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Curriculum

검색결과 793건 처리시간 0.029초

NCS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by using NCS)

  • 백진욱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217-224
    • /
    • 2021
  • 인공지능 등의 4차 산업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 최근의 대학 사회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대학의 입시 환경도 심각하게 어려워지고 있어 대학 내에서 학과와 전공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의 학과는 학과의 내·외부 환경에 따라 새로운 전공 또는 융합 전공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과정을 정확하게 개발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긴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사용한 교육과정 개발 방법과 적용 사례를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개발 방법은 전통적인 3단계 방식, 즉 분석, 설계, 그리고 개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서 NCS를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교육과정 개발의 시간을 줄이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교육과정 개발의 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f NCS-based Curriculum)

  • 고경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69-82
    • /
    • 2015
  •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교육학 이론의 관점에서, 특히 Tyler의 과학적 교육과정과 이를 둘러싼 논쟁을 검토하여 최근 전문대학교에 전면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NCS 기반 교육과정이 가진 한계와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은 산업체 인력수요와 대학 인재양성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능력중심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둘째, 청년실업의 확대, 산업인력의 고령화, 학력차별의 구조적인 문제 등을 갖고 있는 고용시장에서 인력수요 불일치 문제가 전문대학의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으로 해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셋째, NCS 기반 교육과정이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있는 Tyler의 과학적 교육과정개발 절차와 핵심요소를 둘러싼 정당성과 이데올로기에 대해 많은 논쟁이 이루어졌고, 그 한계가 지적되어 새로운 교육과정 패러다임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넷째, 다양한 한계 내에서도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력수요의 불일치 문제와 관련한 사회 경제 정치적 관계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결점을 찾아야하고, 직무 능력과 표준에 대한 규정의 주체 문제, 창의적 융복합 시대에서 NCS의 사회적 유효성 문제,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 및 실천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한다.

N-대학의 융합교육에 대한 교수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Faculty's Perceptions on Convergence Education in N-University)

  • 전수경;장익준;박은숙
    • 한국교육논총
    • /
    • 제41권2호
    • /
    • pp.55-70
    • /
    • 2020
  • 본 연구는 N-대학에서의 융합교육 모델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로 교수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9년 9월에 온라인 설문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80개의 응답을 얻었다. 연구분석을 위해서 SPSS 23을 사용하였으며,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여교수가 남교수에 비해서 연계전공확대에 대해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이었다. 둘째, 조교수가 부교수에 비해 융합교육과정 개설에 대해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이었다. 셋째, 다중회귀분석결과 복수전공확대에 대한 선호도가 융합교육과정 개설에 가장 크게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는 대학 교수의 공감대 형성과 참여를 위해서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교육부에서는 좀 더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융합교육지원센터 등의 설립을 통해서 개별 대학을 지원하는 것 등이 요구된다.

  • PDF

SW·수학·과학 융합형 교수·학습 자료에 나타난 교육과정 성취기준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n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Software·Mathematics·Science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 정웅열;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23
    • /
    • 2018
  •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갈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SW) 교육이 필수화 되었고, 소프트웨어 융합을 강조하는 과학 수학 정보 교육 진흥법이 제정되었다. 따라서 실생활 및 다양한 학문 분야의 문제 해결을 위해 소프트웨어와 수학, 과학을 어떻게 융합하여 교육해야 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교육부 등이 연구 개발하여 전국의 중 고등학교에 보급한 SW 수학 과학 융합형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소프트웨어 융합 교육의 방향성과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향후 SW, 수학, 과학 융합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공학과 디자인의 협업을 위한 공학 계열 종합설계의 수행절차와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procedure and method for engineering comprehensive design for collaboration between engineering and design)

  • 허원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25-130
    • /
    • 2020
  • 공학교육인증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들은 설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공학 분야의 종합설계 교과목은 설계의 기능적 요소과 제한요소를 반영하여 결과물을 제작하도록 하고 있다. 체계적인 설계 교육도 중요 하지만 종합설계 교과목이 창의적 교육프로그램이라는 측면에서 다학제적 융합 교육 적용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강의한 2019년 공학 계열 종합설계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공학과 디자인의 융합 적용사례를 기술하였다. 공학과 디자인의 협업을 위해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실제 결과물에 적용하기까지의 과정을 기획 및 주제 선정, 콘텐츠 설계, 소프트웨어 설계, 발표 및 평가의 절차로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을 적용하게 함으로써 공학계열의 종합설계 교과목에서 기술에만 치중하지 않고 공학과 디자인의 융합 프로세스의 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광고홍보학과 융합교육 혁신을 위한 학계와 업계의 팀티칭 교수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Team Teaching in Academia and Industry for The Innovation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Department Convergence Education)

