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s viewpoint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6초

수입소비재(輸入消費財) 유통구조(流通構造)의 효율화(效率化) 방안(方案) (An Analysis of the Imported Consumer Goods Distribution Sector of Korea: From a Vertical Structure Viewpoint)

  • 남일총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3권1호
    • /
    • pp.3-33
    • /
    • 1991
  • 80년대에 들어서 본격화된 개방정책(開放政策)의 결과 대부분의 소비재(消費財)가 수입가능품목(輸入可能品目)이 되었고 이에 따라 소비재(消費財)의 수입(輸入)은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고(本稿)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입소비재(輸入消費財) 유통구조(流通構造)의 현황(現況)을 분석하고 가격상승 및 후생감소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파악하며 이의 개선방안(改善方案)을 모색해 보았다. 본고(本稿)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수입소비재(輸入消費財) 유통구조(流通構造)를 국제시장(國際市場)-수입단계(輸入段階)-국내(國內) 도(都) 소매단계(小賣段階)의 수직적 구조로 파악하고 이 수직적 구조를 구성하는 각 수평단계의 산업조직 및 수평단계를 연결하는 수직적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가격결정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수입소비재(輸入消費財) 유통구조(流通構造)의 수평단계는 상품(商品) 및 지역(地域)에 의해 차별화된 독점적 경쟁 시장으로 볼 수 있으며, 수평단계간에는 대리점계약(代理店契約)과 재판매가격유지(再販賣價格維持)의 수직적(垂直的) 통제(統制)(vertical restraints)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수입소비재(輸入消費財) 유통구조(流通構造)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독과점적(獨寡占的) 수입(輸入)에 따른 수입상의 독과점력, 국내 메이커에 의한 동종상품 수입에 의한 경쟁제한, 유통업자간의 담합 및 이의 유지를 위한 재판매가격유지(再販賣價格維持)의 성행, 불확실성(不確實性)과 정보불균형(情報不均衡)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수입소비재(輸入消費財) 및 경쟁국산상품(競爭國産商品)의 가격하락(價格下落)과 국산상품(國産商品)의 품질개선(品質改善)을 유도하기 위하여는 독과점적 수입계약과 국내메이커에 의한 동종상품의 수입에 대한 공정거래규제(公正去來規制)를 도입하여야 하며, 수입가격표시제의 확대실시 및 탄력적 운영을 통한 합리적(合理的) 정보제공(情報提供)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수입소비재(輸入消費財)의 유통구조는 또한 국내(國內) 도(都) 소매업(小賣業)의 일반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규모의 영세성, 무자료거래의 성행, 근대적 대형유통업체(大型流通業體)의 부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본적으로 상가(商街)와 물류시설(物流施設)의 공급부족과 현행 부가가치세제(附加價値稅制)에 그 원인이 있다. 따라서 수입소비재 유통구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상업용 및 물류시설용 부동산의 공급확대유도(供給擴大誘導)와 부가가치세제(附加價値稅制)의 합리적 운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전자상거래의 보안기술과 지불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Payment Method & Security Technology of Electronic Commerce)

  • 조원길
    • 정보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35-52
    • /
    • 1999
  • 구매자와 공급자가 새로운 전자화폐를 통한 결제시스템의 도입에 있어 공급자의 과제는 전자화폐의 유용성에 대한 평가기준인 상업성, 안정성, 제한조건 등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용자인 구매자와 상인이 안전한 결제시스템을 선택할 경우에 그들의 needs를 분석하여 활용해야 하며, 특히, 상업적 조건은 새로운 지불방식에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한다. 즉, 사용하기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야 함을 물론 다용도로 쓰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필요성의 충족 없이(즉, 보안기술의 확보 등)는 궁극적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외면 받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게 해 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에 이바지 할 것이다.

