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Researcher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31초

PPG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의 분석적 평가 - 연구자 임상 (Analytical Evaluation of PPG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 researcher clinical trial)

  • 박철구;최상기;조성근;김권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33-39
    • /
    • 2023
  • 본 연구는 모세관 혈당의 혈당값을 대조군으로 연구 참가자의 혈액 포도당을 모니티링할 때 PPG 센서와 DNN 예측알고리즘이 융합된 혈당모니터링 시스템(PPG-BGMS)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는 2023년 9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자 임상시험이다. PPG-BGMS는 1분간의 심박수, 심박변이도 정보와 DNN 예측알고리즘을 활용한 예측된 혈당수치와 개인용혈당관리시스템의 혈당측정기로 측정한 모세관혈당 수치와 비교했다. 총 100명의 참가자 중 제2형 당뇨(T2DM) 유병인은 50명이며, 평균연령은 67세(28세~89세)이다. PPG-BGMS의 예측혈당의 100%가 Clarke 오류그리드 및 Parker(Consensus) 오류그리드의 A+B 영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PG-BGMS 예측 혈당의 MARD 값은 5.3 ± 4.0 %이다. 결과에 의하면 비채혈식 PPG-BGMS는 임상표준의 채혈식 개인용 혈당측정시스템의 순간 혈당수치와 비교하여 열등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촉매 시스템에서의 촉매 용량 결정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termination of Capacity of Catalysts in 2 -Catalyst System)

  • 고광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1-15
    • /
    • 2003
  • There are various method for the LEV(Low Emission Vehicle) regulation, but 2-catalyst system using one catalyst near exhaust manifold and another catalyst underfloor, is the most popular. This system uses the proven catalyst technology and doesn't use energy. Bu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capacity of the two catalysts. So an optimization method to determine the capacity has been proposed by other researcher. It uses the fact that emission decreases with capacity increasing, but the decreasing ratio slows down in high capacity range. It means that the emission and capacity of catalyst is exponentially decreasing relation. In this paper this method will be verified with various experiments. And this method was proven to be very useful to determine the capacity of two catalysts system.

  • PDF

Analyzing the Major Issu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Jeon, Jeonghwan;Suh, Yongyoo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6권3호
    • /
    • pp.262-273
    • /
    • 2017
  • Recently, the attention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increas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boundaries between physical space, digital space, and biological space are becoming blurred because of the active convergence between various fields. There are many issues abou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cyber physical system. To cope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 accurate analysis and technology planning need to be undertaken from a broad point of view.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analysis of the major issues abou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se major issues. Data mining such as topic modelling method is used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researcher and policy make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이슈 분석

  • 전정환;서용윤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21-1321
    • /
    • 2017
  • Recently the attention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increas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boundaries of physical space, digital space, and biological space are becoming blurred since the active convergence between various fields There are a lot of issue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 big data, and cyber physical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main issu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ata mining such as topic modelling method is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researcher and policy make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Education System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 Industry

  • Kim, Ji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145-150
    • /
    • 2019
  •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is rapidly progressing. The scop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is affecting not only the entertainment industry but also various industrie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vergence using realistic content, games, video, and VR have provided new opportunities for the growth of the content industry. The researcher determined that a new education system would need to be changed as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developed. For this purpose, an AHP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experts with a high basic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 platform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proposed a platform mode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an education system that meets the demand of digital contents industry. The education system for nurturing talents needed by future society should include elements that can interest the learning of users. The platform should not be approached from a system point of view, but should be developed from the content and user's point of view, considering the platform's original purpose.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과 조직내 극대화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Maximization Plan within Organization)

