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y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3초

평등의 관점에서 본 아시아 대학의 미래 시나리오 (Future Scenarios of Asian Universities in a view Point of Equality)

  • 류청산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53-70
    • /
    • 2014
  • 이 연구는 아시아 지역의 대학들이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대학의 미래 시나리오를 구안하여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국의 미래학자들은 2002년에 휴스턴 대학에서 하먼의 '팬시나리오 기법'을 응용하여 고등교육의 미래를 예측하였다. 2015년까지 많은 대학들이 '사이버 대학'의 기능을 강화할 것이며, 2020년까지는 대학에서 교재가 사라지게 될 것이며, 2025년까지는 행정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는 '학사 일정이 사라지는 대학'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리고 2025년 이후에는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대학에 진학하여 공부할 수 있는 대학으로 변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2030년 이후가 되면 캠퍼스 기반의 대학 강의실 수업은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러한 기법은 한국 대학의 미래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과정에서도 활용되었다. 이 시나리오는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개성과 수월성이 강조되는 학습자 관점, 이윤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기업의 관점, 복지와 평등성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정부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예측모델 3개와 대안모델 4개를 제시하고 있다. 아시아의 대학들은 기억력에 기반을 둔 인지 중심의 교육 비중을 줄이고 의식과 감성에 기반을 둔 실무능력을 키우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학제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특성화 교육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아시아의 대학들은 미국과 유럽의 대학들에 비해 자신들만의 강점요인을 심층 분석하여 찾아낸 다음 이를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을 특성화해 나가야만 미래에 생존할 수 있다. 아시아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동양의학'과 서양 학문의 총화인 '정보공학'의 융합은 아시아 대학을 경쟁력 있게 특성화할 수 있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하되 서양의 대학들과는 달리 좁은 토지에 상대적으로 많은 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아시아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평등성이라는 관점에서 예측모델 1개와 대안모델 3개를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프로젝트기반 학습과 웹 융합 의사소통 유형별 학습자 상호작용 (Project-based Learning and Learner Interaction by Web Convergency Communication Types)

  • 신명희;최도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5-4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자 상호 작용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했다. 학습자 상호 작용의 경우, 학습의 장(場), 즉 다양한 기술 환경 속에서의 학습자 의사소통 유형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3시간 교양영어 수강생 80명을 대상으로 카카오 톡과 LMS (학습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학습자 상호 작용의 효과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상호 작용은 카카오 톡 활용 그룹과 LMS (학습 관리 시스템) 그룹 간에는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상호 작용, 2)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학업 성취도 모두 카카오 토크 활용 그룹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요즘 학생들에게 Kakao talk은 학습활동의 문제 해결 및 소통, 자료의 업로드 및 공유의 가장 좋은 환경이라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결과이다.

PLS-SEM 기반 IPM 방법 활용 - 수출 경쟁력 요인 대상 (On utilizing PLS-SEM based IPM method - Focused on export competitiveness factor)

  • 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43-47
    • /
    • 2019
  • 본 연구는 기존 경쟁력 요인들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통하여 전략적 정책을 파악하는 기존 방법인 중요도-성과도 분석(IPA)을 확장하여 PLS-SEM 기반 IPM(Importance-Performance Map) 방법을 적용하여 정책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적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융 복합 산업의 전략 요인들 분석하여 글로벌한 세계 경쟁에서 살아남고 파급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과 관련된 연구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정보기술(IT) 융 복합 산업의 육성은 관련된 산업의 발전과 고용 활성화를 활성화는 효과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융 복합 산업의 중소기업들의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적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를 대상으로 본 연구방법론의 활용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그 분석 결과 IT 융 복합 수출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IT 융 복합 산업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요인들을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가운데 하나의 전략 수단으로서 본 연구 방법론을 다른 분야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IT 기술을 이용한 거푸집 동바리공사 안전관리 제안 (Proposal for Safety Management of Formwork Construction Using IT Technology)

  • 전경덕;신승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93-99
    • /
    • 2020
  • 건설공사에 있어 가설공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전체공사에 차지하는 공사 금액이 낮고 공사 완료 후에는 철거되므로 다른 공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게 취급 되는 공종이다. 실제 현장에 근무한 건설기술자들은 공사의 품질과 공사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공정중 가장 중요한 공종으로 가설공사의 안전을 이야기 한다. 하지만, 가설공사는 공사 진행에 따라 공사현장 여러곳에서 동시에 여러 종류의 가설재가 설치되고, 그것을 사용하여 본 공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안전관리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건설공사의 안전사고는 거의 가설공사에서 이루어진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는 않는다. 최근 들어 건축물이 대형화, 다양한 복합용도, 대규모 지하공간의 굴착. 초고층으로 바뀌어가는 건설 추세로 보아 가설공사의 중요성과 안전성은 절대 소홀히 할 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IT 기술을 이용하여 건설공사에서 사용되는 가설자재중 동바리의 안전 확보를 연구목적으로 하며 가설공사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관리를 제안 하고자 한다.