  • PDF

재래시장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서의 재래시장 활성화 실천방안 연구 (A Study for Revitalizing Program of Traditional Markets)

  • 김용호;송경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8권
    • /
    • pp.91-113
    • /
    • 2006
  • Most merchant of traditional markets think that the condition of market management is getting worse because of decreasing customers caused appearance of large retail stores such as discount store and changing of consumer's life style. Therefore special law was legislated for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s in 2005. This special law include important articles about surroundings improvement, business management modernization and redevelopment of traditional markets. According to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data, korea government furnished 177billion and 11billion(won) separately for the facilities and management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Traditional markets of whole country planned and practiced modernization of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raditional markets. And most of traditional markets interested in a large project such as establishment of arcade and car parking, remodelling of building, pavement of passageway etc. By the way, under the long term viewpoint, a large project presented above are not the best solution for the traditional markets because of its effectiveness. Maybe, for example, improvement of store signboard and display stand is more effective for the long time. As the problem of management modernization, yet a credit transaction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nly four markets have a plan for the credit transactions. And above all, we must realize that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s can be accomplished by merchant's own initiative participation.

  • PDF

커피 전문점 드라이브 스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 Awareness of the Drive-Thru in Coffee Shop)

  • 오철환;김동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80-388
    • /
    • 2020
  • 본 연구는 서비스 사업의 한 방법의 일환인 드라이브 스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유형에 관한 주관성 연구를 통하여서 드라이브 스루라는 서비스의 방식이 업체 경영자의 관점에서 보다 이용자의 관점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드라이브 스루 업체 이용에 대한 이용자의 주관적 관점을 분석하고자 Q-방법론을 선택했고 탐색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진술문 카드를 응답자가 직접 분류하는 방법으로 분석 작업이 실행되었고 Q 모집단을 선별하여 구성하며 이를 통해 진술문을 작성한 후에 P샘플을 선정하여 분류작업을 거쳐 얻어지는 Q-sort를 PC QUANL 프로그램을 통해서 Q요인분석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3가지의 유형으로써 분류가 되었는데, 제1유형[(N=14): 가격대비 편리추구형], 제2유형[(N=4): 시간대비 효율추구형], 제3유형[(N=2): 신속추구형] 등으로서 유형마다 각각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을 통하여 검출된 각각의 주관적 의견을 통해 추후에 다양한 연구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 믿으며 향후 드라이브 스루 마케팅 수립과 미진한 부분의 개선 방향에 있어 참고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의 자선적 충동에 관한 측정도구의 개발 - 비영리단체에 대한 기부행위를 중심으로 - (The Scale Development of Consumer's Charity Impulse : Focusing on Donation Behavior toward Non-profit Organization)

  • 옥정원;서해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3호
    • /
    • pp.1-19
    • /
    • 2014
  • 본 연구는 비영리기관에 대한 기부행위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서 기존의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강조되어온 기부동기와 기부행위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는 기존의 기부동기와 기부행위간의 상황적 갭에 따른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갭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비영리 단체에 대한 개인 기부자의 기부동기와 기부행위간의 보다 더 정교한 심리적 요인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그러한 심리적 요인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연구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부동기와 기부행위간의 관계를 충동적 관점에서 자선적 기부 충동이라 명명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자선적 기부 충동성은 구체적으로 평가민감 충동성, 기능적 충동성, 보상민감 충동성, 무계획적 충동성 등의 4가지 요인들로 구분되었으며, 향후 소비자의 자선적 충동성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국 면세점 산업의 구조, 독과점인가? (Is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Monopolistic?)

