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jugal Powe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사회계층에 따른 부부의 권력과 폭력과의 관계 (Relations between Conjugal Power and Violence according to Social Class)

  • 전춘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33-146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onjugal power type and conjugal violence level according to social class.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onjugal power type and conjugal violence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2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onjugal power was measured with used to measure the conjugal violence level.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x2-test, Pearson's r,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Cronbach's α for reliability were perform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al class in conjugal power type: The higher social class of the family, the more Syncratic Type were found. And the lower social class of the family, the more Wife Dominant Type were found.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al class in conjugla violence level: Couples of the lowest class appeared to be more verbal aggression and physical violence. 3. The most severe Husband-to-Wife verbal aggression and physical violence were appeared when the conjugal power type is either Husband Dominant Type or Wife Dominant Type.

  • PDF

부모의 성역할 유형 부부간 권력유형과 아버지의 유아기 자녀양육 참여도 (Degree of Fathers Participation of Child-rearing in Relation to Demograpic Variables Parents' sex-role Streotypes and Conjugal Power Structure)

  • 이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1권1호
    • /
    • pp.191-202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father's participation on child-rearing in relation to parents' sex-role streotypes and conjugal power structure and backg-round factors(children's sex paternal aged and educational level. maternal employment status a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The subjects of the study 368 couples who have preschoolers.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from sep. 17 to Oct. 2. 1992 using a set of questionaires which has been revised after a pilot study of 38 couples Statistical metho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Test and Cronbach's a. The results indicated 1)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father's participation on child-rearing in term of children's sex parternal age the parents' sex-role streotypes the type of conjugal power structure. 2) that the variable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gree of father's participation of child-rearing were conjugal power structure mother's sex-role types and father's age.

  • PDF

중년기 부부의 부부권력 및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jugal Power and Gender Role Attitudes on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Couples)

  • 전혜성;서미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49-35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부부의 부부권력 및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부의 부부권력과 성역할태도 요인에는 공통적으로 그 기저에 결혼관계에서의 파워(marital power)의 이슈가 내포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이 두 요인간의 상호관계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2개 대학에 재직하는 직원과 대학원생 및 지방에 소재한 1개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 중 기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1년 4월 6일부터 5월 27일까지 진행하였다. 자료는 총 265부이며 기술통계, t-test 및 ANOVA 분석,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부부권력(p<0.05) 및 성역할 태도(p<0.01) 모두 부부의 결혼만족에 주요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성역할태도가 상대적으로 결혼만족에 통계적으로 더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한편, 성역할 태도와 부부권력은 상호작용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제언과 더불어 합리적인 성역할 태도가 부부의 갈등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고 더 나아가 부부관계 안정성 증진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력을 제고하였다.

부부의 자원과 부부권력과의 관계 연구 (Relations between Resources and Conjugal Power)

  • 김홍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79-188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resources and conjugal power in Korea, with the specific purpose of testing Rodman's theory that norms and resources operate in a cultural contex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8 couples with children who lived in nuclear families and resided in Seoul. Relative conjugal power, norms about role and socioeconomic resources of spouses were measured with questionnaires based on Burr's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ne spouse of each coup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s Correlation and one-way ANOVA. Results of this study generally supported Rodman's theory but were not consistent with Rodman's speculation that resources are more strongly related to power when norms are more equalitarian than patriarchal.

  • PDF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가 부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연구 (A Influence Effect of Mid-life Religious Life and Faith Maturity on the Couples' Life Satisfaction)

  • 정진오;변상해;김종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5-288
    • /
    • 2009
  • 본 연구는 인생의 봄은 지나고 인생의 가을을 맞이하는 중년기부부관계는 결혼 전의 영향도 있지만 결혼 후에 발생하는 갈등요인이 더 많이 있다. 이유는 부부 사이의 태도와 안정되고 적절한 수입 그리고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이 부부생활만족과의 깊은 관계가 있다고 본다. C. G. Jung은 인생의 전반기를 자기확산기로, 후반기는 자기수렴기로 구분하였는데, 자기 확산기에는 외부적.물질적 자아에 몰두하는 반면, 자기 수렴기에는 종교적 철학적 직관적 정신세계에 몰두해야만 인생전체가 균형과 통합을 이루는 중년기로 보았다. 이는 중년기의 발달과 심리적 위기를 잘 극복하고 보내면 노년기를 행복하게 맞는다. 본 연구는 중년기의 정의와 중년기의 발달특성, 중년기에서의 종교와 종교에서의 부부관계와 중년기 부부변화가 무엇인가를 연구한 후 종교에 대한 이해를 중점으로 중년기부부 생활만족도에 대한 이론들을 문헌연구로 제시하였다. 양적연구는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의 변인들이 중년기 부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 내에 있는 35세 부터 60세 까지의 중년기를 연구대상으로, 2009년 3월 25일 부터 4월30일 까지 400명에게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 그리고 부부생활만족도 등을 설문하고 통계 처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의 관계에서 신앙성숙도의 봉사, 관계, 영성은 종교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 결과는 영성적, 개인적, 공식적종교 활동은 신앙성숙도에 영향이 있음을 말한다. 둘째, 종교 활동에 따른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종교 활동(t=31.36, p<.001)이 신앙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과 종교활동(t=33.81, p<.001)이 부부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그리고 신앙성숙도(t=28.64, p<.001)가 부부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종교 활동에 따른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에는 인과관계가 있음을 말한다. 셋째, 중년기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생활만족도에 대해서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 사이에 주요효과를 분석한 결과 종교 활동(F=15.95, p<.001)과 신앙성숙도(F=23.94, p<.001)는 부부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와 부부생활만족도 사이에 관계성이 높은 것으로 기독교 불교 천주교의 종교 활동과 신앙성숙도가 중년기 부부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서 부부간의 세력구조에 관한 한ㆍ일 비교 (A Cross Cultural Study of the Power Structure on the Conjugal Decision - making Process in Korea and Japan)

