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with Music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초

지상파 DMB 베트남 진출 사례를 통한 T-DMB 글로벌 확산 연구 (A Study on the Global Diffusion through a Case for the Expansion of the T-DMB into Vietnam)

  • 은종원;박성열;윤동승
    • 산업클러스터
    • /
    • 제4권1호
    • /
    • pp.1-13
    • /
    • 2010
  • 디지털방송 기술과 통신 기술이 융합되어 탄생한 지상파 DMB는 CD 수준의 음질을 제공하고 시속 300Km 이상의 빠른 속도로 달리는 KTX와 같은 초고속 열차에서도 TV 수신이 가능하며, 다양한 방송통신 융합형 서비스를 휴대폰, PDA, 전용단말기 등을 통해 제공이 가능한 기술로 세계 속으로 확산되고 있다. 본 논문은 T-DMB 글로벌 확산에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을 정립하여 이를 베트남 시장 진출에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베트남에 유료 T-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T-DMB 시스템 구축에 관한 사례를 기술한다. T-DMB 베트남 진출은 T-DMB 글로벌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견된다.

  • PDF

비디오아티스트 슈테이너 바술카와 우디 바술카의 미적 전략 (Aesthetic Strategies in Steina and Woody Vasulka's Video Art)

  • 임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61-266
    • /
    • 2020
  • 슈테이너 바술카(1940-)와 우디 바술카(1937-2019) 부부는 초기 비디오아트의 선구자로서 그들 특유의 실험적 예술을 비롯해 동시대의 아방가르드 퍼포먼스와 음악, 시각예술 세계 전반의 변화를 이끌어 냈다. 두 예술가는 디지털 수단들에 의해 변화하는 비디오이미지 프로세싱 작업을 위하여 엔지니어와 협업하며 기계장치를 개발하거나 응용하여 디지털이미지 변형 실험을 수행했다. 그들에게 비디오아트는 단순한 기록의 수단이 아니었다. 바술카 부부의 예술적 실천은 예술의 전통적인 규범이나 비평적 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인간의 시각과 기계의 시각을 공존하게 하는 적극적인 미적 전략의 일환이었다. 특히 그들의 비디오아트는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지배하기 시작한 시대에 비디오를 핵심적 미디어로 인식하고, 비디오카메라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움직이는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예술가의 권위를 개척했다는 점에서 더욱 그 가치를 부여할 수 있겠다. 이에 본고는 그 동안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되지 않은 바술카 부부의 지난 예술의 여정을 되돌아보고, 그들의 비디오아트가 지닌 시대적 맥락과 미적 전략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제안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게시된 디지털 자산의 사후 관리 시스템 (A Post-Management System of Digital Assets on Social network Services)

  • 문운석;김석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209-214
    • /
    • 2015
  • 페이스 북이나 플리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매우 유용한 서비스이다. 인터넷만 연결된 상태라면 음악, 사진, 문서 등을 자유롭게 게시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해 준다. 하지만 이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게시된 디지털 정보들이 사용자가 사망한 경우에도 여전히 공개되어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사람이 나쁜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페이스 북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UC Irvine 대학교의 Jed R. Brubaker의 연구 결과를 적용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런 노력들이 아직까지는 별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페이스 북, 플리커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게시된 디지털 정보를 안전하게 상속권자에게 위임해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시스템은 Jed R. Brubaker와 Jeong-Kyung Moon이 수행한 선행 연구와 비교해서 우리가 제안한 연구 방법이 타당하고, 향후 연구를 통해서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게시된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Listener Auditory Perception Enhancement using Virtual Sound Source Design for 3D Auditory System

  • Kang, Cheol Yong;Mariappan, Vinayagam;Cho, Juphil;Lee, Seon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5권4호
    • /
    • pp.15-20
    • /
    • 2016
  • When a virtual sound source for 3D auditory system is reproduced by a linear loudspeaker array, listeners can perceive not only the direction of the source, but also its distance. Control over perceived distance has often been implemented via the adjustment of various acoustic parameters, such as loudness, spectrum change, and the direct-to-reverberant energy ratio; however, there is a neglected yet powerful cue to the distance of a nearby virtual sound source that can be manipulated for sources that are positioned away from the listener's median plane. This paper address the problem of generating binaural signals for moving sources in closed or in open environments. The proposed perceptual enhancement algorithm composed of three main parts is developed: propagation, reverberation and the effect of the head, torso and pinna. For propagation the effect of attenuation due to distance and molecular air-absorption is considered.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sounds with the environment, especially in closed environments is reverberation. The effects of the head, torso and pinna on signals that arrive at the listener are also objectives of the consideration. The set of HRTF that have been used to simulate the virtual sound source environment for 3D auditory system. Special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modelling and interpolation of HRTFs for the generation of new transfer functions and definition of trajectories, definition of closed environment, etc. also be considered for their inclusion in the program to achieve realistic binaural renderings. The evaluation is implemented in MATLAB.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의 영상콘텐츠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Mobile Video Contents Application )