  • 이희태;차문경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7-57
    • /
    • 2016
  • Purpose -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market structure of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that has received recent attention from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By raising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is unequivocally monopolistic, a wider viewpoint is provided. The study seeks to offer insight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arketers and policy makers who are in charge of regulating major Korean duty free shop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authors use secondary data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Korea Customs Service and the Moodie Report,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duty free shop industry of Korea. Based on several theories, they present various criteria and statistical evidence such as K-firm concentration ratio, HHI, consumer substitutability, excess profit, and marketing costs. Results - In terms of consumer substitutability,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is monopolistic. Notwithstanding monopol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arket share, neither the company Lotte nor Shilla appear to have market dominating power. It is not easy for either of them to control prices or to achieve a much lower operational profit ratio due to a dominant bargaining power. Moreover, the license is not an economic rent. In this situation, it is not easy for these companies to obtain an excessive profit. Conclusions - Considering that most global duty free shops are trying to go upscale to improve bargaining power, it does not seem likely that rigid regulations are needed in the industry. Even though the Korean duty free industry ostensibly has a monopolistic structure, government and policy-makers should look beyond the surface. They should take global and other reasonable criteria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establish or change regulation policies. Thorough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support are needed for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Additionally, duty free shops should position themselves as global companies struggling against unlimited international competition, rather than Korean domestic companies. At the same time, they need to give customers appropriate information about the benefits they provide.

나노위해성 관리를 위한 나노물질 주요 배출원 파악 (Investigation on the Main Exposure Sources of Nanomaterials for Nanohazards Assessment)

  • 김영훈;박준수;김휘로;이정진;배은주;이수승;곽병규;최경희;박광식;이종협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4호
    • /
    • pp.257-265
    • /
    • 2008
  • Nanotechnology is emerging a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of the 21 st century and is expected to enable one to broaden the applicability across a wide range of sectors that can benefit public and improve industrial competitiveness. Already, consumer products containing nanomaterials are available in markets including coatings, computers, clothing, cosmetics, sports equipment and medical devices. Recently, Institute of Occupational Medicine in UK reported an occupational hygiene review for nanoparticles in the viewpoint of nanotoxicity. They reported that the exposure control is very important issues in workplace for exposure assessment, but no proper methods are available to measure the extent of exposures to nanoparticles in the workplace. Therefore, for the estimation of exposure of nanomaterials, we have to approach the material-balance methodology, which similarly carried out in TRI (toxic release inventory) for hazardous chemicals. In order to use this methodology, the exposure source of nanomaterials should be determined firstly. Therefore, herein we investigated the main sources and processes for the exposure to nanomaterals by conducting the survey.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define and assess nanohazard sources.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에 따른 소비자 반응 탐색연구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SSM Regulation Law)

  • 남세현;조윤기;유정석;김동태
    • 유통과학연구
    • /
    • 제11권10호
    • /
    • pp.47-53
    • /
    • 2013
  • Purpose - Six months have passed since the amendment of the SSM regulation law; however, as yet, there is no confirmed research or report on the effects of this amendment, which are indefinite. Further, there have been no attempts to study the effects of the SSM regulation law from the consumers' viewpoint, which is important because consumers are the main agents that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amendment la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SSM regulation law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SSM regulation law on the changes in purchase behavi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was initiated from four research problems that are linked to consumer reaction to the SSM regulation law.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consumers' reaction (perception, attitude, and perceived fairness) to the SSM regulation law? Research problem 2: How do the consumers' reactions to the SSM regulation law differ by consumers' characteristics? Research problem 3: Could the SSM regulation law change a consumer's purchase behavior? Research problem 4: Is it necessary to amend the SSM regulation law?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through the interview and survey of housewives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research problem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as a pilot study for the field survey. We interviewed three housewives, who were: an employed housewife, a full-time homemaker, and a manager of a housewife club, respectively. We then conducted a field survey of 232 housewives who were housewife club members or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Chunghcheong-do. Results - We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and analyzed it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still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large discount chains and SSM, which has been the case since the law was introduced. Second, perceived risk of consumer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markets and small neighborhood shops was low. Third, consumers think that amendments of the SSM regulation law are important, and they positively assess the satisfaction, necessity, and propriety of the law. Fourth, although the SSM regulation law caused inconvenience to consumers, this law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usage frequency and the use-behavior of large discount chains. Finally, consumers reacted very negatively to the toughening up of the SSM regulation law. Conclusions - In short, consumers still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SM regulation law. However, this act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use-behavior of large discount chains (General Super Market). Thus, policy making authorities require active communication and promotions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SSM regulation law. This study was of the nature of exploratory research, which did not focus on hypothesis testing, but on finding solutions to the research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is no more than a simple data analysis. Future studies should attempt to investigate the actual effects of the SSM regulation law, on the basis of sufficient literature review and real sales data.

