 기반으로 제안 기법은 통신자원 접근을 시도하는 단말 개수를 제어한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 증명을 위하여, 성공확률, 실패확률, 충동확률, 그리고 접속지연시간 측면에서 성능을 분석하였다.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한 분노대처 능력 향상 서비스 기술개발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o Improve Anger Coping Strategies Using Location-based Service)

  • 이풍삼;이윤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289-296
    • /
    • 2017
  • 분노는 심장질환, 가정폭력 등에 영향을 미치며 최근 분노를 조절하지 못해 발생한 각종 범죄에 대한 언론보도가 증가하고 있다. 분노는 심각한 사회문제와 사회적비용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부적절한 분노대처문제 완화를 위한 적극적인 개입방법이 필요한 현실이다. 효과적 분노대처 개입의 대안 제시를 위해 인지정서행동 통합접근, 정신역학적 접근, 심리교육적 접근, 이완요법, 인지행동-예술치료기법, 스트레스 면역법 등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정보통신 기술은 이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관련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분노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기술을 활용한 분노대처 서비스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분노 상황을 인지하고 분노 대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여 분노를 지연하고 주변을 환기시키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분노 상황에 직접 개입하여 분노를 완화시키는 기술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이다.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하는 수술 후 환자를 위한 간호 활동 목록의 융합적 개발 (The Convergent Development of Nursing Activity Index for postoperative patient us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 이윤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3-4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하는 수술 후 환자를 위한 간호 활동 목록을 개발하는데 있다. 간호 활동 목록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문헌고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간호 활동 목록을 개발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간호 활동의 중재 내용 타당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5명의 마취과 전문의와 6명의 성인 및 기본 간호학 교수, 1명의 급성통증관리 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수술 후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를 위한 12개의 항목을 개발하였다. 중재 내용 타당도의 검증에서 모든 항목이 .92에서 1.0으로 타당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수술 후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하는 환자의 간호를 위한 간호 실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웃음치료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메타분석 (Convergence Study of Laughter Therapy's Effect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 Meta-Analysis)

  • 도은나;조선희;김선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47-35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웃음치료의 융합적 메타분석을 통해, 노인우울 감소 효과크기를 확인하고, 노인의 우울감소를 위한 웃음치료의 중재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된 융합적 연구이다. 10개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확인한 486개 문헌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20문헌을 최종 선정하였다. SIGN의 도구를 이용하여 문헌의 질평가를 시행하였으며 CMA 3.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노인우울에 대한 웃음치료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크기로 나타났으며 (SMD=-0.57, 95% CI: -0.70~-0.44, p<.001), 작은 크기의 이질성을 보였다($I^2=18%$). 하위그룹 분석에서 재가노인, 통합군, 4-6주 중재군, 집단중재군의 효과가 더 컸다. 본 융합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웃음치료 프로그램 구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노인요양시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와 무작위배정 실험연구가 더 필요하다.

우울증 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융복합적 요인 분석 (Analysis of Convergent Factor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of Patients with Depression)

  • 권명진;김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309-316
    • /
    • 2016
  • 본 연구는 우울증 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심리적 융복합적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우울증이 있다고 답한 117명이다. 자료 분석은 복합표본계획파일을 생성한 후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준 요인은 교육수준, 가족 수, 삶의 질, 주관적 체형인식, 스트레스이었으며, 55.9%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러므로 우울증 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증진을 위한 일차 간호 시 여러 융복합적 영향 요인들을 고려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울증 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융복합적 영향요인을 파악한 본 연구는 우울증 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고 본다. 향후 후속 연구는 우울증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종교적 요인 및 특정질환 등을 고려한 반복연구를 제안한다.

인공관절치환 수술 후 발생하는 섬망에 따른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Influence of the Incidence of Delirium in Patients after Arthroplasty)

  • 김영희;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369-37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관절치환수술을 받은 환자의 섬망의 발생예방과 조기중재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전자의무기록자료중 60세 이상 환자 82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대상자 서술통계와 섬망발생율의 차이는 $x^2$-test와 t-test를 시행하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공관절치환수술 환자에게 섬망 발생률은 13.5%였고, 섬망 발생의 영향요인에서는 연령, 낙상력, 신체활동, 정서상태, 수술전 체질량지수가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섬망의 예방, 조기발견을 위해 조기중재가 필요한 방안 모색을 제언한다.