  • 홍상욱;;석지혜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3-187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power structure of the conjugal decision making process between husbands and wives and how to go about analyzing these processes. Furthermore, to statistically survey the similarities the differences of these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 cultur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women over the age of 20. The Korean wives resided in Taegu, the Japanese wives in Kobe. The questionnaire destributed to these subjects was bi-lingual in both Korean and Japanese. The data results are as follows : The frequency of negotiation was highest when the wife conceived an idealistic balance in the magnitude of authority arld control between she and her husband. On average, those wives who make decisions their husbands through negotiation do not have as high of a magnitude of control and authority as their husbands. These women idealistically believe that a balance of magnitude and authority exists between them and their husbands.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ships where decisions are made without negotiation, the magnitude of the wife's authority increases as she idealistically perceives herself as being more powerful than her husband.

  • PDF

부부간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I) - 제주도 농.어촌 가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cision-Making between Husbands and Wives (I) - focusing on the Farming of Fishing Villages in Jeju Island -)

  • 김혜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5-83
    • /
    • 1982
  • In this paper, the writer makes attempt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decision-making patterns are adopted, when husbands and wives make up their minds about home managerial problems of farming or fishing villages in Jeju Island. The data in this study were drawn through the questionaire collected from 299 families of farming of fishing villages in Jeju Island. Percentage and F-test applied to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found as follows: 1. Although husbands and wives do joint decision making with each other, some decision making spher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problems. 2. Family types are mainly made up of Autonomic family and syncratic family, but there are comparatively by far syncratic family in Jeju Island than any other area. 3. The background variables to be influenced upon are their ages, educational level, duration of marriage, the number of whole family, the number of daughters, the number of children, managing power of their living expenses, satisfaction of their conjugal lives, daily communication status, quarrels between them, locations of farming or fishing villages, etc.

  • PDF

농촌 가족구조 분석 (Family Structure in Rural Korea)

  • 이한기;한귀정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7-66
    • /
    • 199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family structure in rural Korea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ccording to the broad concep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810 rural households by interview method with questionnaire. For the analysis, family structure was divided into aspects of static structure and dynamic structure. The static structure was constructed by two components of demographic structure and typological structure. The dynamic structure was also constructed by thre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tructure, role structure, and dynamic relationship structure of family members. In demographic structure, family size was 4.1 persons, families, with more female were 35.2%, and families with elder husband than wife were 82.5%, In the typological structure, nuclear family type with two-generation was predominant. In dynamic structure, role structure was autonomic type while conjugal power structure was compounded type with autonomic, syncratic, and husband-dominant type.

  • PDF

동아시아 기혼여성의 성별분업에 관한 태도와 실천: 한국, 일본, 대만 비교 연구 (Attitudes and Practices o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South Korea, Japan, and Taiwan)

  • 이재경;나성은;조인경
    • 여성학논집
    • /
    • 제29권2호
    • /
    • pp.139-173
    • /
    • 2012
  • 이 글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를 통해 근대적 성별분업이 도전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 내 성 평등이 지체되는 현실에 주목하고,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3개국 여성들의 성 평등의식과 현실 간의 불일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EASS 자료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여성들의 연령, 교육기간, 가구소득, 성별분업에 대한 태도, 부부 각각의 노동시간, 가족지원망이 가사분담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 각 국가별 특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대만은 성별분업에 대한 보수적 성향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의 실질적 가사부담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일본의 경우 여성들의 진보적 태도에도 불구하고 실제 가사부담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대만, 한국과 일본 여성들의 평균 노동시간에 기인하는데, 한국과 대만 여성들의 경우 전일제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가사 노동시간을 줄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대만은 가족 특성이, 한국은 여성경제활동의 성격이 가사부담률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세대 동거가구의 비율이 높은 대만은 부모로부터의 돌봄 지원이 가사 부담을 줄이는데 기여하며, 한국에서는 여성의 교육기간이 길수록 가사부담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고학력 여성의 상대적으로 낮은 경제활동 참여가 가사노동에서의 협상력 약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가사분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노동시장 성격이나 구조, 가족 형태 등 제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성별분업 연구에서 개인과 부부의 특성뿐 아니라 거시적 요인에 대한 요인 분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