  • 한상필;최윤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35-245
    • /
    • 2021
  •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과거보다 복잡해진 광고홍보산업 생태계의 복합적인 문제들이 제기되면서, 융합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계와 업계의 팀티칭 교수법을 통한 융합교육과 관련된 문헌연구와 광고홍보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팀티칭 교수법의 유용성과 실행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광고홍보학과 교과과정에서 학계와 업계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팀티칭 방법의 도입은 적절하며, 학계와 업계의 두 명 이상의 교육자가 공동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팀티칭은 이론과 실무를 융합한 문제해결 능력 역량을 갖춘 학생 양성에 목적을 두고 있는 의미 있는 교육방법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광고홍보학과 팀티칭 교육의 탐색적 연구로 새로운 산학 협동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학계와 업계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COMPOSITION OF A UNIFIED MODEL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QUALIFICATION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CONVERGENCE MAJOR IN DAEGU UNIVERSITY

  • Kim, Young-Jun;Kim, Wha-Soo;Rhee, Kun-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40-5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nstructing a unified model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qualification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procedures in which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meetings were construct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from the classification of qualification types into professional teacher type and coordinator type by focusing on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which are related convergence fields that affect the qualification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The two convergence fields, such as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welfare, lead to a separate application bas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welfare for the qual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disabled, and finally confusion and conflict in the nature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related services. A dichotomy structure system in which this phenomenon results in a divided type of qualification training for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with disabilities was composed of several samples. In this regard, the curriculum and related services that can build convergence field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reflected in the context of priority through the criteria that should be emphasiz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disabled in the overall category of establishing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by forming four qualification criteria centering on this, the common convergence field was composed of special education, thereby enhancing the aspect of inclusion in the rehabilitation welfare field and specific convergence in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s a result, the two qualification types were unified.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with AI Literacy

  • Jihye Kim;SunKwan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281-288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AI 리터러시 영역별 목표와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미술, 음악, 체육과의 목표 연구, 통합예술교육의 목표와 요소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2개의 주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1차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수정 및 보완 후 학생에게 수업 적용하였고, 학생들의 AI 리터러시 사전/사후 검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2차 수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3차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AI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이미지생성AI시대 애니메이션학과의 교과·비교과 운영 안 연구: AI기술융합 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How to Operate the Curriculum·Comparative Division for Animation Majors in the Era of Image-generating AI: Focusing on the AI Technology Convergence Process)

  • 박성원;공유진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1권4호
    • /
    • pp.99-119
    • /
    • 2024
  • Focusing on the rapid progress of image generation AI,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alent requir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ontent industry, and proposes an educational management plan for the subject and comparative department of the university's animation major. First, through environmental analysis, the trend of the animation content industry is analyzed in three stages, and the necessity of producing AI-adapted content talent is derived by re-establishing the talent image of the university's animation major and introducing it into rapid education. Next, we present a case designed by applying teaching methods to improve technology convergence capabilities and project-oriented capabilities by presenting subject and non-curricular cases operated in the animation department of the researcher's university. Through this, we propose the necessity of education to cultivate animation content talent who can play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roles by utilizing various AI systems in the futu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ornerstone study by presenting application cases and having the status of a university as a talent supplier that can lead the content industry beyond the era of AI content production that breaks the boundaries of genres between contents. In conclusion, it is intended to propose the application of education to create value through technology convergence capabilities and project-oriented capabilities to cultivate AI-adapted content talents.

통합교과로서의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 운영방안 탐구 (A Study of Game Project Curriculum for Integrated Subject)

  • 최승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11-122
    • /
    • 2016
  • 본 연구는 이질적인 속성을 가진 학문분야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합교과의 의미는 게임 현장에서처럼 게임 기획, 프로그램, 그래픽과 같은 이질적인 분야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방안은 국내에서 2008년도부터 A 교육기관에서 진행해온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증 및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통합교과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내용을 분류하여 구성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책임감" 및 "협업 능력"과 같이 학습되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부분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단계별로 진행되는 팀 구성, 프로젝트 계획, 팀 운영 및 협업, 중간 및 기말 발표, 그리고 평가 부분에 대한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된 운영방안이 통합 교과로서의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밑거름 및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