사회불안장애의 해석편향 연구: 컴퓨터 기반 해석편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for social anxiety disorder: Development of computer based cognitive modification program)

  • 윤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11-12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의 인지편향수정 프로그램(Cognitive Bias Modification Program - Interpretation, CBM-I)을 이용하여 사회불안 경향이 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해석편향 수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사회불안증상 및 해석편향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40명의 사회불안 경향성자들을 긍정해석 훈련집단((n=21)과 비처치대기집단((n=19)에 배정하였고 치료 전후 해석 편향과 사회불안증상 수준(e.g.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레보위츠 사회불안 척도)을 비교하였다. CBM-I 훈련은 참가자들이 긍정적인 방식으로 모호한 상황을 해석하면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부정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면 부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긍정해석 훈련집단의 경우 3주간 3번의 회기에 참가하였다. 사후분석에서 긍정훈련 조건에 참가한 내담자들의 자기 보고식 사회불안 증상이 감소하였다(t=2.35, p<.05; t=4.70, p<.001). 이러한 결과는 다중회기로 실시된 해석 편향의 수정이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 완화 및 생리적 지표 향상을 위한 융합형 미숫가루 음용 섭취 프로그램 개발 예비 조사 (The Effects of Misutkaru Water Drink on Relieving Constipation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t Misutkaru Water Drink Intake Program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 신나연;박효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40-4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 정도를 파악하고, 미숫가루가 변비 완화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S시 소재 종합 병원에서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에게 미숫가루 30g을 복용하게 하고 변비 사정 척도 점수와 혈청 Potassium, Phosphorus을 측정하였다. 변비 사정 척도 점수는 실험군이 4.5점, 대조군이 6.5점으로 두 집단 모두 점수가 낮아졌다(z=-2.66, p=.002). Potassium은 실험군이 4.9mmol/l, 대조군이 4.7mmol/l 이었고(z=0.91, p=.960). 혈청 Phosphorus점수는 실험군이 5.3mg/dl, 대조군이 4.7mg/dl 이었으나 (z=0.45, p=.540)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미숫가루 음용은 혈액 투석환자의 변비 완화를 위한 적절한 간호 중재로 적용될 수 있으며 미숫가루 음용 섭취를 통해 혈액 투석 환자의 변비 완화 간호 중재의 적극인 활용이 임상 실무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판 유아 행동 척도-2(Korean Preschool Kindergarten Behavior Scale-2: PKBS-2) 타당화 연구 (A Study on Valida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2(K-PKBS-2))

  • 유수옥;이기성;하승민;박수경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9-10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validate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2(PKBS-2) and develop the Korean version PKBS-2(K-PKBS-2) through the phases of concept and statistical review.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PKBS-2 for teachers with 1,119 young children in Jeonbuk province. During the factor structure revie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0 items and 4 factors(social interaction, social cooperation, social compliance, and social independence) in social skills scale and 40 items and 4 sub-factors of 3 factors(internalizing behavior, externalizing behavior, and interpersonal emotional behavior) in problem behavior scale were extracted.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l fits of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 scales were higher than the original test and very high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produced. During external factor review,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verified. After cultural specificity and cultural universality between PKBS-2 and K-PKBS-2 were discussed, K-PKBS-2 was presented as e scale which is very useful for the screen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plan of challenging behavior behaviors in young children in Korea.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생활습관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Lifestyle Evaluation Tool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 강세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87-497
    • /
    • 201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o develop a lifestyle evaluation tool for metabolic syndrome patients. Methods: A methodological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construct factors and preliminary items were identified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and tools related to lifestyle and reviewed by ten experts. It was tested with 195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4.0. Results: To test the validity,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were used and resulted in the extraction of six components. The convergent validity resulted r= .72 (p<.001) with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The discriminant validity with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resulted r= -.15 (p=.004).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ol had an Cronbach's a of .92. The self-report format Lifestyle Evaluation Tool for the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was developed with 36 items and four-rating scales:'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eight items, 'dietary habits' sixteen items, 'drinking and smoking' three items, 'sleep and rest' two items, 'stress' three items, 'drug and health management' four items. Conclusion: This Tool will evaluate health behaviors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lso,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metabolic syndrome patients' life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