친환경농산물 소비행태 조사 -대형할인마트 고객을 중심으로- (A Survey of Consumer's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Focused on Consumers in Discount Stores-)

  • 이유시;홍미현;류경;김애정;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123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친환경농산물 소비 성향을 조사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생산과 유통을 활성화하고 친환경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체의 90.4%가 친환경농산물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방송, 언론 등을 통해서 친환경농산물의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고 76.4%가 친환경농산물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산물 구매경험군은 주1회 구매, 구매이유는 농약 등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해서, 친환경농산물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월 식품비의 20% 미만, 주로 구입하는 친환경농산물의 종류는 엽채류, 과일류 순이며, 구입처는 대형할인매장과 농협직판장이었다. 일반농산물과 비교하여 영양적 품질, 관능적 품질,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우수하다고 나타났으나 가격에 대한 만족은 낮았으며, 유통상의 문제점은 생산, 제조자의 낮은 신뢰성이었다. 친환경농산물 비구매경험군의 소비행태를 조사해 본 결과 일반농산물과 비교하여 영양적 품질, 관능적 품질,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우수하다고 나타났으나 일반농산물에 비해 20-30% 정도 비싸기 때문에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선뢰성 확보방안으로 생산자에 대한 지도단속 강화가 가장 필요하였으며, 가격, 품질 등 문제 해결 시 93.2%가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조사 결과, 첫째는 소비자의 신뢰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고, 둘째로는 소비 확대를 위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며, 마지막으로는 생산 제품의 종류 및 품목수가 다양화되기를 제언하고자 한다.

사고가 시각을 바꾼다: 조절 초점에 따른 소비자 감성 기반 웹 스타일 평가 모형 및 추천 알고리즘 개발 (Individual Thinking Style leads its Emotional Perception: Development of Web-style Design Evaluation Model and Recommendation Algorithm Depending on Consumer Regulatory Focus)

  • 김건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171-196
    • /
    • 2018
  • 본 연구는 디자인 영역 중 웹 스타일에 대해서 소비자 감성과 만족과의 관계를 연구했다. 기존 웹 스타일 연구들은 웹의 레이아웃과 구조도 등과 색상 등이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차별되게 웹의 구성 요소를 배제하고 소비자의 감성 지표만을 갖고 소비자 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검증을 위해 소비자 204명을 대상으로 40개 웹 스타일 테마를 선정, 각 소비자에게 4개씩 평가하도록 하였다. 소비자에게 평가하도록 한 감성 형용사는 18개의 대비되는 쌍을 갖는 감성 형용사로 구성하였고, 요인 분석을 통해 상위 감성 지표를 추출했다. 각 감성 지표들은 '부드러움', '모던함', '명확함', '꽉 참' 이었으며, 감성지표들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판단하여 가설을 수립했다. 분석 결과에 따라 가설 1과 2, 3은 채택되었으며, 가설 4의 경우는 기각되었다. 가설 4의 경우 기각되었지만 정의 방향이 아닌 부의 방향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조절 초점 성향이 감성이라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판단했다. 조절 초점 성향은 조직 행동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정치, 문화, 윤리적 판단 및 행동은 물론 광범위적 심리적 문제와 사고 프로세스, 감정적 반응에도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각 감성 지표에 대한 조절 초점 간 차이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고, 각 감성 지표에 대한 세부 가설을 수립했다. 세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조절 회귀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가설 5는 부분적으로 지지됐고, 가설 5.3만 지지되었고, 5.4의 경우 기각되었지만 가설과의 반대 방향으로 지지되었다. '명확함'의 경우 향상 초점이 소비자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보였고, 예방 초점일수록 '꽉 참'을 더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절 초점 성향을 향상, 예방, 중간 성향으로 3집단으로 구분, 소비자 감성 기반으로 웹 스타일에 대한 추천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