평면(平面) 트러스 구조물(構造物)의 형상최적화(形狀最適化)에 관한 구연(究研) (A Study on Shape Optimization of Plane Truss Structures)

  • 이규원;변근주;황학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49-59
    • /
    • 1985
  • 탄성(彈性) 이론(理論)에 의하여 트러스의 형상최적화(形狀最適化) 문제(問題)를 형성(形成)하게 되면 부재(部材)의 단면적(斷面積)과 절점(節點)의 좌표(座標)를 동시에 고려(考慮)해야 하는 복잡(複雜)한 비선형(非線型) 계획문제(計劃問題)가 된다. 이런 비선형(非線形) 계획문제(計劃問題)를 해석(解析)할 수 있도록 제시(提示)된 기법(技法)이 별로 없고 현재 사용(使用)하고 있는 기법(技法)들도 실제(實際)의 적용(適用)에 제한(制限)을 받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트러스의 형태(形態), 재하조건(載荷條件) 등에 구애됨이 없이 트러스의 형상(形狀)을 최적화(最適化)할 수 있는 일반(一般) 해석기법(解析技法)이 필요(必要)한 것이다. 이에 본연구(本硏究)에서는 전(全) 해석과정(解析過程) two-phases로 나누어 phase 1 에서는 단면(斷面)을 최적화(最適化)하고 phase 2 에서는 트러스의 절점좌표(節點座標)를 변수(變數)로 하여 형상(形狀)을 최적화(最適化)하는 알고리즘을 개발(開發)한 것이다. 이 알고리즘의 phase 1 에서 유도(誘導)된 비선형(非線型) 계획문제(計劃問題)를 SUMT 문제(問題)로 변환(變換)시켜 Modified Newton-Raphson Method에 의한 SUMT 법(法)을 채택(採擇)하고 phase 2 에서는 Rosenbrock Method의 일방향(一方向) 탐사기법(探査技法)에 의해 목적함수(目的凾數)만이 최소(最小)가 되도록 하는 기법(技法)을 도입(導入)하여 최적화(最適化) 알고리즘 개발(開發)하였다. 개발(開發)된 알고리즘을 트러스의 형태(形態), 설계제약조건(設計制約條件), 재하조건(載河條件) 등을 변화(變化)시켜 가면서 수종(數種)의 트러스에 적용(適用)하여 수치계산(數値計算)을 실시(實施)하고 그 결과(結果)를 다른 알고리즘의 결과(結果)와 정교(正較)하므로서 개발(開發)된 알고리즘의 타당성(妥當性) 안정성(安定性) 적용성(適用性)을 검토(檢討)하였다. 연구(硏究) 결과(結果) 개발(開發)된 이 two-phases 알고리즘은 트러스의 설계조건(設計條件)에 구애받지 않고 트러스의 형상최적화(形狀最適化)에 적용(適用)할 수 있으며 안정성(安定性)있게 빠른 속도(速度)로 최적해(最適解)에 수렴(收斂)한다는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되었다. 이에 본(本) 알고리즘을 트러스의 형상최적화(形狀最適化) 알고리즘으로 새로이 제안(提案)하고 본(本) 알고리즘이트러스의 경제적(經劑的)인 설계(設計)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SUMT법(法)에 의(依)한 2골절(滑節) I형(形) 강재(鋼材) 아치의 최적설계(最適設計) (Optimum Design of Two Hinged Steel Arches with I Sectional Type)

