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gestion Standardization System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IoT를 접목한 지하철 객차 내 혼잡도 평준화 시스템 설계 (Design of Congestion Standardization System Based on IoT)

  • 김미례;조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4-79
    • /
    • 2016
  • 수도권 지하철은 1974년, 서울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현재 일일 7,289천 명을 수송하는 가장 중요한 교통수단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서울 지하철은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수송인원을 처리하고 있지만, 제한된 지하철 용량과 배차시간 때문에 지하철 내의 혼잡도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서울시는 서울역, 시청역, 교대역 등 12개의 역사에 우회통로 건설 등의 혼잡역사 구조 개선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은 한 역사 당 평균 186억 원의 대규모 공사비에 비해 미미한 개선 효과를 보이면서 혼잡도 개선을 위한 차선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율적인 객차 및 역사 내 혼잡도 완화를 위해 IoT를 접목한 혼잡도 평준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을 바탕으로 예상 효과 분석을 진행하였고, 분석 결과 한 객차에 승차하는 인원이 기존 34명에서 최대 20명으로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기존 첨두시 20대의 열차 운행대수가 24대로 증차될 수 있다고 분석되면서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통항선박의 점용영역 밀집도 분석을 통한 해상교통혼잡도 평가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ing Assessments of Maritime Traffic Congestion Based On Occupancy Area Density Analysis for Traffic Vessels)

  • 김성태;이한교;공인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3-160
    • /
    • 2017
  • 어떤 해역의 해상교통혼잡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단위 시간당 항행 척수인 교통량을 분석하는 것보다 어떤 시간 단면에 존재하는 단위 면적당의 밀집도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안전진단 대행기관의 해상교통혼잡도 평가기법을 표준화하고, 선박톤급별 환산교통량 사용으로 인한 평가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박자동식별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의 통항선박 데이터를 활용하여 항로구간면적 대비 식별된 개개의 통항선박이 갖고 있는 점용영역의 면적을 합산한 값과의 백분율을 해상교통혼잡도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모형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의 획기적인 발달로 인해 실제 데이터 사용이 가능하여 환산 데이터에 의한 오차발생을 줄일 수 있고, 항로구간별 해상교통혼잡도 평가도 가능하게 되었다.

3차원 GIS기반의 소방방재를 위한 지하상가 주소체계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ddress System for the Three-Dimensional GIS-based Emergency Management)

  • 하병포;강인준;홍순헌;박동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3-69
    • /
    • 2014
  • 건설 기술의 발달과 도시지역의 인구증가로 인하여 생활공간은 지상과 지하로 확대되었고 도시 교통난이 증가함에 따라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지하철건설이 확대 되었다. 이로 인하여 지하상가가 발달하였고 지하도시공간은 생활공간과 문화공간의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지하도시공간은 지상공간과는 달리 화재가 발생 했을 때 조도가 낮아 연기로 인한 시야확보의 어려움, 순간적인 판단오류로 인한 방위감 상실, 열기의 급격한 확산과 외기 획득 제한성으로 인한 산소 결핍 등으로 막대한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을 초래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하상가의 주소체계에 대하여 분석하고 도로명주소와 연계하여 직선의 지하상가와 원형의 지하상가에 대한 주소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지하상가 주소체계표준화를 통하여 화재 발생 시 지하상가 내부에 있는 시민들이 주소만으로 자신의 위치를 알고 대피할 수 있으며, 소방서에서는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Security Issues on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s

  • Lai, Chengzhe;Li, Hui;Zhang, Yueyu;Cao, J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2호
    • /
    • pp.498-514
    • /
    • 2012
  • Machine to machine (M2M) communications is the hottest issue in the standardization and industry area, it is also defined as 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in release 10 of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Recently, most research have focused on congestion control, sensing, computing, and controlling technologies and resource management etc.,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security aspects. In this paper, we first introduce the threats that exist in M2M system and corresponding solutions according to 3GPP. In addition, we present several new security issues including group access authentication, multiparty authentication and data authentication, and propose corresponding solutions through modifying existing authentication protocols and cryptographic algorithms, such as group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protocol used to solve group access authentication of M2M, proxy signature for M2M system to tackle authentication issue among multiple entities and aggregate signature used to resolve security of small data transmission in M2M communications.

LTE 시스템에서 그룹 기반 M2M 단말 이동성 관리 (Mobility Management of M2M Devices with Grouping in the LTE System)

  • 노희태;이장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B권12호
    • /
    • pp.1119-1127
    • /
    • 2012
  • 최근 이동통신의 새로운 미래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M2M 통신의 특성 중 하나는 기존의 통신에 비해 단말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다수의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제어 신호가 네트워크에 혼잡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3GPP 표준화단체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여러 단말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여 불필요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이 같은 다수의 M2M 단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는 그룹 기반 이동성 관리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이동성이 같은 다수의 M2M 단말을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가 동적으로 그룹핑하고, 그룹을 대표할 그룹 헤더를 선출하여 그룹 헤더가 그룹을 대표하여 Tracking Area Update (TAU)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M2M 단말이 개별적으로 TAU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이다.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개별적으로 TAU를 수행했을 때보다 최대 80% 정도의 시그널링 오버헤드 감소효과를 보인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함정 운용 시나리오 검증 자동화 연구: 승조원을 고려한 Crew Messroom 운용성 검증을 중심으로 (Study on Automation for Verification of Naval Ship's Operational Scenarios using Simulation: Focusing on Crew Messroom Case)