  • 박영진;조철규;김평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6_2호
    • /
    • pp.15-24
    • /
    • 2014
  •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기초로 하여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과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3년 7월 14일~8월 15일까지 광주지방경찰청 소속으로 재직중인 경찰관 163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무작위표본추출(rendom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설문조사에 응하도록 하였으며, 최종 분석으로 사용된 자료는 SPSS for Win Version 17.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의 하위변인인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경찰공무원의 조직학습은 조직몰입 뿐만 아니라 조직유효성의 하위변인인 직무만족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디지털미디어 VOD 서비스 시청행태의 종단 시계열추세 연구 - 5년간 지상파VOD의 실적을 중심으로 (A Longitudinal Time Series Study on the Viewing Behavior of Digital Media VOD Service Focused on Terrestrial VOD of IPTV for 5 years)

  • 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77-283
    • /
    • 2017
  • 본 연구는 디지털미디어 서비스 IPTV의 VOD 시청 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2013년 지상파 VOD 서비스의 홀드백이 연장된 이후 시청자의 지상파 VOD시청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연구자는 지상파의 VOD 시청 감소의 원인이 영화, 키즈 등의 대체 상품의 시청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보았다. 또한 지상파 VOD 시청의 감소는 전반적인 VOD 시청 감소로 이어지고 실시간 방송의 시청률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기업의 실제 5년간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지상파 사업자가 VOD의 시청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콘텐츠품질의 내용 측면 강화와 더불어 2013년 연장했던 VOD 홀드백을 단축하여 지상파로부터 멀어진 시청자를 다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VOD 서비스를 비롯한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미디어 산업이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 사회참여와 성별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of Older Adults: The Role of Social Participation and Gender Difference)

  • 원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09-316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배제-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사회적 배제-사회참여-우울의 관계가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6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65세 이상 남성 1,925명과 여성 2,653명을 대상으로 2차자료 분석하였다. 사회적 배제 요인 중 근로, 건강, 주거 배제가 남성 노인의 우울을 증가시켰으며, 여성 노인은 근로, 건강, 주거와 더불어 교육에서의 배제도 우울감을 증가시켰다. 남성 노인은 종교, 친목, 여가, 동창회모임의 참가율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아졌으며, 여성 노인은 종교모임과 여가활동의 참석빈도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감소했다.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 모델에서 매개효과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다중집단분석결과 남성과 여성 노인의 모델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참여를 확대하고 우울을 경감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운동재활프로그램 참여자의 건강인지, 주관적 삶의 질,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gniti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among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participants)

  • 강용구;김종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35-442
    • /
    • 2021
  • 본 연구는 운동재활프로그램 참여자의 건강인지, 주관적 삶의 질, 운동지속의사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병원 및 스포츠센터 등에 재활의 목적으로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센터의 협조를 통하여 연구자가 목적 및 설문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설명하고, 동의 후 총 228부 중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한 24부를 제외한 204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잠재변인 간 관계 파악을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운동재활프로그램 참여자의 건강인지의 정도와 주관적 삶의 질, 운동지속의 관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건강인지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개인의 물리적 환경 및 사회적 환경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디지털미디어서비스에 관한 시청자의 다양성 인식 실증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Diversity on Digital Media Services)

  • 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37-244
    • /
    • 2018
  • 본 연구는 디지털미디어서비스를 시청하는 수용자가 미디어서비스의 콘텐츠 다양성 개선 정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IPTV 사용자를 중심으로 디지털미디어 서비스의 다양성 인식이 사용자의 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국단위 샘플 1,373명을 확보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미디어서비스 수용자는 채널 및 VOD편수 등의 공급측면의 다양성 인식이 시청 접근성. 즐거움 인식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콘텐츠에 출연하는 인물의 다양한 등장도 시청 접근성, 즐거움 인식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 접근성, 채널과 인물의 다양성 인식, 즐거움 인식 등은 IPTV 사업자의 다양성 기여에 대한 인식과 이용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자의 미디어 다양성 인식을 실증하는 연구가 소수이나 이러한 모형검정의 시도가 향후 관련 미디어 정책을 마련하고 미디어 기업의 공익적 책무를 주지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