  • 정영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65-79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2골절(滑節) 강재(鋼材) 아치의 최적설계(最適設計)에 관(關)한 것으로 아치구조(構造)의 정확(正確)한 해석(解析)과 구조(構造)를 안전(安全)하며 경제적(經濟的)으로 설계(設計)하는 데 목적(目的)을 둔다. 구조해석(構造解析) 방법(方法)은 해석과정(解析過程)에서 구조물(構造物)의 처짐울 고려(考慮)하는 유한차분법(有限差分法)을 도입(導入)하므로 해석오차(解析誤差)를 소거(消去)하여 구조물(構造物)의 단면력(斷面力)을 결정(決定)할 수 있는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한다. 최적화문제(最適化問題)는 설계변수(設計變數)를 단면(斷面)의 칫수들(B, D, $t_f$, $t_w$)로 하는 목적함수(目的函數)와 제약건식(制約件式)으로 형성(形成)한다. 목적함수(目的函數)는 아치구조(構造)의 총(總) 중량(重量)으로하고 제약조건(制約條件)은 한국(韓國) 도로교(道路橋) 표준시방서(標準示方書)에 규정(規定)된 허용응력(許容應力), 플랜지와 복부(腹部)의 최소칫수에 관한 규준(規準)을 사용(使用)하고 I형(形) 단면(斷面)의 경제적(經濟的) 높이 조건(條件)과 복부(腹部)의 상한계(上限界) 칫수와 플랜지 폭(幅)의 하한계(下限界) 칫수를 포함(包含)하여 유도(誘導)된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개발(開發)된 비선형계획문제(非線型計劃問題)를 풀기 위해 수정(修正) Newton Raphson 탐사법(探査法)을 사용(便用)하는 SUMT 기법(技法)을 도입(導入)하여 수치예(數値例) 통(通)하여 시험(試驗) 본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개발(開發)된 아치구조(構造)의 최적화(最適化) 프로그램은 여러 아치구조(構造) 수치예(數値例)를 통하여 시행(試行)하고 고찰(考察)한다. 이러한 수치결과(數値結果)를 통(通)하여 본 알고려즘의 최적화(最適化) 가능성(可能性), 적용(適用) 가능성(可能性) 및 수검성(收檢性)과 타(他) 문현(文獻)(30)을 사용(使用)한 수치결과(數値結果)와도 비교분석(比較分析)한다. 본(本) 연구(硏究)의 최적단면적(最適斷面績)과 2차(次)모멘트의 상관관계식(相關關係式)은 많은 수치적(數値的) 최적설계(最適設計) 결과(結果)로부터 도출(導出)한다.

  • PDF

한국 성인의 상악 대구치 임상치관의 형태와 크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rphology and Size of Clinical Crown of Permanent Maxillary Molar in Korean Adult)

  • 차권실;오상천;동진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79-9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morphology and the size of permanent maxillary molar in Korean Adult. The 100 dental college students with a normal dentition and without any dental prosthesis and severe car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taken impression to make study model. On the study model, authour three times measured those sizes and estimated morphological structures with a calipers, a Boley gauge and a protract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maxilary first molar's clinical crown height, mesiolingual cusp height was 6.34mm, mesiobuccal cusp height was 6.05mm, distobuccal cusp height was 5.20mm. And in the maxillary second molar's clinical crown height, mesiobuccal cusp height was 5.85mm, mesiolingual cusp height was 5.71mm, distobuccal cusp height was 5.51mm, distolingual cusp height was 3.53mm. This result considered that the maxillary first molar inclined to distobuccal, and the maxillary second molar more upright than the maxillary first molar. 2. In the width of clinical crown, the maxillary first molar was 10.43mm, the maxillary second molar was 10.20mm,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ar's width and the second molar's width was 0.23mm. 3. The crown thickness was measured divided into mesial buccolingual half and distal buccolingual half. The mesial buccolingual half was 11.14mm, and distal buccolingual half was 10.35mm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in the maxilary second molar, mesial buccolingual half was 11.25mm, and distal buccolingual half was 9.72mm. This result considered that height of convergency located in mesial half of crown. 4. In the buccal groove length, total length and ratio, the maxillary first molar was 52.5%, the maxillary second molar was 50%. And the development of buccal groove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was 59% in case of the well developed buccal groove and 41% in case of the weak developed one. And frequency of buccal pi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was 12.5%. Whereas, the frequency of buccal of the well developed buccal groove in the maxillary second molar was 37% and that of the weak developed one was 63%. And frequency of buccal pit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was not seen. 5. The 3 cusp type tooth cannot be found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the frequency of 3 cusp type tooth in the maxillary second molar was as small as 6% 6. In the case of 4 cusp type tooth, the size of distal lingual cusp molar was difference between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in the maxillary second molar by about 1mm. 7. The intercuspal distance was similar in the maxillary first premolar and second molar. And intercuspal distanc of mesial half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the maxillary second molar was silmillar, too. 8. The an measurement of occlusal surface in 4 cusp type tooth showed that the angle of occlusal surface between the distobuccal and mesiolingual was an obtuse angle, and the angle of occlusal surface between mesiobuccal and distolingual was an acute angle in the both cases of maxillary first and second molar. 9. The measurements of the development of Carabelli cusp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the well developed one was 7% and that of the weak developed one was 56%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there cannot be found the well developed one and can be found 2.5% only in the case of the weak developed one in the maxillary second molar. 10. The well developed oblique ridge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showed the 100% frequency and that in the maxillary second molar showed the 85.5% frequency. The frequency of mesiomarginal ridge tubercle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was 82% and that in the maxillary second molar was 30.5%. And the frequency of distal accessory tubercle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can be seen about 19% and that in the maxillary second molar can be seen about 1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