  • 오대균;이동건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4-30
    • /
    • 2013
  • The Korea Navy has been making constant efforts to apply M&S (modeling and simulation) to naval ship development, and the generalization of M&S for ship development is a trend. M&S for ship design is used for the V&V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its design and operation, including design verification and ergonomic design that considers the crew using the Naval Ship Product Model. In addition, many parts of this M&S are repeatedly accomplished regardless of the kinds of ships. This study aims to standardize M&S, which repeatedly applies similar verifications for operation scenarios. A congestion assessment simulation for the major spaces of ships was the subject of the standardization based on the leading research results of various researchers, and a simulation automation solution was suggested. An information model using XML was proposed through the simulation automation concept, and a prototype system based on it was implemented. The usability was shown through a case study that verified the operability performance of the crew messroom.

교통신호제어기용 무정전전원장치 용량기준 연구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for Traffic Signal Controller)

  • 고광용;이철기;김민성;허낙원;정준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6
    • /
    • 2012
  • 현대의 도시교차로는 과거와 달리 날로 이용량과 시설규모가 증가하여 대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적 정전이나 광역적 정전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교통상황은 걷잡을 수 없는 혼잡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최근에는 전력수요예측 오류로 인한 대규모 도시정전사태가 발생한 사례가 있으며, 이로 인한 교통 혼잡해소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 바 있다. 이에 정부와 경찰청에서는 교통신호시스템의 비상대응력을 고도화하기 위해 무정전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도입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신호기의 제어 용량을 고려하여 최소 2시간 지속가능한 전원보상용량을 산정하고, 산정 용량을 기준으로 개발된 규격은 시제품 실험을 통하여 전원보상 요구 성능을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개발된 규격은 충분히 요구 성능을 만족하였으며 중요교차로 등 대형교차로에서 운영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환승센터 내부 및 외부 시설물 평가 (Assessment of Transfer Center by Facility Design Analysis)

  • 이정엽;한동희;이주영;이영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69-177
    • /
    • 2009
  • 대도시의 광역교통문제 및 교통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심진입 자가용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고, 자가용승용차 이용수요를 대중교통으로 흡수할 수 있는 대중교통 환승체계 구축이 필요하나, 현재 환승체계 및 시설은 교통수단간 연계체계가 미흡하고, 환승 소요시간이 길며 이동 동선이 복잡하고 환승시설간 안내체계 및 편의시설 등이 부족한 상태이며 이를 위한 기반시스템인 환승체계 및 시설의 구축은 필수적인 사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통수단 간의 환승이 직접 이루어지는 승하차시설과 편의시설 및 보행시설 등 각 시설에 대한 기존설계기준을 이용하여 환승시설의 설계분석을 전산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각종 시설 설계 기준을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설계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분석 tool의 개발은 실제 환승센터의 설계 시 업무의 정밀성 및 효율성을 증진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이다.

무선 랜 기반 V2X 통신에서의 보조 수신기를 활용한 동작에 따른 영향 (The effects of Wake-up Radio in WLAN V2P Communication)

  • 홍한슬;김용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02-310
    • /
    • 2018
  • 자율주행을 현실화하기 위해 각국에서는 관련통신표준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중 무선랜 표준을 제정하는 IEEE에서는 IEEE 802.11p와 WAVE 계열표준을 제정하여 차량통신용 무선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저전력 동작이 부각됨에 따라 보조수신기를 활용하는 표준인 IEEE 802.11ba이 진행 중이며, 그 사용 예시에는 V2P 동작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V2X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랜 표준인 IEEE 802.11p가 IEEE 802.11ba와 같이 사용 될 경우, 기존 IEEE 802.11ba에서의 추가적인 wake-up frame의 전송으로 인해 채널용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지연시간 요구사항을 맞추지 못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무선랜 표준인 IEEE 802.11p 및 WAVE가 최근 개발되고 있는 저전력 표준인 IEEE 802.11ba 표준과 결합될 때의 시스템 구성방법을 제시하고 성능분석과 고찰을 통해 미래 자율주행 통신에서 IEEE 802.11ba를 이용한 저전력 V2P 동작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대도시권역의 설정과 지역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regional strunture of Seoul metropolitan region)

  • 이희연;송종홍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5-56
    • /
    • 1995
  • 본 논문은 지속적인 서울시의 성장이 그 주변지역의 성장을 수반하면서 서울대도시 권화되어가는 과정을 밝히고 서울대도시권역을 설정한 후, 서울대도시권역 내에서 기능적 특성에 따라 지역을 분류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1990년 시점에서의 서울대도시권역의 경계가 어느 정도 확대되었는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도시화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와 서울과 의 기능적 연계성을 측정하는 지표를 토대로 하여 그 권역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서울대도 시권역은 수도권의 거의 전 지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대도시권역에 포함된 지역들은 서울이 갖고 있는 기능을 일부 분담하면서 기능적인 면에서 특화되거나 전 문화되어 기능적 특성에 따라서 신종주거기능 탁월지역, 제조업기능 탁월지역, 서비스기능 탁월지역, 잠재적 개발가능지역의 4개 그룹으로 지역을 분류할 수 있었다.

  • PDF