  • 스위;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311-316
    • /
    • 2020
  • 은 2016년 중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모바일 앱 기반의 SNS 동영상 플랫폼이다. 서비스가 시작된 처음에는 뮤직 비디오 콘텐츠가 주를 이루웠고, 이후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소셜 플랫폼으로 발전하였으며 영상의 창작, 제작, 편집 등의 제작과정이 간편하게 제공되었다. 모바일에서 이 서비스를 시작한 후 젊은층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의 사회 현상과 본 앱에서 인기 있는 영상콘텐츠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세로형 Short Clip 형태의 영상콘텐츠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 추세이며, 이는 모바일 기반 영상 제작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창작 동영상 제작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스마트 캠퍼스 실현을 위한 대학생의 디지털 기기/서비스 활용성 및 유용성 조사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Use and Assesment with Digital Devices and Services for Realizing Smart Campus)

  • 이진명;조은빛;이화옥;나종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27-3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캠퍼스 실현을 위해 캠퍼스 내 다양한 활동에 있어서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기/서비스 활용성 및 유용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대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보유율은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톱pc, 디지털 카메라 순이며, 향후 구매의향이 높은 디지털 기기는 가상현실 기기, 스마트워치/밴드, 태블릿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 캠퍼스의 세 영역 중 '생활'에서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화가 실현되고 있으나 '교육'에서는 여전히 데스크톱pc와 같은 고정형 기기의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를 탐색하거나 공유할 때 디지털 기기 활용을 유용하게 지각하였다. 셋째, 대학생들은 학습 시 검색엔진, 메신저, 온라인 도서관 등의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며, 생활에 있어서는 메신저, 음악 및 비디오 서비스 등을 많이 이용하였다. 서비스 활용률과 지각된 유용성이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디바이스 이용 소비자의 사용행태 및 사용자 경험 분석 (Analysis of User Experience and Usage Behavior of Consume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AI) Devices)

  • 김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9
    • /
    • 2021
  •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디바이스가 차세대 정보통신기술(ICT)의 핵심 플랫폼으로 급부상하고 있고, 소비자들의 일상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디바이스를 통해 소비자의 사용행태 및 사용자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AI 디바이스 사용 경험이 있는 국내 소비자 600명을 대상으로 AI 디바이스의 속성 인식과 사용행태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속성 중 음악청취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날씨 정보제공과 같은 단순한 기능을 유용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I 디바이스 사용자의 주요 사용기기는 AI 스피커, 스마트폰, PC, 노트북 등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AI 디바이스에 대한 연상 이미지는 재미있는, 유용한, 신기한, 똑똑한, 혁신적인, 친근한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AI 디바이스의 특성을 반영한 사용 행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AI 디바이스를 활용한 사용자의 서비스 제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온라인 콘서트의 사용자 경험 연구 -KPOP 온라인 콘서트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Online Concert -Focusing on the case of KPOP Online Concert-)

  • 홍현주;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349-354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사태로 인하여 국내가요의 콘서트 시장이 온라인 무대로 옮겨지면서, 온라인콘서트의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K-POP(Korean Pop Music) 온라인 콘서트에 참여한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스티븐 앤더슨(Stephen P. Anderson)이 제안한 감성 인터페이스(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의 6단계 피라미드 구조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의 성향과 콘서트 콘텐츠 구성,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기술과 양질 등 단일 요인이 아닌 다양한 요인들이 사용자 경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기술의 접목은 기술적 완성도가 높을 경우 유희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완성도가 다소 떨어질 경우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온라인 콘서트 발전 방향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스트리밍 환경에서 게임 영상 제작 분석 (Analysis of Game Video Production in Streaming Media Environment)

  • 이건박;유석호;현승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69-7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스트리밍 기술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각 플랫폼에서의 게임 영상의 특징과 기능을 정리했다. 게임 영상은 게임을 소재로 하여 마케팅과 게임플레이 방법 전파 등의 목적으로 게임콘텐츠 자체와 관계성이 높다. 영상 길이가 짧고 전파도 간편하다. 게임 영상 내용의 주된 유형은 게임 해설, 게임전략, 웃기기, 모방하기, 뮤직비디오, 게임 정보. 게임홍보동영상 기능 등으로 게임에 대한 직·간접적 홍보로서 제작자와 이용자에게 각각의 이유로 활용되어진다. 이 글은 게임 영상의 제작 주체와 제작 조건 등을 제작과정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제작 주체는 직업 창작자, 비 직업 창작자와 일반 사용자로 나뉘며, 게임 동영상 제작 동기는 주로 경제적 실리를 얻기 위해, 게임 영상 제작 방식은 게임 중 무작위로 생성되는 것과 사전 기획 후 촬영하는 것 두 가지다. 게임 동영상에 대한 실례를 통해 제작 과정을 추출 제시하였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지능형 스피커의 활용성 분석 (Analysis of the utility of intelligent speakers i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 이성훈;이동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41-46
    • /
    • 2022
  • 사물인터넷환경에서의 스마트 홈은 가정안에서의 모든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에 최적의 생활환경을 제공함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스마트 홈 환경에서 모든 기기들을 관리,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공지능 스피커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스피커 기능이 단순한 음악재생에서 스마트 홈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기기들을 제어, 관리하는 인터페이스의 역할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선두 주자인 미국 및 국내의 시장 현황 및 활용성 분석 내용을 다루었다. 주요 대상 기업으로는 미국의 아마존, 구글, 애플등을 비롯하여 국내의 kakao, SKT, KT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국내 사용자들의 반응 결과를 토대로 주요 문제점에 대한 도출 및 개선 방안등에 대해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